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바닥낚시

· 떡밥낚시, 유료터낚시 등 바닥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질문/답변] 찌 맞춤 질문입니다

IP : 70b73aebb537dcb 날짜 : 조회 : 5913 본문+댓글추천 : 0

노지는 아~주 가끔 다니고 손맛터 위주로 다닙니다만.. 요즘들어 붕어의 앙탈을 느끼고싶네요 !! (손맛터 개끌려오듯이 끌려옴..앙탈이라곤 찾아볼수가...ㅋㅋ) 그래서 노지위주로 다녀볼려고하는데요. 그전까진 어딜가나 현장 찌맞춤을 하였습니다. 시간적 여유가 많이 없는 관계로.. 집에서 짬내서 수조맞춤을 하려고 만사천원정도? 주고 수조통을 하나 구입을 하여..찌 맞춤을 해보았습니다.. 현재 모든채비를 한상태로(바늘+봉돌+스냅핀?+전자케미)원줄제외 케미꽂이 거의 노출상태로 마춰논 상태입니다. 여기서 질문입니다. 노지를 가게 되면 2.5(드림대)칸정도의 쌍포로 할꺼같은데요 손맛터위주로 다니다보니 대물때문에.. 원줄을 카본3호줄을 쓰고있습니다 (3D아르테미스제품) 라기보다 다른줄이 없습니다 -_-;; 현장에 가서 캐스팅을 해보면 케미꽃이가 거의 노출된상태로 마춰논 찌맞춤이 수면에 일치할꺼같은 느낌이(원줄의무게때문에..) 드는데요.. 수조로 마춰본적은 없어서 이렇게 하는게 맞는걸까요?? 수조로만 찌맞춤을 하시는분들의 경험담이 필요합니다 !!

1등! IP : 614d2d6faa1835d
수조에서 5호봉돌, 케미 전부노출, 2.8칸, 2.5 카본, 현장 수심 1m내외.. 잠깁니다. 바늘포함 맞추셨다면 그나마
안 잠길지도.. 참고로 제 채비는 미터당 한목반 정도 차이나는 것으로 대충 감잡아서 대응하고 있습니다. 수조에서
맞출때 한목에서 두목정도 무게 잡아주는 쇠링 포함해서 맞추고... 현장가면 빼서 낚시하고 ..모 그런식인거죠..
추천 0

2등! IP : 3c5bf8916f1f48d
3호줄이면 좀 무겁게 맞추는것이 낳을듯하네요~ 현장찌맞춤 캐미 반노출
저는 카본 2.5호줄로 쓰는데 수조는 전부 케미전부노출합니다 그리고나서
현장가서 쇠링대자하나 추가하구요 수심 칸수에 따라서 조금씩 틀리더라구요
25대이니 현장찌맞춤도 전부노출이 좋을것같은데 3호줄이니 현장가서는 반노출이 좋을듯합니다~
추천 0

3등! IP : 276c7d51b8cd450
현재 상태로 사용은 가능하지만 무게작용은 원줄 떡밥인대

수심의 깊이에 따라서 무거워 질수있습니다

현상태로 실전에 사용시 약간의 현장맞춤 확인이 필요합니다

현상태(수조맞춤)실전에 투척시(케미노출)은 무조건 케미가 잠깁니다

이유는 원줄무게 떡밥무게 수심의 깊이

바닥용 떡밥 두바늘 사용시 적용이며 외바늘이라도

부력은 무겁게 나옵니다 사용상은 무난하다고 봅니다 지금시즌에서는요
추천 0

IP : 3ffe2dd96dd13e5
반대로도 해보시면 되여~~이번에 수조통에서 맞추신거 메모해두시고 노지가셔서 찌맞춤 하시면 답 나오지요 카본줄3호무게로 찌가 더 가라앉는거니까 표준정도 맞추신뒤 낚시 끈나고 집에오셔서 현장찌맞춤한걸 수조통에 담가보시고 현장가시기전 수조통에서 찌맞춤 어찌했는지 메모해둔것과 비교해보시면 답 나옴니다.~참 왠만하면 바늘도 빼고 마추시구요~
추천 0

IP : 276c7d51b8cd450
수조바닥 떡밥낚시 찌 맞춤시 실전사용 근접 맞춤은

바늘+봉돌+도래+낮케미 세팅후 맞춤시

찌 탑높이 5-10cm정도수면에 올라온 상태로 맞추면 실전에 투척시

수면일치 또는 1-3목정도 수면위로 올라옵니다

물론 찌 탑길이에 따라서 약간의 변수가 있으니 실전 투척후 찌 입수과정이 중요합니다

투척후 찌 몸통이 수면위에 누운체 발딱 일어남과 동시에 서서히 입수하면 최상의 맞춤이며

빠른속도 사선입수는 필히 부력조절이 필요합니다

노지 바닥 떡밥낚시 외바늘 채비 찌 맞춤입니다

5-10cm올라온 상태 수조 찌 맞춤은 실전에 투입시 원줄무게 떡밥무게 수심차 극복

잔존부력 대비 맞춤이니 참고하시면 좋을듯 합니다
추천 0

IP : 70b73aebb537dcb
답변감사드립니다 도움많이되었습니다 ㅎㅎ 언능출조가고싶네요 ㅎㅎ
추천 0

IP : 70b73aebb537dcb
갑자기 궁금해지네요...대략적인 떡밥무게의 고무?와실제 낚시할때 쓰는 원줄 길이를 똑같이 달고 모든채비를한상태에서 수조 찌맞춤을하게된다면 구지 현장가서 2차 찌맞춤을 할필요가 없지않을까요?
추천 1

IP : 276c7d51b8cd450
찌 입수과정을 보시고 부력조절 결정하세요

수조통깊이 1m정도에서 위상태로 찌맞춤된 상태는

실전 수심깊이(15-2m)에 포인트가 형성시 수심깊이에 따라서 변수가

생기므로 입수과정 참조하시면 이상적인 찌 맞춤이 되리라 봅니다

그냥 사용해도 무방하리라 봅니다

부력 확인시는 낚시할 포인트에 떡밥달아 투척을 원칙으로 합니다
추천 0

IP : 2d4b125f1bf1e4b
제가 생각해도 무방할듯 음... 어쩌면 중짜 쇠링하나 채워야 할지도... 노지는 케미꽂이 마춤은 헛챔질이 많아서 비추입니다~
추천 0

IP : 70b73aebb537dcb
네 답변해주신 조사님들 감사드리며 어복충만하시고 안출하세요 ^^
추천 0

IP : e2e11773fe0eed4
현장 찌맞춤 시간을 줄이기 위해 수조맞춤을 하는 것은 좋고요.. 수조맞춤으로 이래저래 하다보면 찌맞춤 원리를 이해하는데도
크게 도움되서 꼭 해보는 것이 좋습니다. 이렇게 수조와 현장을 병행하다보면 요령도 생기고 자신의 한 찌맞춤에 확신을 가지게
되서 어려운 시간내서 출조했는데 현장에서 의문투성이로 피곤하게 낚시하다가 돌아오는 일이 적어지겠죠..

제 짧은 경험으론 어짜피 찌고무하단 영점맞춤하는 것은 수조에서도 제법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이런 맞춤은 비시즌기에 연습삼아
해보시고 찌마다 틀리겠지만 찌만 살짝 내놓고 하실경우 3목이상 올라오겠끔 마이너스 찌맞춤하고 현장상황에 맞춰 쇠링 한두개
넣어서 하시면 시간도 덜 들고 좋습니다. 저 같은 경우는 노지라면 찌탑 다 들어날때까지 수조찌맞춤하고 현장가서 쇠링 넣어
낚시하고 있습니다.

현장에서 사포, 네일케어용 야스리로 찌맞춤하신다면 투박해 보일 수도 있겠네요 ^^;
추천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