작년에 그랜드fx줄 2.5호 쎄팅해서 해보았지만 별루 재미못봤네요
어제 월척특급보니 서찬수님이 원줄을 낚시대로 내림낚시처럼 물속에 잡아넣는 것 같은데요
장단점이 모두 있지만 여기서 공부해서 토레이 은린sl인가 사놓았는데
바닥낚시에 조과에 차이가 잇나요?
그리고 서찬수님 채비가 원봉돌 채비인데 왜 올리는 입질보다 끌거나 빠는 입질이 많나요
궁금함니다 조언 부탁드림니다.""
- © 1998 ~ 2025 Wolchuck all right reserved. ▲TOP
2. 원줄이 물 표면에 떠서 수면의 부유물, 바람 등에 영향을 받아 찌를 끌어당기는 것을 막고
3. 카본줄과 같이 물보다 무거운 줄을
4. 봉돌이 바닥에 닿기 전에 미리 물 속에 가라앉힘으로써
5. 봉돌이 안착해서 찌가 선 후에, 카본줄이 뒤늦게 가라앉아 그 무게로 찌를 짓누르는 것을 막음니다.
6. 즉 원줄을 가라앉히는 것은
7. 채비 입수 및 정렬 과정에서, 최대한 불필요한 외부 요소로 인한 채비 정렬 흐트러짐을 사전에
8. 예방 하고자
9. 함입니다.
극예민한 안내병채비일껍니다
바늘만 바닥에 안착
자세한건 네이년에 서찬수 채비 검색ㅎㅎ
뭐 저는 잘모르지만. .
풍덩 만쉐^^;;
키우는 것이 조과에 도움이 됩니다.
그리고 그 포인트에 적합하게 채비를 운용하는 것이 옳은 방법입니다.
모노줄의 장단점이
카본줄의 장단점을
과연 압도할까요?
카본줄도 3호이하는 그리 크게 문제 삼으면 정신건강에 안좋습니다.
줄보다는 찌맞춤에 더 신경을 쓰시기를 바랍니다.
케미 대가리의 무게가 카본줄 무게보다 가벼울까요?
카본줄을 사용하시면 케미대가리를 노출로 찌를맞추면 카본줄 무게가 상쇄됩니다 ㅎㅎ
형태가 많읍니다
바닥낚시 하시더라도 목줄을 과감하게
30cm정도로 길게 써보세요~^^
목줄길이에 따라 찌의 반응 모습이 다르다고 보시면 되겠네요.
서찬수씨는 갓낚시기법을 처음 소개하고 알리신 분이지요.
또한 그 갓낚시기법을 책으로 집필하기도 했지요.
제가 알기로는 서찬수씨는 대부분 준계곡지나 계곡지를 주로 다니시는것 같은데
이런 행태의 저수지들은 수초 형성 보다는 바닥의 형태를 보고 찌를 세우는 경우가 많은데
대부분 수중물골 턱이나 둔덕, 홈통 건너편 얕은 직벽지역을 주 포인트로 합니다.
그렇다보니 붕어가 미끼보다 깊은 곳에서 먹이 취하니
올리는 입질 보다는 끌고가는 입질 형태가 많이 보이는것 같아 보입니다.
맞은라나 모르겠네여... ^^*
급경사 계곡지 연안벽면이나, 급경사 수로의 연안벽면...
저수지 연안 급경사 부분에 미끼를 붙인다던가(갓낚시 같은)...
바닥이 평지인경우 붕어가 미끼를 흡입하는 당시가 거의 대부분 물구나무서듯 거꾸로 세워진채로 흡입하므로, 미끼를 먹기 위해서
몸을 수평으로 가누게 되면서 찌를 올리게 되지만,
급경사인 경우 벽에 붙어 있는 미끼를 흡입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흡입당시의 붕어의 몸이 수평에 가까운 경우가 많아서,
흡입과 동시에 찌올림 없이 삼키는 동작으로 연결되서, 바로 끌고 들어가는 입질이 나타날 확률이 많아집니다.
평지형 낚시터에서 찌올림이 좋은 이유이기도 하지요.
질문하신분의 질문과는 상반되는것 같습니다.
서찬수님의 챔질타이밍이 일반적인 올림낚시와 전혀 다르기 때문입니다.
물론 채비 구성시 목줄의 길이가 상당히 깁니다.
(흔히말하는 봉돌에서 목줄 바늘까지의 사각지대를 무시하고 하는거죠)
-올림정석에서 추구하는 사각지대가 생김으로 인해 꾼의 찌올림은 좋지 못하나..대상어는
사각만큼의 여유를가지고 이물감을 덜느끼게되죠~~.
또한 낚시시에도 부력을 맞춘 찌를 케미만 내어 놓거 하기보다 찌탑을 더 내어 놓고 밑채비가 더 쳐지겠금 낚시를하죠.
일반적인 이론~~~
평지에서 붕어가 꼭~~사선으로 서서 일자로 쭉~뻗은 목줄에 달린 먹이를 먹으면서
바늘을 들어줘 올라 온다!!!!!!!는 내림 기법이 도입되기전
올림낚시의 정석처럼 인식되어온 근거없는 이론입니다!!!
올림과 내림의 차이는 찌맞춤을 하여 챔질 타이밍을 달리하는것 입니다.
올림은 찌의 ㅇ점을 잡기에 밑에(봉돌) 부력점이깨져서 찌는 올라오려고 하고
내림은 찌가 가진부력보다 밑 봉돌을 가볍게 맞추고 낚시하기에 최초 붕어가 흡입하고 뱃는과정이
찌로 전달 되는것이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