찌다리에 편납을 감는 이유는 찌가 빨리 일어섬으로써 채비가 낙하하는 도중에 들어오는 입질을 파악하기 위함입니다. 일명 자립찌라는게 있는데 찌다리가 카본이나 대나무가 아니라 스텐레스 강선으로 만들어집니다. 의도적으로 찌의 무게중심을 아래쪽에 강하게 준것이고 자립찌의 효과를 보고자한것이 찌다리에 편납을 살짝 감아주거나 유동홀더를 쭉 올려주는것 입니다.
여러개의 찌 부력을 동일하게 맞추고자 할때 찌다리에 편납을 감아서 사용하는데 입질에 크게 영향을 못느끼며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렇게 하면 수직 입수도 빠르고 분납효과도 있고 하여 즐겨 사용하고 있습니다.
낚시 도중에 찌의 손상이나 유실시 동일 부력으로 맞춘 다른 찌로 즉시 교체하면 되므로 이보다 더 편할 수가 없드군요.
저도 장교수님과 같은 목적으로 사용합니다.
바다봉돌 1호 달고 수조통에서 찌다리에
편납감아서 찌맞춤하고 전선 수축고무로
마무리 하여 사용 하는데
수초구멍에 찌세우는데 문제없고요
찌올림도 잘 올려 줍니다.
편납은 접착편납은 비추입니다.(전선 수축고무 압축할때 접착제에 의한 가스가
발생되어 완전 앞축이 안됩니다)
수조 찌맞춤시에 가볍게 마추어서
현장찌맞춤시에는 맹탕에서는 예민하게 그냥 사용하고
수초지에서는 접착편납 1mm정도 짤라서
전선 수축고무위에 더 감아서 사용하면
수초구멍에도 잘 들어갑니다.
그리고 찌다리에 편납 감을때 2바퀴이상은 비추입니다.
봉돌에 의한 자립이 아니다보니 원줄이 모노줄이고 수심이 깊다면 비추입니다
6호 이상의 봉돌을 쓰는 찌에서 다른 종류의 찌와 부력을 맞추고자 쓰는경우는 있으나 특별한 채비 변화에의한 이득은 없다고 보시면됩니다
입수가 잘되고 구멍에 넣기도 좋구요
봉돌무게을 분산시켜 좁쌀채비와 같은 효과 있지 않겠어요
제가 사용 하고 있어요
도봉님 말씀을 들으니 제가 세미플로팅 줄을 쓰는중이라
비추하시는 거에 맞구요 투니버스님 말씀을 들으니
써야할것 같구요 귀가 얇아서 고민이네요ㅎㅎ
아 참 편납을 감으면 얼마나 감으시나요?
찌표현에 문제 있다고 하시는데....전 못느끼며 사용중입니다...6.7호 부력을 모두 3호봉돌에 맞추어 사용합니다...
생미끼보단 글루덴 낚시에 강추합니다
손맛터인가요? ㅎㅎ
있습니다.
이렇게 하면 수직 입수도 빠르고 분납효과도 있고 하여 즐겨 사용하고 있습니다.
낚시 도중에 찌의 손상이나 유실시 동일 부력으로 맞춘 다른 찌로 즉시 교체하면 되므로 이보다 더 편할 수가 없드군요.
바다봉돌 1호 달고 수조통에서 찌다리에
편납감아서 찌맞춤하고 전선 수축고무로
마무리 하여 사용 하는데
수초구멍에 찌세우는데 문제없고요
찌올림도 잘 올려 줍니다.
편납은 접착편납은 비추입니다.(전선 수축고무 압축할때 접착제에 의한 가스가
발생되어 완전 앞축이 안됩니다)
수조 찌맞춤시에 가볍게 마추어서
현장찌맞춤시에는 맹탕에서는 예민하게 그냥 사용하고
수초지에서는 접착편납 1mm정도 짤라서
전선 수축고무위에 더 감아서 사용하면
수초구멍에도 잘 들어갑니다.
그리고 찌다리에 편납 감을때 2바퀴이상은 비추입니다.
찌다리에 아주가는 동선 구리선있지요 일명코일선
요걸 적당히감고 오초를 조금놓으면 아주 좋읍니다
무게 조정도 잘되고 잘풀리지도않고 여라게찌 부력을 같이맞출때는
전선이 아주좋읍니다
참고하시라고 적어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