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바닥낚시

· 떡밥낚시, 유료터낚시 등 바닥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질문/답변] 찌길에따른 찌오름속도

IP : 22457ac51acc675 날짜 : 조회 : 11761 본문+댓글추천 : 0

같은호수 같은모양 찌길이만 다른 찌의 경우 붕어의 입질시 찌오름의속도가 다른가요? 왠지모르게 30cm찌보다 50cm의 찌가 찌오름 속도가 늦을것 같은데 차이점을 알려주세요 긴찌와 짧은찌의 찌올림속도 문의드립니다.

1등! IP : 084b1618d1dd171
찌올림 속도는 찌톱길이와 관련이 없구요.
채비의 총 비중이 뉴튼의 법칙에 의해 빠르기를 결정합니다.

총비중,,이란 찌의 무게+원줄(찌~봉돌)+소품+봉돌,,의 무게입니다.
보통은 작은 봉돌에 맞춤되는 찌가 더 빠른 반응을 보이게 되는 것입니다.

바닥낚시에선 찌의 모양,크기,순부력,,등이 큰 차이를 내지 못합니다.
내림낚시라면 찌의 모양,크기,순부력,,등이 큰 차이를 냅니다.

수압은 모든 물체를 수직 윗방향으로 밀어 올립니다.
게다가 찌톱은 얇고 부피도 작아 같은찌에 찌톱만 바뀐다고 큰 차이를 보이긴 어렵겠네요.

차이가 없지는 않겠지만 ±량이 적어 비교가 어렵겠습니다.
같은 맞춤이라면,, 늘어난 부피만큼 봉돌이 줄지만...그 양이 너무 적네요.
추천 1

2등! IP : 1d0d980c27384cf
형제꾼님
같은 부력, 같은 재질, 같은 모양, 같은 부피의 찌와 동일장소, 동일수심 등 모든 조건이 같다면
다만 찌 길이 차이만으로 찌 올리는 속도가 다르지는 않습니다.

다만, 15cm 길이의 찌톱과 30cm 길이의 찌톱이 몸통까지 올리는 체공시간은 30cm길이의 찌가 더 길겠지요.

그렇다고 찌 길이가 길다하여 무조건 찌가 높이 솟고 체공시간이 길다고 보기는 어렵습니다.
그러나 보편적으로 긴 찌가 높이 올라오는 경우가 많은데요.

여러 가지 이유 중에 하나는
짧은 찌 경우 빠른 시간에 몸통까지 올라오면서 이물감이 느껴지기 때문이고,
긴 찌의 경우 이물감이 발생하는 몸통까지 올라 올 수 있는 시간이 길기 때문에 높이 올라오는 것입니다.
그래서 챔 질 타이밍이 차이가 날 수도 있는 것이지요.

그러나 붕어의 입질형태에 따라서 찌의 변화가 다르게 나타납니다.

결론적으로 말씀드리자면 찌 길이에 따라 솟는 속도 변화는 없다고 봐도 무방할 것입니다.
추천 2

3등! IP : 22457ac51acc675
손놀림님 자연자연님의 말씀잘들었습니다.
기본에 장찌와 단찌가 있어 30짜리 단찌는 2m수심권사용시 촐랑대는 느낌을받아 50을쓸지 30을쓸지 고민하고 있었습니다..
50은 수초대 1m 이라 저수심권에선 쓰기가 불편하고 ...
한가지 길이로 통일하려고 하다보니 이왕이면 찌올림속도가 느긎한것으로 갈까 생각했습니다..
40정도면 될듯한데 찌길이때문에 이중투자가 두려워 이래저래 생각좀 하고 있습니다
추천 0

IP : db9f7ad3e6fc589
찌올림의 속도와 폭은 전적으로 붕어에 의해 결정됩니다.
붕어의 똑같은 반응에 찌의 움직임이 다르게 나타난다는 개념보다는
찌의 형태나 채비에 따라 붕어가 다르게 반응한다는 개념이 더 적절한것 같습니다.
얕은데서 긴 찌가 불편하듯이, 깊은 수심에선 짧은찌가 불편하기도 하니
긴찌 짧은찌 두루 사용하시는게 좋지 않을까 싶습니다.
실제로 깊은 수심에선 높은 찌올림도 빈번합니다...
짧은찌는 충분히 표현하기에는 찌톱이 짧다고 느껴지는 경우가 많더군요^^
추천 1

IP : 16d6adc4bcef165
붕어님 마음.. 살살 올릴까 쑤욱 올릴까..

수심이 깊은곳에서는 안정수심층까지 50센치는 올릴것 같으면 그정도 올릴것이고요..

수심이 얕아서 안정수심까지 10센치면 그거만 올리고 빨고 이동하던가 , 뱉던가요..

붕어님 마음...


수심 깊은 곳에서는 안정 수심층이 넓기때문에 좀 많이 올립니다..


여기서 짧은찌 찌탑이 10센치라몬 10센치 올리고 살짝 동동하다가 빨고 들어가거나 뱉거나..

찌탑이 50센치면 50cm까지 올리고 뱉던가 빨고 들어가던가요.

찌탑 부력이 짧고 무거운 것보다 가볍고 긴 찌탑이 이물감없이 더 올라가는 것 처럼 보이겟지요..


결론은 붕어님 마음이고.. 부수적으로 찌탑 무게나 길이를 조사님에 성격대로 맞춰서 하시죠..
추천 0

IP : 0cc32a08e6fd67a
예민한손놀림님의 "수압은 모든 물체를 수직 윗방향으로 밀어 올립니다"

"수압은 부력체를 수직 윗방향으로 밀어 올립니다"가 맞는 말아닌가요?
수압은 물체 사방에 작용 하는걸로 알고 있는,,,제가 말못 알고 있나???
추천 0

IP : cd2e314d272ecd7
양어장 낚시터나 중국붕어 많은 관리형 저수지의 경우는 길이만 조금 다르고 같은 찌, 또는 모두 같은 찌라도 채비의 형태와 떡밥 운용에 따라서는 찌올림 정도의 차이가 나는 경우는 많습니다.
예를 들어 원봉돌 만 사용하는 채비와 분할봉돌을 사용하는 채비 두 대로 쌍포낚시를 했다면 말이지요.
추천 0

IP : 084b1618d1dd171
잉철님께...

수압은 심지어 봉돌도 수직 윗방향으로 밀어 올립니다.

봉돌도 부력이 있다는 말입니다.

작용에 관한 말이지 수압이 사방팔방 있고 없고의 이야기는 아닌것이죠.

모든 물체는 물속과 물밖에서 무게의 차이를 보입니다.

그만큼 수압이 있어 물체를 밀어 올리려는 힘으로 작용하고 있기 때문이지요.

이제라도 바로 아셨으면 합니다.

또한 부력체,,는 뭔가요...부력에 영향을 받는 물체를 말하나요? 그럼 봉돌도 부력체입니다.
추천 1

IP : 46da5143e0ed5a4
찌는 왠만하면 두셋트는 맞춰서 가지고 다니시는게 좋습니다~말씀대로라면 대형저수지권 깊은구심 맹탕에는 45cm~60cm정도 찌가 좋겠구요 또 수초포인트나 수로등 수심이 얕고 채비투척이 힘든곳은 단찌를 쓰셔야겠지요~~
추천 0

IP : d1d262b9096abd1
붕어가 찌를 올리는거지
찌가 붕어를 올리는 건 아닙니다

어던찌는 매번 슬로우고 어떤찌는 매번 미사일 입니까?

고로 전 예민한손놀림의 이론을 반박합니다
하우스 낚시에서는 절대로 노지 수초낚시보다 느린 찌올림을 보수 없다는 이론을 전 받아드릴 수 없네요

예로 낚시중에 봉돌이 달린 원줄을 자른다면 찌는 어떤 속도로 올라올까요?
그 올라오는 속도가 찌의 상승력 입니다 그걸 잡아주는게 봉돌이고요 그 균형을 깨는게 붕어입니다
추천 0

IP : d1d262b9096abd1
예민한손놀림께 질문 하자면
찌톱의 길이가 40Cm이고 수면 위로 4Cm 정도 찌탑을 내놓고 낚시 할때
몽통을 찍을때까지 10초가 걸렸으면 좋겠는데
그때는 총 비중을 어느정도 사용하면 되는지요?
추천 0

IP : ecf7d86f495b841
물리학쪽에 높은 학위를 가지신분이 정리해주셔야겠네요 ㅎㅎ
추천 0

IP : bbe1547c655f984
찌올리는 속도라 경험상 같은조건에
작은넘은 급하게 큰넘은 얌전히 올리던데요
ㅋㅋ 찌톱에 길이는 대물찌라면 크게 적용되지
않아 보입니다
추천 0

IP : 64496f40d304cb9
속도상관없구요
장찌경우그람수많이나갈수록묵직하게올라옵니다
길이보다중량몸통형태따라속도차이날수있습니다
추천 0

IP : 9136894210fb3f6
붕어가 봉돌을 들어 올리는 속도에 비례하므로 전혀 상관이 없고
다만 붕어가 미기를 물고 손살같이 위로 올린다면 긴찌라기보다는 부력이 많이 나가고
가볍게 맞춘 찌가 반발부력이 커서 쭉 빨리 올라오지요
추천 0

IP : 73a2de06fac59ac
앞에분들의의견에공감이가고요찌의몸통 형태에따른 물의저항도있다고 생각합니다 어느정도수심이있는곳에서 여러형태모양 의 찌를사용해보면
얇고긴막대형 하고 고추형이나쏘세지형? 같은찌몸통형태에따른 찌올림 속도도차이가있 음을확인할수있었더같습니다
추천 0

IP : 9f0a60338d29739
어휴..강태공되기 참 어렵네요..이제 초보인데..아직도 넘을산이 너울너울~
해는 뉘엿뉘엿~ 아 빨리 담주가 기다려지네요. 오산cc근처 장계지를 회사직원분하고 가게 됐으니 ㅋㅋ
새우 이따시만큼 잡아서 사진찍어서 올리께요!
추천 0

IP : 9be816619fe8c85
대물은 나이(?)가 많아 조심성과 여유있는 몸짓으로 먹이를 흡입 후 천천히 움직이니까.. 찌는 천천히 올라 오고요.
청소년기를 아직 벗어나지 못한 작은고기?)는 천지분간을 할 줄 몰라 먹이 흡입 후 빨리 움직이니까.. 찌는 빨르게 올라온다.
추천 0

IP : 0cc32a08e6fd67a
물보다 밀도가 많이 높은 납이 물속에서 부력이 있다?
압력은 사방에서 균일하게 작용하는게 맞구요,
아르키메데스 보다는 뉴턴쪽이 먼저입니다.
중력이 있기 때문에 현재의 물리법칙이 존재 하구요,
압력은 공기, 대기중에서도 발현됩니다.
사람은 뜨려하지 않고, 항상 가라 앉으려 합니다. 중력때문이죠.
침력은 중력때문에 생깁니다.
양성부력, 중성부력, 음성부력.
음성부력 단어 내에 "부력"이 들어가 있다고 해서 부력이 있다고 말하면 안되죠.
물리법칙의 기초인, 중력을 무시하는 말입니다.
추천 0

IP : 8dae5bd0d5ed509
잉철님 말씀은 물속을 예로 들어 설명하자면,
비중 1 이상이면 무조건 침력만 존재하고, 비중 1이하면 무조건 부력만 존재한다는 의미로 보여지는데요. 맞으시는지요?

비중이 1이하이냐 1이상이냐에 따라 아르키메데스의 원리냐 뉴턴의 원리냐가 작용한다기보다 두 원리에 의한 작용이 어떤게 우선적으로 작용하냐가 아닌지요? 두 힘이 다 작용하는데 그게 어느쪽이 더 크냐에 따라 물속에서 뜨느냐와 가라앉느냐가 결정되는걸로 생각되어지는데요.

비중은 결국 질량과 부피의 비율을 의미하는바, 비중이 낮아서 물에 뜬다고 하여 중력의 영향을 안받는것도 아니겠지요. 부력값에 중력값을 종합하여도 뜨게 되는것일테구요, 비중이 높아도 부력은 존재하지만, 침력이 상대적으로 크기에 결과적으로 가라앉게 되는게 아닐지요?

갑자기 수압얘기하시다가 부력으로만 이야기가 쏙 옮겨가신것도 논지에서 이탈하신건 아니신지 합니다...

두분의 토론으로 한수 배워볼까 하다가 옆에서 안타까워 끼어들어봅니다.
태클로 오해하진 말아주시기 부탁드리며, 언짢으셨다면 사과드립니다.
추천 0

IP : 0cc32a08e6fd67a
로드레곤님 별말씀을,,,
제 처음 댓글에 다시 글을 다셨길래, 다시 첨언 적은 것 입니다. 부력을 언급하시니, 부력이 나왔네요.
부력은 중력에 의해 생긴다고 말씀을 드렸는데요?? 우선순위가 아니라, 기초적인 내용입니다.
지구에서 발생하는 거의 모든 물리법칙은 중력 때문에 생깁니다. 부력도 포함됩니다.
부력이 없는 비중이 높은 금속 등은 물속의 수압이 있다고 해서, 물체를 위로 올리지 않습니다.
중력에 의해 공기중에선 기압이, 물에서는 수압이 생기죠.
봉돌은 대기중이든, 물속이든 중력에 의해 수직방향의 하강운동만 할뿐이지, 부력이 없기 때문에 상승운동은 할 수 없습니다.
추천 0

IP : 8dae5bd0d5ed509
아 수압은 중력으로 유발되기에 그런 말씀을 해주셨던거군요.
친절하신 답변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추천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