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바닥낚시

· 떡밥낚시, 유료터낚시 등 바닥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질문/답변] 찌가 예민하다? 고수님들 조언 부탁드립니다.

IP : 53ab7c9b84dfc59 날짜 : 조회 : 8938 본문+댓글추천 : 0

존경하는 월척 회원님들 무탈하시고 가내 평안하신지요 관리형저수지(양어장)용 떡밥찌를 구입하려고 여기저기 눈팅을 하고 있습니다. 월척에 글 올리신 것들을 찬찬히 살펴보니 양어장같은 관리형 저수지에서 떡밥찌는 가능하면 예민하게 저부력이 좋다라 의견들이 많이시더군요. 2~4호 정도를 가장 많이 말씀하시더구라요. 양어장이면 대부분 수심이 깊죠. 제가 가려고 하는 곳도 1.5m 넘습니다. 그 정도 수심에 맞게 준비하려면 대략 찌 길이 50~60 센티정도 찌를 구입해야 할텐데 시중에 나와있는 여러 떡밥찌들을 보니 길이가 50~60 센티 정도 되면 대부분 5호-6호 많게는 7호 이상나가는 찌들이 많던데 관리형저수지는 가능하면 예민한 저부력 찌를 써야 한다는 것과 배치되는 것이 아닌지요. 그리고 관리형 저수지는 예민하게 찌를 써야 한다는 것이 무조건 부력이 적게 나가는 저부력찌를 사용해야 좋다다는 것인지 자중대비 순부력이 높은 찌가 좋다는 것인지 저부력이든 고부력이든 순부력이 높든 낮든 찌맞춤만 예민하게 하면 된다는 것인지 좀 헷갈립니다.

1등! IP : c9c74c0103f70a3
1.50~60짜리 찌들중에도 봉돌이 1~2호정도인 저부력찌들도 많이 있습니다.

2.손맛터만 아니라면 3~4호봉돌 나가는 찌들로 충분히 예민(?)하게 사용가능합니다.
추천 0

2등! IP : 31fbaaaf964d0a4
현재 양어장용 주력찌로 나루예 미실 이라는 찌를 쓰고 있습니다. 3푼(1호미만)정도 되구요
그전에 나루예 소금화(小) 사용했었는데 미실과 비슷합니다.

찾아보시면 50~70정도 길이에 봉돌 1호정도 사용할수 있는 찌가 많습니다.

고부력(양어장에서는 3호이상 고부력이라고 지극히 개인적인 생각입니다. 테클 없으시길...)과 저부력(1호미만)
영점 맞춰서 낚시 해 보시면 찌의 움직임이 확연히 차이 난다는 것을 느끼실수 있을껍니다.
1호미만 추천 합니다.
개인적인 경험으로 결론을 말씀드리자면 저부력찌를 예민하게 맞추는 것이 조과가 가장 좋았습니다.

하지만 1호 미만의 찌를 쓰게 되면 단점이 발생 하는데 영점을 맞추더라도 떡밥을 조금 크게달면 투척후에 찌가 벌떡 서가지고
서서히 자리잡는 모습을 보기 힘듭니다. (사선입수 발생확률이 높습니다.)
그러므로 투척후에 낚시대를 뒤로 당겨주어 최대한 수직정렬에 신경 써주시면 조과에 다소 도움 됩니다.

그리고 영점(저의 영점 기준은 바늘 달지 않고 케미꽂이까지 드러나게 맞춤)을 맞출때는 원줄에 봉돌까지만 채결하는것도
중요 합니다.
추천 0

3등! IP : 5b281c75c96c37a
그냥 이번녀도 유료터를 많이 파봐서 느낀점을 나열하자면.....

찌는 여러 조사님들께서도 많이 쓰고 평도 좋은 나루예 녹수 사용하시면 됩니다. 부력은 3~4호 길이는 45,50,55 이렇게 있는듯

찌맞춤은 지금처럼 활성도가 안좋을땐 확실히 스위벨,좁쌀채비가 유리하며

활성도가 좋은 시즌에는 일반 원봉돌 채비가 유리합니다. 활성도 좋을때 좁쌀,스위벨처럼 예민한 채비하면 헛챔질만 하다가 끝남.
추천 0

IP : 8d0f7860d4ed386
찌맞춤을 잘 하실려면 원줄이 중요합니다.
원줄 멀 쓰시는지 모르지만 모노라인으로 2호를 넘지 않게 원줄을 사용해보세요
예민하게 맞춘채비는 줄에 영향이 상당히 큽니다.
안출하세요
추천 0

IP : fdedb3dfb6942e0
관리형저수지(양어장) 1.5~3m 수심에는 말씀주신대로 50~60cm에 3~4호 봉돌이면 좋습니다.
수심이 깊어질수록 부력도 좋아야 합니다. 거기에 맞는 찌선택이 있어야하구요.
50~60cm크기에 저부력 1호이라면 밑밥, 채비관리에 신경이 많이가기에 추천드리고 싶지 않습니다.
초보자인 경우, 우선 사선입수 즉 밑밥의 무게를 감당하지 못하는 찌부력이면 하루종일 찌높이가 틀려집니다.
경험이 많은 분들일수록 그런부분을 제어를 잘 하시는 것 입니다.

자중대비 순부력이 높은 찌가 꼭 좋은 것은 아닙니다. 50~60cm에 3~4호 봉돌 기준으로 발사찌를 쓰시면 무난하구요,
채비와 찌맞춤에 신경을 쓰시고, 밑밥운영에 대해 더 신경을 쓰시는 것이 좋습니다.
찌선택에 흔를리면 계속 갑니다. 찌는 기본에 충실하면 됩니다. 믿으세요^^

네이버에 "이정호 전통낚시"를 검색하시면 좋은자료와 길라잡이가 있습니다. 참고하세요.
추천 0

IP : 31fbaaaf964d0a4
3~4호 정도가 적당하시다는 의견이 많네요.
저도 3~4호 쓰다가 1~2호로 바꾸고 조과가 좀 좋아진 편이라 추천드렸습니다.

1호미만으로 채비해서 쓰고, 운용할때 개인적으로 어렵거나 불편한 점은 없었습니다. ^^
윗분들이 좋은말씀 많이 해주셨습니다.

한가지 1~2호든 3~4호든 밑밥의 무게를 감당하지 못하는 찌부력이면 사선입수가 일어납니다.
그 부분에 있어서 하루종일 찌높이가 틀려진다는 표현은 다소 과장된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듭니다.

좋은 찌 선택하셔서 즐거운 낚시 하세요 ^^
추천 0

IP : 5451a04ec616009
3-4호 겨울에는 조금 힘듭니다....겨울은 1-2호가 좋습니다..

4호는 더운날씨 잔챙이들이 많을때 씁니다...

참고로 전 인터넷에서 5000원짜리 찌 사서 쓰고 있습니다...

찌하고는 무관한듯 싶습니다..
추천 0

IP : dc8c400f5fce3a3
손맛터 같으면 고기반 물반입니다..

그중에 절반 이상은 중층이상에 머무는 고기구요..

지금 날씨면 활성도 한참 좋습니다..

너무 저부력 쓰시면 내려가는동안에 다털리거나 내려갈때 챔질해야하는 중층? 낚시같은 느낌이 들기도 할것 같습니다.

찌는 고정형태 셋팅하여 입수속도를 최대한 빠르게하며 조금 고부력 2~ 3호정도.. 분할이나 좁살로 쓰셔서 뜬고기 피해서 채비를 먼저 안착시키는게 중요할 것같습니다.
추천 0

IP : 390c45d3f8a9a0a
제생각엔 고부력이던저부력이던상관없다고보여지네요 전10호봉돌이상나가는찌만사용합니다 6칸이상 그정도부력은나가야지만 스윙이되니깐요 본인이가진찌의특성을알고 거기에 맞게끔 찌맞춤을 하고 또한 떡밥운영만 잘하시면 좋은조과를 보실거라생각되네요
추천 0

IP : 7716074b4e093c9
나루예 미성같은 경우도 3호부력에 길이가 60cm 정도 됩니다.....그외 2.5-4호정도는 찿아보시면 꽤 있습니다.
추천 0

IP : 467a906a7dad440
양어장 고기들은 입질이 아주 작다고들 합니다...
그들만의 생존기법인거겠죠....
노지에서 처럼 무겁게 찌를 맞추면 살짝살짝 입질하는 어신을 알수가 없을 겁니다..
그러므로 작은 입질도 바로 찌에 나타날수 있도록 보통 2호 미만의 저부력찌를 사용하라고합니다..
대부분의 양어장 낚시터에 가면 2호정도로 키 큰 찌 판매합니다..
추천 0

IP : 86cc4388d5f6fc6
답변주신 분들 모두 감사합니다.

소중한 조언들 깊이 새겨 듣겠습니다~
추천 0

IP : 13acf7e76055e3f
산하늘님 말씀에 한 표요.^^*

사족으로 몇 자 적습니다.
양어장에서 예민하게 즐기기 위한 찌맞춤.....
찌의 푼수(부력)도 중요합니다만 못지 않게 중요한 것이
수심, 수온, 바람 등 양어장의 상황을 고려하여 칸수에 맞춰 사용하는 것과
입질을 원하는 방식으로 표현하게 하는 채비운용일 것입니다.

양어장이라면 대개 32칸 정도가 로얄칸일 것입니다.
앞바람 부는 날 2호 이하 부력의 장찌로 32칸 정도에 채결하여
예민한 입질을 기대하는 것이 얼마난 바람직한 것일지는.....
투척시 받는 스트레스......ㅠㅠ

3M 정도의 수심이라면 10호가 넘어가는 고부력에
찌탑만 1M 이상의 장찌로도 몸통올림이 가능하고,
45CM정도의 자중대비 고부력찌로 반마디 혹은 1마디 올림입질을 받아
랜딩하는 기분도 나름 색다른 맛이더군요.

찌는 찌일 뿐이며, 찌가 좋아야 조과가 좋다는 생각에 동의하지 않는 고집쟁이의 푸념입니다.
즐낚하세요.^^*
추천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