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통의 기본원리는 봉돌은 바닥에 고정되 있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비교적 무게가 나가야겠지요.
그리고 붕어가 바늘을 삼기고 움직임을 가질때 원줄의 스토퍼와 봉돌이 만나면 봉돌도 움직일것이고 이것이 찌로표현되는 것입니다.
이것이 중통낚시의 전형적인 내림입질이 되는 되는것입니다.
수심측정은 하실 필요없이 투척후 낚시대를 거치 하셨을때 원하시는 길이 만큼 찌톱이 나오도록 찌를 올리거나 내려 주시면 될것 같습니다
그후에 낚시대를 밀거나 당기면 찌목수가 변하는데 미세조정은 낚시대를 조금 밀거나 당겨 주시면 됩니다
그리고 봉돌이 움직이면 입질이 나오는것이 아니고 봉돌은 그대로있고 원줄이 봉돌을 통과하면서 입질이 바로 표현되는것으로 알고있습니다 봉돌이 무거워서 이물감이 크기때문에 유동되는 구간을 주고 그 구간은 보통 찌톱의 길이를 초과하는것이 좋을것같습니다
중통낚시라는 것은 바닦에 봉돌이 닿아있고
내림찌와 비슷한 형태의 찌 모습으로 입질 파악하는 것 같은데
저부력 내림찌 다리에 편납을 감아, 찌톱 전부 노출 쯤이나 많이 노출 하고
투척의 용이함이 있으나 최대한 가벼운 봉돌을 사용하는 것이 아닌가(?)하는 생각입니다.
구멍봉돌을 사용하는 끝보기 낚시와 내림찌 낚시의 중간형태가 아닐까(?)하는...
붕어탐구생활님께서 잘 설명 해 주셨네요...제가 덧 붙이자면,
봉돌은 바닥에 닿아있고 유동폭만큼 끌고가는 입질표현입니다..
그러기에 찌의 부력이 적을 수 록 부담없이 끌고 가겠죠..
내림에서는 봉돌이 떠 있어서 봉돌로 부력을 줄여주는 것 이라면
중통은 봉돌이 바닥에 닿아있기에 찌 다리에다 편납을 감아서 부력을 줄여주는 것 이죠..
봉돌은 붕어가 들어 올리는 것 이 아니기에 바닥 찌맞춤보다 약간은 무거워도 되고요
유동폭은 찌탑길이보다 더 길어도 괜찮습니다...
찌는 본인이 보기 좋을만치 내놓으시면 됩니다.^^*
아.. 수심 마출필요가 없는건가요? 그냥 찌가 잠기지않을정도로만 마추면 되는건가요?
그리고 붕어가 바늘을 삼기고 움직임을 가질때 원줄의 스토퍼와 봉돌이 만나면 봉돌도 움직일것이고 이것이 찌로표현되는 것입니다.
이것이 중통낚시의 전형적인 내림입질이 되는 되는것입니다.
그후에 낚시대를 밀거나 당기면 찌목수가 변하는데 미세조정은 낚시대를 조금 밀거나 당겨 주시면 됩니다
그리고 봉돌이 움직이면 입질이 나오는것이 아니고 봉돌은 그대로있고 원줄이 봉돌을 통과하면서 입질이 바로 표현되는것으로 알고있습니다 봉돌이 무거워서 이물감이 크기때문에 유동되는 구간을 주고 그 구간은 보통 찌톱의 길이를 초과하는것이 좋을것같습니다
내림찌와 비슷한 형태의 찌 모습으로 입질 파악하는 것 같은데
저부력 내림찌 다리에 편납을 감아, 찌톱 전부 노출 쯤이나 많이 노출 하고
투척의 용이함이 있으나 최대한 가벼운 봉돌을 사용하는 것이 아닌가(?)하는 생각입니다.
구멍봉돌을 사용하는 끝보기 낚시와 내림찌 낚시의 중간형태가 아닐까(?)하는...
봉돌은 바닥에 닿아있고 유동폭만큼 끌고가는 입질표현입니다..
그러기에 찌의 부력이 적을 수 록 부담없이 끌고 가겠죠..
내림에서는 봉돌이 떠 있어서 봉돌로 부력을 줄여주는 것 이라면
중통은 봉돌이 바닥에 닿아있기에 찌 다리에다 편납을 감아서 부력을 줄여주는 것 이죠..
봉돌은 붕어가 들어 올리는 것 이 아니기에 바닥 찌맞춤보다 약간은 무거워도 되고요
유동폭은 찌탑길이보다 더 길어도 괜찮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