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바닥낚시

· 떡밥낚시, 유료터낚시 등 바닥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질문/답변] 줄의 굵기가 찌상승에 어느정도 차이가 날까요?

IP : 2fe8a8d249be08d 날짜 : 조회 : 6400 본문+댓글추천 : 0

줄의 굵기가 찌상승에 어느정도 차이가 날까요? 질문란 검색에서 카본줄과 모노줄 그리고 세미플로팅의 성격 비교는 많아서 저처럼 떡밥낚시 하는 사람은 줄의 종류에 대한 이해는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일행의 채비를 대신 해주겠다고 자청할 만큼 낚시 중에도 채비 바꾸는 것을 즐거움으로 느꼈는데 나이가 들면서 노안과 정교함이 둔해지니 이젠 좀 튼튼한 줄 굵기를 넘겨 보게 되네요 1.2 / 1.5호 즐겨 썼어요 ᆞ가는줄로 잡아낸다는 스스로의 만족감과 그래도 가는줄 채비가 더 예민하겠지 ᆢ라는 생각으로요 ㅋ 바꾸는 기회에 아예 3호 이상의 줄로 채비를 하려고합니다 카본줄 보다는 모노줄이나 세미플로팅 줄로 하고싶은데 모노줄과 세미플로팅 줄 중에 어떤 줄이 나은지? 1.5호와 3호이상 비교해서 채비의 변화에서 미리 차이를 안다면 도움이 될 거 같아서 또 이렇게 질문 드립니다 조언과 경험담 부탁드립니다 방어달 배상 안출하십시오 꾸벅~

1등! IP : eaff7ef9b67377a
찌상승에는 줄굵기 보다는 찌를 가볍게 맞추느냐 무겁게 맞추냐가 차이가 더크지요. 그리고 세미와 모노는 취향에 따라 쓰심될거같네요. 저는 밑걸림이 심하고 수몰나무 갈대 마름 등이 많은곳에 자주 낚수하는데요. 초리대를 장애물 때문에 들어놀때가 많은데 딱히 플로팅쓰나 세미 쓰나 별 차이 모르겠네요. 플로팅도 라인 좀 쓰다보면 자동으로 좀더 가라앉아요
추천 0

2등! IP : 0d5bd893fe17acd
같은 찌맞춤이라 가정할때 원줄의 굵기는 분명 찌오름과 관계가 있습니다.

허나 그 관계라 하는것이 겨울철 하우스나 붕어가 극 예민한 시기에나 해당이 되며 이는 챔질 타이밍으로 어느정도 커버가 되리라

생각됩니다.

노지에서 원줄 3호라면 더욱이 모노계열이라면 크게 걱정하실필요는 없을듯 합니다.
추천 0

3등! IP : 5b7106454234bfb
모노줄은 묵공줄 시가줄 바리바스 헤라줄 등 써본 경험이 있는데

최근 검색중에 블랙마크X줄 대용량 줄을 알게되어 질문드립니다
세미 플로팅줄이라는데 이 줄을 써본 분이 계시면 모노줄과 비교 말씀 부탁드립니다
추천 0

IP : eb152113dc213d1
방어달님 제 경험을 말씀드립니다.

똑같은 찌 맞춤일경우 카본줄과 모노줄의 차이는 분명있읍니다. 유료터인 경우 더하구요
저 역시 카본 모노사이를 왔다가가하다가 세미프로팅줄에 관심을 가지게 되어 지난 봄부터 사용하고 있읍니다.
3.5호이며 채비가 해결사채비여서 더 그런듯합니다.

세미프로팅줄은 비중이 아시다시피 1.07 정도로 생산되어 물밑 30센티정도에서 유지되는것이라 설명되어 있지만
제가 물속에 들어가 보지 않아 30센티인지 50센티인지 알수는 없었읍니다. ^^

단지 모노줄보다는 줄늘어남이 조금 덜한것, 화이트색상이라 줄 잡기가 편한점외에는 아주 특별하게 다가서지는 않았읍니다.
물론 3.5호 4호 정도이니 대물끌어내기도 수월하기는 했읍니다.

해결사채비에서 세미프로팅을 권장하는 이유는
1, 대물의 조심스런 입질을 받을 때 카본의 무게보다 덜함으로써 보다 입질의 폭을 높게가져가는데 유리한 점.
2. 흰색이라 핸드링이 손쉬운점
3. 200미터 가격대비면 조금은 비싼듯하지만 터무니 없지는 않다는 점

뭐 이정도인것 같앗읍니다.

그래서 저는 그에 준하는 라인찾기에 몰두하다가 요즈리 하이브리드 10호로 결정해서 사용해보니
세미프로팅라인 사용과 별다르지 않은 찌솟음과 튼튼함, 거기다 가장 매력적인 경제적인면까지 해결할 수 있었읍니다.

좀 더 시간내시어 찾아보시면 자신에게 알맞은 채비구성이 될거라 생각듭니다.
추천 0

IP : 0e39da1df6fc4c4
모노줄(나일론모노필라멘트)은 플로팅 세미플로팅로 구분됩니다 플로팅줄은 가운데가 비어있어서 물에 뜹니다(거의대부분 플로팅이라고 별도로 표기함) 우리가 쓰는 대부분의 모노줄은 세미플로팅줄입니다
추천 0

IP : 81fc5757c88a75d
요즘은 기온이 하루하루다르게 떨어지는 시기입니다.
고수온기때에는 활동폭도넓고 활성도도 높아 3~4호정도로 사용하여도 찌오름에
큰 지장을 주지않겠지만 저수온기로 다가가는 지금시기인 요즘부터는 예민한채비로 접근하는것이
좋을듯합니다.
저수온기에는 작은것하나라도 신경을써야
좋은조과로 이어진다 생각합니다.
활성도가 않좋을시는 찌톱의 한마디싸움에 조과가 좌우되는 경우를 수없이 많이 경험했습니다.
추천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