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바닥낚시

· 떡밥낚시, 유료터낚시 등 바닥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질문/답변] 잉어낚시 어떻게 하나요?

IP : 81fc33bbe1a238e 날짜 : 조회 : 9228 본문+댓글추천 : 0

퍼렁별님 질문에 댓글 보면서 잉어낚시에 매료됐습니다. 어떻게 시작하면 될까요? 릴보다는 대낚위주로 알려주심 고맙겠습니다. 참고로 의성쪽으로 자주갑니다^^

1등! IP : bc3fdf3540cc5e1
기본 바닦낙시채비로 하시면 되구요.
찌올림은 정직하지는 못합니다.빠는 입질 끌어가는 입질이 많구요.
의성쪽으로 가신다는데 관리형인지 자연지 인지는 모르겠으나 덧글을 읽어 보셨듯이 자연지 잉어 낚시를 가신다면
기본 씨알채비 2~3단계 위로 하시고 상황 보시면서 채비의 변화를 주시면 될듯 합니다^^;
추천 0

2등! IP : 8a4bc5159554ee9
제 글을 보고 잉어 낚시에 매료 됬다니 반갑네요.
저는 릴낚이랑 대낚 짬뽕으로 한거 같네요. 채비는 튼튼!!
제가 남들과 달리한건 잉어 릴낚에 쓰이는 육봉(스미 꼬이??)채비로 했습니다. 낚시점에서 파는것도 쓰시면 좋겠지만 보니까 너무 목줄이 튼튼한거 같아 집적 바늘묶어 쓰면 됩니다. 육봉채비에 떡밥을 초등학생(?) 어린아이 주먹만하게다시고 투척하시는 거애요.
추천 0

3등! IP : 8a4bc5159554ee9
아 그리고 투척할 땐 떡밥을 손으로 야구 하듯 아리랑으로 던지시고 대를 떡밥날아갈때 살짝 드셧다 내리시는 듯이 해주세요.
떡밥은 릴낚 전문으로 하시는분께 물어보니 저수지 같은 경우는 최대한 빨리 풀리게 하랍니다. 그래서 떡밥 만드실쩍에 물을 최대한 적게 해서 뭉치라고 하셨습니다.
그리고 최소한 12시간은 입질이 없다면 기다리신다고 하시더라구요.
강에서의 낚시는 어분이나 고운 곡물류 떡밥의 비중을 더해서 하시면 조금 더 떡밥이 버틴다고 하네요.
추천 0

IP : e43cc9e4703eeea
1,잉어향어용낚시대부터준비해야합니다주의할점은30대이상넘어가면무게가장난이아니기때문에주의할것
단 특성상자주투척을하지안기때문에 감안할것
2.잉어와향어의노는장소가틀리기때문에 대선턕시감안할것
3,바늘은지누5호이상 원줄은모노기준5ㅡ6호 목줄 케브라3ㅡ5호 의외로잉어향어강함니다
4,나머지는경험으로해나가시길
*궁금한것은전화문의컴은딱다구리라......
추천 0

IP : 3d79ca89080bda1
글을 읽는중 반대되는내용이 있기에 남깁니다...떡밥이 빨리 풀리게 할때...(같은표현으로 하겠습니다)떡밥만들때 물을 최대한 적게가 아니고 많게 해야 빨리 풀립니다....반대입니다. 최대한 적게하면 돌덩어리처럼돼서 하루후에 감아봐도 그대로일거에요...
추천 1

IP : 188f512688a269c
종승님 글세요^^; 물을 최대한 적게 해도 빨리 풀리지요. 묽게 개도 빨리 풀어지지요. 떡밥을 갤 때 부슬부슬 푸석푸석하게 많드는 것도 있고 더 많이 치대서 찰지게 만드는 방법도 있죠. 찰지개 갠 떡밥은 빨리 풀어지지 않을 거 같아요.
하지만 묽게 갠 떡밥을 차지게 게지 않는다면 떡밥을 투척할 때 100% 떨어질것입니다. 육봉(스미꼬이채비)낚시할때 묽게 갠 큰 떡밥을 투척할 수 없을 것입니다.
물을 적게 넣은 푸석푸석한 떡밥을 단단히 만들어 물에 넣어 보세요. 금방 풀립니다^^;
추천 0

IP : 188f512688a269c
릴낚시꾼들이 떡밥 압축기를 사용하시는 이유는 물을 최대한 적게 넣으면서도 투척 할 때 떡밥이 삼탄(깨진다는 표현)이 나지 않게 하기 위함입니다.
추천 1

IP : 1c704224c0e324f
떡밥의 종류에 따라 다른데 물을 좀 많이 넣어서 찰지게 하고 많이 치대면 오히려 응결력이 생겨 잘 풀리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퍼렁별님 말씀 처럼 해야 됩니다. 이를테면 아쿠아텍2컵+찐버거1컵+물1컵 해서 만드는데 아쿠아텍 2컵에 물 1컵 넣고
뒤적 거린 다음 몇분후 찐버거 1컵 넣어 보세요. 부슬부슬 하게 됩니다. 그러면 바늘에 달때 너무 꽉꽉 눌러 달지 마시고
서너번 조물조물 눌러서 달면 됩니다.
추천 0

IP : 732bb2f3164af80
떡밥은 퍼렁별님 말씀에 추천 1표입니다
...몇분 후 보리계열 넣고 부슬부슬~~이
요령이죠
종승님 말씀은 감히 기초배합법이라 표현한다면,
퍼렁별님고 음속챔질님 말씀은 응용편이라고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추천 0

IP : ed04b6c304fbb1d
잉어용 6봉 바늘 나온거 써보면 대부분 너무 약해서 사용이 불가능합니다.
보통 이두 10~11호 정도 크기인데 바늘도 약하고 목줄도 약해요.. 보통 60정도 까지는 무난하지만 70 넘어가면 간당간당합니다

저도 대낚에 잉어 채비하면 2봉 3봉 많이 사용하는데요. 이건 대물 잉어 채비로 직접 감4~6호 묶어서 사용하는채비이고,
좀 약한대에 5호줄 묶고, 붕어 낚시하다가 잉어 꼬이면 시중에 파는 6봉 바늘 묶기도 합니다.

잉어란놈이 50만 넘어가도 입 크기가 꽤 커서 큰 먹이도 넙죽접죽 물고 들어갈것 같지만, 이넘들 생각보다 많이 약고, 부스러기 흩어 먹는거 좋아하지 큰 먹이를 입에 잘 안물더라고요
릴에 크게 떡밥 뭉쳐서 잡는게 어분 풀어진거 흡입하다가 바늘 같이 딸려들어가서 걸려서 잡거든요 (붕어도 마찬가지)

3봉이나 6붕 쓰더라도 대낚일때 굳이 크게 릴처럼 안던지고, 바늘 5개에 좀 찰지게 어분 당고로 작게 달아2~30분 정도 달려있게하고, 바늘하나에 집어제 좀 크게 달거나.. 당고 위에 보쌈싸듯이 집어제 감싸서 던져놔도 조과 좋습니다

집어제 물성이 빨리 풀리게 했을경우는 반스윙으로 집어군을 압축하면 조과에 상당히 도움이 됩니다.

보통은 대물잉어 대낙일떄 2봉채비를 많이 사용하는데... 이때도 바늘 감쌀정도로 콩 많하게 당고 넣고.. 그 위에 잡어제 보쌈으로 넣으면 3봉과 비슷한 효과를 볼수 있고요

집어제는 어분 보리, 요즘같이 수온 높을때는 깻묵(가루건 기름짜고 남은 큰 덩어리건 상관 없습니다) 좀 많이 넣어도 좋아요
가루어분, 새우가루같은거 첨가해서 냄새좀 퍼지게 해주는것도 좋고요...
냄새와 바닥에 남는 잔잔한 덩어리 조화있게 넣어주면 집어는 물론 잉어 입질에도 도움이 됩니다.

붕어도 마찬가지지만 잉어는 밑밥 넣는 포인트에 밑밥을 잘 깔아줘야 강한 입질 받기 좋으니 포인트에 정확한 투척과 집어제 물성에 따라 반스윙을 적절하게 해주면 조과에 도움이됩니다.

밑밥 없이 대물잉어 입질 받기는 매우 힘들더라고요...
항상 큰 넘들은 밑밥좀 넣어 부스러기 주워먹다가 바늘에 걸린 입질용 미끼를 먹는다는 느낌을 자주 받습니다
추천 0

IP : 10f73a2b5196aa5
저의 경우 옥내림에도 나왔어요 3호원줄 2.5호 목줄 헤헤 힘은 좀들었지만 나오기는 하던데요
추천 0

IP : f2b3e0428d718ba
잉어 향어 낚시 어렵지 않아요

대는 해금강초경 6m약 3.3칸 시가 5호줄 바늘은 붕어바늘10호이상

또는 11m해금강초경 약6칸 찌는 봉돌10호이상 왜냐 스윙해야해서

떡밥은 아쿠아텍2단품 또는 보리계열 혼합 부슬부슬 하게

찌는 6칸일경우 120mm이상 수심에따라 찌조절하시고

수심대 2m권이상에서는 빠는입질보다 올림 입질다수

찌올림은 붕어만큼 숨막히게 올려줍니다
추천 0

IP : 7a5b8fe1fa13f14
저는 장대로 잉어노릴땐 원줄을 싼줄로5호 정도로 바꾸고 원줄에 길이는 장대길이의 곱으로 합니다.
초리는 물속에 잠기게하고 손잡이는 높이하며 낙시대 뒤에는 고무줄을 묶습니다.
찌는 필요없고요 봉돌은 유동봉돌4~5호정도쓰며 잉어가 물면 대가 스르르 물속으로 들어가지만 고무줄때문에 달랑달랑 합니다.
대는 2.6칸이상부터 쓰며 대략5~6대 아님 그이상 깔아놓습니다

떡밥은 탁구공정도면되고요 바늘은 삼봉으로 감성돔3호정도로 밥속에 넣어 투척합니다 아리랑던지듯이..
떡밥의 풀림은 응집력을 높이는 밀가루나 콩가루 미싯가루등의 양으로 조절하며 첨가하지않으면 뭉쳐지질 않을정도로
거친입자와 중간입자를 8:2 비율로 합니다.
밥의 풀림은 입자의 비율과 반죽의정도 수온등에 따라 틀려진다고봅니다..

예전엔 비콤헥사를 구하기쉬워 앰플하나 첨가하면 거의 잉어얼굴 볼 확률이 높았는데지금은 구하기가 좀 힘드네요..
자정무렵 꼬박꼬박 졸다가 덜커덕하며 대라도 하나들어갈때면 가슴떨리며 기대반 호기심반으로 강한챔질후 들려오는 우당탕하는 소리 ^^

이상 허접한 제 잉어장대 채비였습니다...
추천 1

IP : 8375c5794508d32
잉어 잡는 법이 따로 있군요... 전 그냥 항상 똑같은 채비로 다닙니다. 2~3호 카본줄에 6~8호 무미늘 바늘쓰고요.
무미늘 쓴다고 털려본적은 별로 없습니다. 전 너무 큰 고기 잡히면, 싫어하는 스타일이라 잉어 향어 누치를 좋아하지 않습니다.

잉어는 이상하게 혼자 밤낚시 하는중에(꼭 뜰채 안피고 있을때 ㅎㅎ) 잘 걸려 나오네요, 떡밥 낚시를 주로 하는데 딱히 크게 떡밥 다는것도 아니고 떡밥도 자주 갈아주지 않습니다.
방법이라 할 건 아니지만... 주변이 고요하고 어느정도 밑밥질 후 기다리면 자주 얼굴 보고 오는듯 합니다.
추천 0

IP : 987d2ac0e276ea3
많은 횐님들 댓글 많이 도움됐습니다.

일단 원줄부터 갈아야겠네요^^

최소 5호줄로 목줄은 감5호로 묶고여.

일단 들이대면서 궁금한게 생기면 또

질문 올리겠습니다.

혹시 의성쪽 자주 가시는분 계시면

동출한번 하시죠^^
추천 0

IP : 2e1eea7cea5e592
잉어와춤을 님.

원줄길이가 대길이의 두배가 되면, 챔질시 원줄의 길이가 길어서 랜딩이 될수있나요?

요령이 따로 있으신가요?
추천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