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지만 변함없이 좋은 포인트라고 조사님들의 사랑을 받는 곳은 있습니다.
1. 새물유입로
2. 부들, 마름, 떼짱 등등 수초 밀집지역
3. 물색이 좋은 곳(지나치게 탁하지 않으며 지나치게 맑지 않은 곳 - 붕어는 주로 3급수에 삽니다)
4. 물속 장애물 지역(바위, 고목, 수몰나무 등등 은신이 가능한 지역)
5. 시끄러운 곳 보다는 조용한 지역(사람의 왕래가 빈번하지 않은 지역)
6. 수심대역이 1.5M ~ 2.0M 사이의 지역(플랑크톤이나 작은고기 미생물들이 많은 지역)
계절에 따라
초봄부터 늦봄에는 수심이 비교적 얕은 수초밀집 지역(산란전후 먹이활동이 활발함)
여름에는 비교적 깊은 수심대역(수온이 지나치게 높아지는 계절이므로 적당한 수온대를 찾아서 이동)
가을에는 겨울 동면기를 대비해서 얕은 수초지역으로 이동하여 먹이활동을 왕성하게 함
겨울에는 기온이 영상 5도 ~ 10도 정도 일때는 2.0M ~ 2.5M의 수심대
얼음이 얼거나 온도가 영상 5도 이하일때는 깊은 수심대로 이동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1.(낮)낚시에는...
2.(수심)이 깊은 곳도 좋습니다.
3.(밤)낚시에는...
4.(수심)이 낮은 곳이 좋습니다.
5.(낮. 밤)낚시를 하신다면...
6.(수심) 1m 50cm 전후가 좋습니다.
7.물색(탁도)이 좋은 곳에 자리를 하십시요.
여름엔 나왓는데ㅠ
물속 환경도 크게 좌우하게 되구요
하지만 변함없이 좋은 포인트라고 조사님들의 사랑을 받는 곳은 있습니다.
1. 새물유입로
2. 부들, 마름, 떼짱 등등 수초 밀집지역
3. 물색이 좋은 곳(지나치게 탁하지 않으며 지나치게 맑지 않은 곳 - 붕어는 주로 3급수에 삽니다)
4. 물속 장애물 지역(바위, 고목, 수몰나무 등등 은신이 가능한 지역)
5. 시끄러운 곳 보다는 조용한 지역(사람의 왕래가 빈번하지 않은 지역)
6. 수심대역이 1.5M ~ 2.0M 사이의 지역(플랑크톤이나 작은고기 미생물들이 많은 지역)
계절에 따라
초봄부터 늦봄에는 수심이 비교적 얕은 수초밀집 지역(산란전후 먹이활동이 활발함)
여름에는 비교적 깊은 수심대역(수온이 지나치게 높아지는 계절이므로 적당한 수온대를 찾아서 이동)
가을에는 겨울 동면기를 대비해서 얕은 수초지역으로 이동하여 먹이활동을 왕성하게 함
겨울에는 기온이 영상 5도 ~ 10도 정도 일때는 2.0M ~ 2.5M의 수심대
얼음이 얼거나 온도가 영상 5도 이하일때는 깊은 수심대로 이동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맹탕지역이라고 하셨으니 위 조건을 참고하셔서 포인트를 선정하시면 될것 같습니다.
늘 변수는 있기 마련이고
어제 잘잡은 곳이라고 해서 오늘도 잘 나오리라는 법도 없는 법이죠
문제는 모든게 다 붕어 맘이라는 것 ^j*
참고해서 출조할게요!!
1.산수부린님 댓글이..
2.있나 없나..
3.기다려집니다.
4.좋은 정보들 감사합니다
안출하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