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바닥낚시

· 떡밥낚시, 유료터낚시 등 바닥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질문/답변] 원줄에 편납홀더와 봉돌을 같이 써도 되나요?

IP : 22457ac51acc675 날짜 : 조회 : 11734 본문+댓글추천 : 0

질문의 요지는 원줄에 편납홀더를 달고 끝마무리는 다듬지 않은 그대로의 포장지 벗기자 마자의 봉돌을 달아도 되는지요 매번 봉돌깍고 버려지는게 아까워 가감이 편한 편납홀더로 조절이 용이하게 하는방법을해도 조과에 영향은 없는건가요? 목줄에만 분할을 넣지 말고 원줄에서 분할을 한다 생각하시면 될것같은데 이방법도 혹 가능한지 여쭙니다. 초리대 스토퍼 스토퍼 유돌찌고무 스토퍼 스토퍼 스토터 스토퍼 유동홀더 스토퍼 깍지않은봉돌 목줄 이순서대로 하면 봉돌은 깍지 앟고 편납만 가감해서 사용해도 될거 같아 월님들에게 여쭙니다.

1등! IP : 71927934c344205
안될건 없다고 생각되네요. 저도 낚시하면서 이것저것 머리 쓰는 편인데 저랑 비슷하시네요.ㅋ 찌맞춤만 하시고 낚시 하시면 아무문제 없을거라 생각합니다.
추천 0

2등! IP : 8df52745bc38cc7
분할봉돌채비는 위봉돌보다 아래봉돌이 작아야 역활를합니다.
추천 0

3등! IP : 55cf5782bce260c
이왕 편납홀더를 선택하셨으면 홀더-분할봉돌..로 해결사 채비 비슷하게 가시는 것도 괜찮겠습니다. 물론, 역분할 채비도 있습니다만, 대류, 물살 등 특수한 경우가 아니면 분할채비의 장점이 사라지기 때문에 많이 사용하시지는 않습니다.
추천 0

IP : 22457ac51acc675
봉돌대신 편납홀더 이용해서 바닥낚시 해도 상관없을까요? 봉돌 갈때마다 칼로 깍기 힘들어서요..
추천 0

IP : 8fab868bde171c2
저는 위원줄에 구멍봉돌을(본봉돌) 사용하고 위.아래 스토퍼 하나식 끼우는 방법을 선택합니다.
아래에도 합사 매듭에 작은 구멍봉돌로 같은 방법으로 사용합니다.
추천 0

IP : 3bf2bf8dd8a40fa
유동편납홀더를넣으시고 핀도래로 봉돌을뺏다넣었다쉽게쓰시는게 낫지안을까요? 제 짧은생각입니다
추천 0

IP : 98ba15671613cf3
해보니까 고기 잡는데 상관은 없었습니다. 수로에서 물이 너무 흘러 의도치않게 위와같이 해봤었는데 찌 잘올렸습니다
추천 0

IP : 22457ac51acc675
내림하다가와서 봉돌은없는데 편납이 조절하기 쉬워 가능한지 생각해봤습니다. 위에분말처럼 구멍봉돌사용법좀 보고오겠습니다.
추천 0

IP : c90fbeba03b8091
아무 문제 없습니다.

찌 변환 빠르고 쓰기 편합니다. 미세부력 조절도 편하고요
추천 0

IP : 7a313735d255c6e
저의채비는 초릿대. 스토퍼2 유동찌고무1 스토퍼2. 스토퍼2 편납감은홀더1 스토퍼2. 핀도래.고리형좁쌀봉돌. 목줄.바늘 이렇게 사용하는데 입질형태에 따라 편납홀더를 위아래로 조절합니다
핀도래에 오링첨가해서 주간케미와 밤케미 조절 하고요
추천 0

IP : 0f6777df7aa6ef6
유동편납홀더 아래 도래를 달고 그 도래에 봉돌과 바늘을 달아 이용합니다(봉돌따로 바늘따로).
5년전쯤부터 한 낚싯대로 올림/중층/옥내림을 다 즐기다가 오로지 편리함 때문에 이용중인데 조과나 찌올림에는 전혀 문제 없습니다.
찌맞춤도 편하지만 가장 큰 장점은 상황에 따른 바늘교체가 무척 편하다는 점입니다. 눈이 안 좋아 더욱 유용합니다.
단점이라면 좀 조잡한 조합이라는 점과 도래를 열고닫는 과정에서 도래의 손상이 가끔씩 발생합니다.
간결단순한 채비를 선호하지만 이 조합은 나름의 장점이 많아 쭉 가렵니다.
추천 0

IP : af6156eb8db4567
봉돌 중간에 고무들어간 제품이 있습니다.

부게별로 싸이즈 다 있어서 님이 말씀하신대로 위엔 편납홀더나. 황동 유동추(부력조절은 링으로)

달고 사용하다가 상황에 마춰가며 고무들어간 봉돌을 달았다 떼었다 하며 사용중입니다.

예민한 채비시 아주 유용하게 사용합니다
추천 0

IP : fc204ba5a589231
제가오래전부터 사용하는방법하나소개 할께요

스토퍼.찌고무.스토퍼.스토퍼.편납홀더.스토퍼
조금큰맨도래 .바늘. 편납홀더에납을감아서
찌를 맞춤니다..
추천 1

IP : 7cdb32c0eda2618
주로 분할 봉돌.스위벨을 사용하다가 귀차나서
그냥 편납으로 바닥낚시채비 하나 던져놨더니
그것에서 37짜리 대물이 쭈우욱 올려주더군요^^
아무 상관 없을듯 싶습니다.
무슨채비던 자기채비에 대한 믿음이있다면
고기는 올거라 생각됩니다.
추천 0

IP : fb2af800dd0573e
자유유동추 쓰시면 중통도 되고 무게에따라
끼워도 됩니다 납이 아니라서 좋구요
말씀하신 것처럼 사용해보니 수초사이
투척등 불편하더군요
추천 0

IP : 7216c7b7d802e98
제가아시는분은 4분납하셔서 쓰시더라구요
분할채비는 붕어가이물감없이 빨아들이기만하면
되니 찌만맞추시면 괜찮으실듯요
근데 결국에는 원봉돌로돌아가더라구요^^
터지고꼬이면 머리아파지네요ㅎ
추천 0

IP : 23dc2624710a468
형제꾼처럼 2분할로 유동홀더-원봉돌로 하시거나 유동홀더-유동홀더
로 사용하셔도 문제가 없습니다.

봉돌을 깍는 번거로움과 봉돌을 깍아 물에 들어가거나..버려지는 것이
신경쓰여 저의 경우는
고부력일 경우 유동홀더-유동홀더로하고
저부력일 경우 유동홀더 한개로 하여 바닥낚시를 하고 있습니다.

오히려 유동홀더를 이용하여 유동홀더-바늘 사이의 간격을 상황에 맞게
조절하여(예를 들면 유동홀더를 위로 올리면 목줄이 길어지는 효과)
낚시를 할 수 있습니다.

단 채비하기의 약간의 번거로움이 있을 수 있으나..

채비의 부력을 가감하기에는 유동홀더가 훨씬 유리한 면이 있습니다.
참 참고로 부력을 가감할때 짜투리 편납은 채비집에 보관 하셨다가
부력 가감할때 이용하셔요.
추천 0

IP : e589d1957c7dba9
저도 비슷하게 사용하고 있는데...찌고무와 유동추 사이에 스토퍼가 내것보다 많네요?
찌고무 내려오는거 방지 차원에서 스토퍼 추가 한다해도 3개면 되는데 4개라서~~ㅋㅋ
장비 자주 접하고~깔끔하고~꼽꼽하고~한가하고~특히A형~이런 분들이 이렇게 채비하지 않나 하는 제 생각
맞나요?
추천 0

IP : 006ecbccdfdd8d7
편납홀더에 편납 감은 무게가
아래의 봉돌보다 무거우면
가벼운 채비가 됩니다.
간격은 한 25Cm로 단차을 주시면 됩니다.
(분활봉돌채비가 됩니다.)
추천 0

IP : 9480911e942a7c2
옥내림이나 해결사 등등의 채비를 하면 조과가 더 좋다고 많은 분들이 생각하고 계신가 봅니다.
옥내림채비를 가만히 보시면 원줄2호, 목줄1.5호, 바늘 5호로 구성되어 있지요.
찌도 저부력 긴몸통을 사용하고요.
왜 그럴까요. 이유는 간단합니다. 찌부력과 수압에 영향을 받는 모든 부분을 최소화해서 찌의 움직임과 이물감을 최소화
한 것에 불과합니다.
오히려 너무 작은 바늘을 사용하여 작은 붕애가 많이 잡히고 아랫바늘은 너무 가벼운 찌맞춤이라서 찌올림이 과장되고 헛챔질도 많습니다.
물론 내림이라는 장점이 있기도 하지만 올림에서는 오히려 문제가 많다라는 것이 제생각입니다.
그래서 외봉돌 바닥낚시를 하면 조과가 떨어진다고 생각하기에 이런저런 채비를 고안해 낸 것이라고 생각됩니다만
외봉돌, 외바늘, 가는 원줄과 목줄, 작은바늘을 사용하고 찌맞춤만 정확하게 한다면 바닥낚시로도 어떤 채비보다
좋은 조과를 볼수 있다라는 겁니다.
따라서 어떤채비가 예민하다는 것은 있을 수 없으며 찌맞춤만 정확하게 한다면 모두 같다라는 겁니다.
여기서 내림은 별개의 기법이기에 제외하고 올림만을 두고 말씀드리는 겁니다.
지난번에도 말씀드렸듯이 찌는 상하운동밖에 하지 않습니다.
같은 찌맞춤에서 봉돌을 분할한다고 해서 찌올림이 좋다는 근거는 어디에도 없습니다.
모든 조건이 같고 찌맞춤도 동일할 경우 분할이나 원봉돌이나 같은 채비일뿐이죠
여기에 대한 답변없이 어떤채비가 예민하다는 것은 모두가 납득할 수가 없을 겁니다.
찌맞춤만 정확하다면 원봉돌이나 기타 명칭을 가지고 있는 채비나 모두 같다라고 보시면 됩니다.
그런데도 복잡한 이런 저런채비가 과연 필요할까요?
선택은 여러분의 몫입니다.
추천 1

IP : 16ad37ca4a4a3c8
진정한 낚시란 자연과 즐길줄 아는 사람이 하는 행위~ 무엇이 맞다 틀리다 그런거 없다고 생각합니다. 낚시를 하다보면 어떠한 기법 방법등 여러가는 생각에 봉착하는데 그걸 연구하여 즐기는 사람이 있는 반면 스트레스받고 짜증내시는분들이 있습니다.물론 스트레스받는것도 즐겁게 받을 수 있다면 이 또한 나쁜과정이 아니라 말씀드리고 싶을뿐 틀린연구라도 즐기면서 하는 사람은 위 전자에 해당하고 후자는 그렇지 않는 사람이라고 필자는 생각합니다ㅣ. 젊은 사람은 최신가요를 연세가 있으신분들은 트로트를 하지만 각각자기가 좋아하는 음악.(쓰레기투척 을 하면서 즐겁다 생각하는 행위,일반 상식을 벗어나 남에게 피해를 입히는걸 즐기는 행위는 ,기타 사회질서에 반하는 행위는 포함하지 않습니다. 쓰여진 글에 오해 없으시길~~)
추천 1

IP : d68535eb9ded947
인간이 대부분 저지르는 실수는

실제는 자신이 틀린 것을

남들이 틀렸다고 확신을 하는 것이지요.
추천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