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조맞춤경우) - 무바늘
찌에서 가까운쪽 봉돌을 달고 찌 몸통이 살짝 수면위로 보일때까지 맞춤후 말씀하신 본봉돌(유동추 보다 가벼운)을 달아 원하시는 맞춤을 하시면됩니다. 수면일치 또는 케미고무, 찌톱 약 1마디 가량 등등...
(현장맞춤경우) - 무바늘
현장에서는 수조에서 처럼 정밀한 찌맞춤이 조금 힘듭니다. 찌톱이나 캐미 캐미꽃이 본돌이나 목줄등에 기포가 붙게되면 부력에 영향을 주기때문입니다. 굳이 현장에서 하셔야 한다면 편성하시려는 대를 모두 준비하시고 1차 수심을 맞춰 채비를 포인트에 투척해두고 다른 일을 하시면됩니다. 대략 5~10분정도.. 그날 사용할 떡밥이나 미끼를 준비하시면 되겠죠?
채비를 던저두는 이유는 위에 말씀드린 기포가 자연스레 녹아내리도록(일반적인 표현)하거나 사용하시는 원줄이나 목줄이 물을 충분히 먹도록(일반적인 표현)방치해두는 겁니다.
이후에 질문하신 봉돌의 비율에 맞게 봉돌을 가감하시면서 찌맞춤 하시면되겠습니다.
현장에서는 특히 카본줄을 사용할경우 원줄의 무게 대류현상에 따른 원줄(뒷줄)밀림등이 발생할수있음을 감안하시고. 약 2.5~7칸 이하는 캐미전부노출 3~3.5칸은 캐미 절반정도, 3.5이상은 캐미수면일치 정도로 맞추셔야 아랫봉돌이 안정적으로 바닥에 안착되는 바닥낚시를 하실수있습니다.
아시겠지만 찌맞춤은 답이없습니다. 예를 들어 10분이 사용하는 찌맞춤 방식이 모두 다를수있고 비슷한부분도 있습니다.
기본적인 부분만 익히시고 응용하는 부분은 반복적으로(수조/현장) 자신에 맞는 방법을 찾으셔야합니다.
ex)질문자께서 만약 캐미전부노출정도로 맞추셔서 조황이 좋았다고 해서 그 방법으로 계속 좋은 조황을 볼수있는것도 아니고, 기본적인 찌맞춤 법을 익히시고나서 그날 상황에 맞는 찌맞춤을 조정하시는게 맞다고 판단됩니다.
목줄길이도 마찮가지입니다.
말씀하신 유동추에서 아랫봉돌까지 원줄을 그대로 사용하신다면 아랫봉돌에서 바늘까지의 목줄은 약 4~5cm.
유동추에서 아랫봉돌까지 다른 목줄(합사,당줄, 모노줄)을 사용하신다면 약 9~10cm, 바늘까지의 목줄은 4~5cm.
정도로 사용하시면 일반적인 목줄의 길이입니다.
나눠져있는 봉돌을 모두 다신채로 바늘만 제거 하시고 찌맞춤 하시는게 맞습니다 .
- 원봉돌(찌에서 가까운 쪽)로 찌의 몸통 상단이 조금 보이도록 맞춥니다.
- 기둥목줄을 달고 그 끝에 나머지 봉돌을 달아서 찌톱 원하는 목수에 맞춥니다.
기둥목줄이머죠?ㅠ
물뽕님 새벽찌님 답변감사드려요^^
좁쌀봉돌말고 이분할채비 볼수있는곳없나요?
아래 홀더에만 편납감으시고 찌맟춤합니다(원하시는 찌맞춤하세요)편납을 풀러내고 편납을 원하는 비율로 등분합니다
위,아래홀더에 감아줍니다 ....끝
유동추 사용시 찌맞춤이 궁금합니다ㅠㅠ 목줄길이도용 에효
편납을 써봐야 되는데;; 답변 감사드려욤^^
시원하게 답변주실분없나요 전화주셔두 되욤ㅎㅎ
(수조맞춤경우) - 무바늘
찌에서 가까운쪽 봉돌을 달고 찌 몸통이 살짝 수면위로 보일때까지 맞춤후 말씀하신 본봉돌(유동추 보다 가벼운)을 달아 원하시는 맞춤을 하시면됩니다. 수면일치 또는 케미고무, 찌톱 약 1마디 가량 등등...
(현장맞춤경우) - 무바늘
현장에서는 수조에서 처럼 정밀한 찌맞춤이 조금 힘듭니다. 찌톱이나 캐미 캐미꽃이 본돌이나 목줄등에 기포가 붙게되면 부력에 영향을 주기때문입니다. 굳이 현장에서 하셔야 한다면 편성하시려는 대를 모두 준비하시고 1차 수심을 맞춰 채비를 포인트에 투척해두고 다른 일을 하시면됩니다. 대략 5~10분정도.. 그날 사용할 떡밥이나 미끼를 준비하시면 되겠죠?
채비를 던저두는 이유는 위에 말씀드린 기포가 자연스레 녹아내리도록(일반적인 표현)하거나 사용하시는 원줄이나 목줄이 물을 충분히 먹도록(일반적인 표현)방치해두는 겁니다.
이후에 질문하신 봉돌의 비율에 맞게 봉돌을 가감하시면서 찌맞춤 하시면되겠습니다.
현장에서는 특히 카본줄을 사용할경우 원줄의 무게 대류현상에 따른 원줄(뒷줄)밀림등이 발생할수있음을 감안하시고. 약 2.5~7칸 이하는 캐미전부노출 3~3.5칸은 캐미 절반정도, 3.5이상은 캐미수면일치 정도로 맞추셔야 아랫봉돌이 안정적으로 바닥에 안착되는 바닥낚시를 하실수있습니다.
아시겠지만 찌맞춤은 답이없습니다. 예를 들어 10분이 사용하는 찌맞춤 방식이 모두 다를수있고 비슷한부분도 있습니다.
기본적인 부분만 익히시고 응용하는 부분은 반복적으로(수조/현장) 자신에 맞는 방법을 찾으셔야합니다.
ex)질문자께서 만약 캐미전부노출정도로 맞추셔서 조황이 좋았다고 해서 그 방법으로 계속 좋은 조황을 볼수있는것도 아니고, 기본적인 찌맞춤 법을 익히시고나서 그날 상황에 맞는 찌맞춤을 조정하시는게 맞다고 판단됩니다.
말씀하신 유동추에서 아랫봉돌까지 원줄을 그대로 사용하신다면 아랫봉돌에서 바늘까지의 목줄은 약 4~5cm.
유동추에서 아랫봉돌까지 다른 목줄(합사,당줄, 모노줄)을 사용하신다면 약 9~10cm, 바늘까지의 목줄은 4~5cm.
정도로 사용하시면 일반적인 목줄의 길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