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바닥낚시

· 떡밥낚시, 유료터낚시 등 바닥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질문/답변] 찌맞춤 도와주세요.

IP : 77c3bda00377fc0 날짜 : 조회 : 15104 본문+댓글추천 : 0

안녕하세요? 월척을 통해 많이 배우고 있는 초보 낚시꾼입니다. 찌맞춤이 어려워서 선배 조사님들께 문의드립니다... 제가 원하고 또 사용중인 찌맞춤은 예민하지도 무겁지도 않은 보통 찌맞춤입니다. 대충 맞추는거 좋아하고 찌맞춤에 연연하지는 않지만 어려운 부분이 있습니다... 카본 3호줄을 사용하고 있으며 케미달고 봉돌만 달고 케미만 전부 노출되게 수조에서 대충 찌맞춰서 낚시하는데요 주로 낚시하는 수심이 일미터가 넘는일이 거의 없어서 따로 현장 맞춤은 하지 않고 있습니다. 저처럼 케미만 노출되게 찌를 맞추고 실제로 낚시하면 조금 무거운 정도의 찌 맞춤이 되는게 아닌가요? 어제 밤낚시에 중후하게 올리는 입질 대부분을 헛챔질하여 찌맞춤이 예민한상태라 그런가 싶기도 해서 질문드립니다 찌 맞춤에 정답은 없지만 저 찌맞춤 잘하고 있는게 맞나요? 그리고 저처럼 캐미만 노출시키는게 영점 찌맞춤인가요 캐미가 수면과 일치 될때가 영점 찌맞춤인가요... 검색으로는 한계가 있어 질문글 올립니다 감사합니다

1등! IP : 160573e7fd42c8d
저와 다 똑 같은데 수조통에서 저는 케미 윗 부분에 맞춥니다.
그리고 김바다님 채비가 그리 가볍지는 않을 겁니다.
너무 신경 쓰지 마시고 본인 채비에 자신감을 가지세요.
올림 채비는 그렇게 큰 신경을 안 쓰셔도 됩니다.
그냥 저의 의견입니다
추천 0

2등! IP : 77c3bda00377fc0
화이트울프님 답변 감사드립니다 저도 찌맞춤 소신껏해서 의구심 안가지고 낚시하다가 헛챔질이 나무 심해 갑자기 머리가 아파서요ㅠㅠ 케미 윗부분이면 케미 꼭대기가 수면과 일치한다는 말씀이시죠?
추천 0

3등! IP : e75ff45e1a861c0
찌맞춤...
1.케미꽂이를 수면에 (노출)되게 하는...
2.(찌맞춤)은...
3.(예민)한 찌맞춤 입니다.
4.(중후)한 (찌올림)인데 (헛챔질)이 있었습니다.
5.그 찌놀림은 (예민)한 (찌맞춤)에서 자주 볼 수 있습니다.
6.너무 (예민)해도 (무거워)도...
7.(찌올림)에 나타나는 (상황)은 다소 불편할 수 있습니다.

8.(찌맞춤)은 (수조통)에서 하십시요.
9.(케미. 봉돌)만으로 (찌맞춤)을 하십시요.
10.(봉돌)이 바닥으로 천천히 내려 가서 (봉돌)이 바닥에 닿자마자 다시 천천히 상승하여 (케미꽂이) (상단)이 (수면)하고 일치하도록 하십시요.
11.평소에 사용하는 (바늘)을 그대로 사용 하십시요.
12.(목줄)의 길이는 (17cm)로 하십시요.
13.(찌맞춤)이 너무 (예민)하지도 (무겁지)도 않습니다.
14.(원만)한 (찌맞춤)이 됐습니다.
15.(중후)한 (찌올림)을 볼 수 있습니다.
추천 4

IP : 4d1f575dc9db11e
케미 전부 노출은 가벼운 맞춤에 가깝습니다

케미상단 끝부분이 수면과 일치할때 0점맞춤이니 표준맞춤이니 하는것이구요


수초등을 자주 끼고 하는 대물낚시에서는 가볍습니다 채비 안착에도 불리하구요

그리고 중후한 찌올림에서도 헛챔질 나는 경우는 많습니다

징거미나 잔챙이등등


헛챔질이 많이 날때 -

1.챔질타이밍 조절 - 한마디에도 채보고 찌가 동동거릴때 채보기도하면서 .. .
2.쇠링 추가로 무겁게 해본다
3.바늘을 작게하여 범인을 확인시도

도움되었으면 좋겠네요
추천 0

IP : e8dcb8d1c70fa07
산수부린님 감사합니다 10번 케미꽂이 인가요 케미인가요 ?
추천 0

IP : e8dcb8d1c70fa07
제너럴님 감사합니다 케미 상단이 수면일치 이게 저한테 맞는 것 같습니다 범인확인 너무 재밌네요 ㅎㅎ
추천 0

IP : e8dcb8d1c70fa07
데이브이빠님 답변 감사드립니다 지금 바늘이 10호인데 글루텐과 옥수수 위주로 낚시합니다 바늘이 더 커야 하나요?
추천 0

IP : d2f4cafe96d2306
카본줄3호라면 그대로 하시면 됩니다 그런데 내용중에 낚시할때 얼만큼 내놓고 한다는 말씀이 없는데 1목 내놓고 하셔야 합니다
추천 0

IP : 1d6691c0a523b2b
아... 제가 설명이 부실했습니다.

원봉돌채비에 찌는 한목이상 내놓고 목줄길이는 약 10cm 내외입니다.
추천 0

IP : e75ff45e1a861c0
찌맞춤...
1.(주간케미)를 사용하면...
2.(케미컬라이트)를 끼우고...(상단)에 (찌맞춤)을 하십시요.

3.(주간케미)를 사용하지 않으면...
4.(케미컬라이트)없이... (케미꽂이) (상단)에... (찌맞춤)을 하십시요.
추천 1

IP : 2cede07380a2e6d
캐미완전히노출은 가벼운맞춤입니다
하지만 카본사이고 바늘달고 한~두목 내어놓고 낚시하시면 적당하다고 보여집니다.그리고 입질시 찌몸통까지 중후하게올리면 통상적으로 후킹이 될텐데~~후킹이되지않을시엔 다른부분에서찾아보심이 좋을듯 합니다. 바늘크기에 맞지않는 잔챙이의 성화,징거미 등등~ 님의 찌맞춤은 사견이지만 무겁지도 가볍지도 않은 채비라 생각됩니다.
추천 0

IP : a4d92a6384b5948
캐미노출이든 수면일치건 그대로 사용해도 무방합니다
현장마춤안해도됩니다 채비는 잘되었습니다
추천 1

IP : 8599b9c15c42cec
찌맟춤은 이상 없는것같구요 치어 의 소행일수 있으니 치어어종 을 확인하려면 중층 0.8 호 목줄에 작은 바늘 매여있는 것을 단차 5센치주고 떡밥달아서 투척해보시면
치어소행인지 알수있을겁니다
추천 0

IP : 85b3e4cea36516b
3.2칸기준 3호 카본원줄 현 찌맞춤시 현장에서 던져보면 케미끝단이 수면과 일치하는 0찌맞춤입니다.
중후한 찌올림에 입걸림이 안되는건 짠치고기일수도 있고, 예민한 먹이활동일수도 있고, 토장탕에선 새우나 참붕어일수도 있고, 대류일수도 있고, 바람에의해 수초가움직이면서 원줄을 끌수도있고.. 등등 여러가지 원인이 있을수 있으니.
바늘과 미끼만 교체해보심이 좋을듯 합니다
추천 0

IP : 602fc7be344d5d4
헛챔질은 찌맞춤보다는 바늘호수와 목줄길이에더 영향이 있지않을까하구요 덧붙이자면 찌맞춤은 케미가수면과일치하는수평맞춤이든 캐미를 수면위로노출시키는약간예민한 맞춤이든 그맞춤보다 조금더 찌를 내놓고하는게중요하다고 생각됩니다 ^^
추천 0

IP : 44b383b40e0303a
카본3호 원줄이면 가벼운 채비는 아닌듯 합니다
그대로 하시면 될것 같은데요
추천 0

IP : 24dd6024d997ce3
저랑 같은채비네요~~저는 이채비가 가장 전천후채비라고 생각합니다~~
추천 0

IP : 2c6a922c8bb60c7
수조통에서 캐미노출이면 가벼운찌맞춤이맞는데
현장에서는 무거운찌맞춤에 속할듯싶네요
원줄카본3호면 수조에서 캐미노출하셨더라도 원줄달고 현장가시면 캐미끝만노출되거나 천천히가라앉을거 같네요
가벼운채비는 절대아닙니다ㅎ
중후한찌올림에 잦은헛빵이면 붕어가아닌 다른놈들이 올리는걸수도있어요 예를들자면 물방개요 방개입질중후함으로치면 끝판왕입니다ㅎ 붕어입질보다 좋지요ㅋㅋ
영점맞춤은 캐미끝부분이 수면과일치하는게 영점입니다ㅎ
추천 1

IP : a3bda4f86588ec1
▣영점찌맞춤

찌 부력과 거의 같은 무게의 봉돌을 달아서 봉돌이 바닥에 닿은 다음 서서히 떠올라서 찌톱 끝이 수면에 일치되게 한 찌맞춤

그러나 이 찌맞춤은 현장에 나가면 수압, 원줄무게, 물의밀도 등의 차이로 약간 무거운 찌맞춤으로 변한다.

그래서 지렁이, 새우 등 생미끼낚시용 찌맞춤으로 즐겨쓴다.



▣표준찌맞춤

부력보다 약간 가벼운 봉돌을 달아서 봉돌이 바닥에서 뜬 상태에서 케미의 절반 정도가 수면과 일치되게 한 찌맞춤

낚시할때는 찌톱 한두 마디를 더 올려놓으면 봉돌이 바닥에 살짝 닿는 찌맞춤이다.

오늘날 가장 보편적인 떡밥 바닥낚시용 찌맞춤으로 채비가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마이너스찌맞춤

찌 부력보다 많이 가벼운 봉돌을 달아서 봉돌이 바닥에서 뜬 상태에서 찌톱이 3-4마디 이상 나오게 맞춤한 상태

떡밥을 달면 떡밥 무게로 찌를 끌고 내려가게 만든다.

낚시할 때는 1마디 정도만 내놓고 쓰면 미끼만 바닥에 닿는다.



※붕처채비 연구가에 따라서 영점찌맞춤과 표준찌맞춤을 거꾸로 부르거나 혼용하는 경우가 있다.

위에것은 퍼온겁니다.
저는 영점은 캐미없이 봉돌만 달아서 수면과 찌끝이 일치.
표준은 캐미달고 수면과 캐미끝이 일치.
마이너스는 유료터갈때 찌톱2목정도 나오게 맞추었고,
대물용은 캐미없이 찌가 천천히 잠기게 맞추어서 사용했습니다.물론 현장찌 맞춤이 제일인걸로 압니다.
추천 0

IP : 77c3bda00377fc0
선배님들 친절하시고 상세한 설명 감사드립니다

역시나 찌맞춤엔 정답이 없는것 같습니다

초보인지라 괜히 채비에 의심만 들어서는...

채비 수정없이 그냥 쓰는걸로 결정했습니다!

아참 마름밭 구멍에 수월하게 넣으려면 쇠링 몇개 달아주면 되나요?

그리고 물방개에 한참 웃었습니다 ㅎㅎㅎㅎ
추천 0

IP : e276b6c0af871d2
안녕하세요~ 모노줄인경우에는 위의방식대로 하셔도 무방하지만 저의 소견으로는 카본줄은 물보다 비중이 나감으로 당겨지는 힘이 작용합니다 낚시대가 길면 길수록 심해지고요 비중으로 차지하게되는부분은 찌부터 봉돌까지인 반면 찌부터 초릿대까지의 원줄은 당겨지는 힘으로 작용합니다. 당겨지는힘은 부력과는 무관한작용을하는것이므로 당겨지지않게 할수있는 봉돌을 살짝 무겁게해도 무방하다 생각합니다~ 각자 쓰는 케미가 틀립니다 부력이 얼마나 되는지 무게가 얼마나 되는지 자기만 알고 있겠죠~~ 그무게를 감안해서 찌맞춤을 하시는것이 도움이 될것입니다. 저같은경우에는 낮케미와 밤케미 무게를 같은것으로 쓰고 있으며 찌맞춤은 현장에서 하며 바늘을 재거한상태 캐미는 꽃고 한목맞춤후 쇠링으로 가감을하여 사용중입니다. 보편적으로 귀찮게 그렇게하냐라고 하시는분들이 있는데 낚시는 과학입니다 오늘 물의 밀도 대기의 기압상태가 틀립니다. 고기의 예민함도 틀리고요 0.1그람 차이 어마어마하게 차이날때 많이있습니다. 이상 짧은 소견이였습니다~
추천 0

IP : 17b3f6c707f8692
저는 케미를 꼽꼬 살짝 바닥에 닿게끔 맛춥니다
그리고 김바다님이 아파트에 거주하시면 윗층일수록
찌 맞춤이 틀립니다 현장에서 체비 운영하심이 젤이고요
추천 1

IP : 35ab7c5a2367a86
나는
찌마춤과 아울러 낚시하려는 물속바닥의 사정과 변하무쌍.산 4계절에 물속바닥에서 일어나는 현상을 알아야만
지피지기면 백전백승이죠
즉 상황에 따라서 목줄길이도 바꿔어야 한다고봄
거의 낚시터마다 상황이 다르죠
같다고 상상하는 것은 자유입니다
추천 0

IP : b910284bcbc6fa7
김바다님 그상태에서 더 깍아도 그자리 입니다 영점은 수막을생각 하십시요 수막이 케미를 잡고이는게 보일겁니다 수막을 뚤어야 영점 입니다
추천 0

IP : 05720d6f3345e24
저는 카본줄 수조찌맞춤하고 현장 가보면 거의 다 잠기던데요. 그것은 현장에서는 카본줄 무게도 포함되어 그런듯합니다. 카본줄로 찌맞춤한다면 가벼운맞춤은 캐미전부노출, 보통은 캐미반노출, 무거운맞춤은 캐미수면일치로 맞춥니다. 그리고 상황따라 쇠링 가감하여 그날상황 입질에따라 변화를 주며 그날의 입질을 찾아가며 찌맞춤을 합니다.
추천 0

IP : 847dbecefd7373a
수조통여서 너무 예민하지도 너무 무겁지도 않게 찌마춤

하시려면

봉돌달고 케미빼고 찌톱 한목만 수면위로 나오도록

맞추시면 딱!입니다

사용하실때는 케미꽂고 사용하세유~
추천 0

IP : b4e6a8d10ba65e9
안녕하세요
울산에 서식하는 어복 입니다.
저도 아직 찌맟춤에대해 월척 회원님들 나름 정석이 있는걸로 압니다
저는 제가찌를 조립하여 쓰고 있으며 제나름대로 몸통 윗쪽상단을 기준으로봉돌을
맟춤니다 그리고 케미를 꼿았을때 케미꽃이 하단에 맟게 맟추어 쓰고 있읍니다.
케미무개에 의한 찌톰이 다내려가는 방식입니다.
바늘뺀무개이니 바늘을 달면 무거운찌맟춤이 되겠지요.
찌 고르실때 케미무개로 찌톰이 잠기는게 찌를 잘고르는 방법입니다.(낙시점사장님은 안좋아 하겠죠)
찌마다의 특성을 확인하시고 찌맟춤을 하시면 중우한찌올림을 보실수 있을것입니다.
저는 바늘단차 를 바늘 한개 차로 줍니다 ..
중우한 찌올림을 보시길 .. 도움이 됐으면 합니다..
추천 0

IP : 20c8443c222bb0d
선배님들에게질문 돼지감자찌 봉돌7호정도 원줄카본5호 자작 수조통에서 캐미달고 4목맞춤 봉돌이바닥에안착이되는지요
추천 0

IP : cd304aa9cbd63bb
요즘은 낚시환경이 그렇다보니 예민한 채비를 많이 사용합니다.
김바다님이 하시는 낚시는 예민한 채비는 아니지만 지금하고 계신 찌맞춤도 틀린방법이라고 할수는 없습니다.
그러나 님께서 질문하신 의도가 찌맞춤에 관해서 많이 궁금하신거 같아서 몇자 적어 봅니다.
일단 예민한 채비로 가시게 되면 처음에 많이 어렵고 햇갈릴수 있습니다.
그러니 천천히 이론과 실전을 경험해 보세요
찌맞춤의 메카니즘에 대해서는 어느정도 노력이 필요합니다. 그렇다고 거창하게 공부까지는 아니구요
찌맞춤에 관해서 나온 낚시책 하나정도는 읽으시면 많은 도움이 됩니다. 그리고 찌맞춤 수조에서 자신이 공부한 내용을 실험해 보세요
그러면 자신만의 채비가 머릿속에 나올겁니다.
지금 김바다님이 하시는 채비는 노지에서는 상관없으나 만일 유료터같은 경우에는 입질한번 보기가 힘들정도로 찌가 움직이질 않을겁니다.
닊시 손맛을 보시려면 요즘은 다양한 채비법을 숙지하고 있어야 합니다. 한편으로는 씁쓸한 현실이죠
급하게 생각하시지 말고 천천히 노력하시다 보면 좋은 결과가 있을겁니다.
추천 0

IP : 0932e2b2a8a0586
도움이 될지 모르지만....
말씀하신 현상이 계속 나타나면.... 목줄을 모노줄로 바꾸시고 해보세요...

저도 3번의 헛 챔질이 있으면 목줄을 모노줄로 바꿔서 합니다...

하고계시는 체비를 좀더 가볍게 하시면 2중 입수 현상이 일어납니다...한번 해보세요...추천 드립니다...
추천 0

IP : 7678cb53e7f020e
무바늘 캐미노출 찌맞춤에는 이상이없습니다 또한적당합니다 문제는 바늘다시고 낚시하실때죠 저는 찌맞춤하고나서 투척하고자하는 포인터에 무바늘상태로 찌가 한마디에서 한마디반노출까지올리고 낚시합니다
추천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