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향 32대를 쓰고있습니다.
그런데 스윙를 할때 앞치기가 잘 안되어서 선배 조사님께 물어봤더니
줄을 조금 짧게 하든지 초릿대를 10쎈치정도 잘라내고 하면 앞치기가 더 잘된다고 하는데
호사끼를 조금 잘라내고 해도 괞찮은건지 알고싶습니다.
연질대라고 고기 제압도 조금 어렵더라구요..
초릿대를 조금 잘라내면 제압도 좋을꺼 같기도한데 해보지 않아서 선배 조삼님들께 여쭙니다.
- © 1998 ~ 2025 Wolchuck all right reserved. ▲TOP
당연히 앞치기및 고기 제앞은 잘됩니다
그러나 초릿대 잘르는게 좋다 나쁘다는
사람에따라 성격에따라
호불호가 갈립니다
고기 제압은 초릿대가 아닌 허리부분에서 합니다
초릿대를 자르시는것보다는 줄을 짧게 메시는게 낫습니다
그냥 쉽게 소모품인 원줄 길이를 10~20cm줄이시죠.
초릿대 10cm줄인다고, 원줄길이를 대폭 길게 쓸수 있는 것도 아닙니다.
줄을 짧게 매시면 모든것이 해결 됩니다.
아~ 괜히 짤랐구나 하실겁니다ㅋ
참고로 저는 예전에 5센티를 시작해서 10cm~15cm까지도 짤라봤었습니다.
조금은 나아지기는 하던데, 크게 나아지는것도 아니고
그 작은 차이로 낚싯대 손될 필요성을....
원줄 길이를 10센티 단위로 자기한테 맞게 잘라서 사용해보십시오.
앞치기와 챔질시에 제압하기도 편할겁니다.
초릿대 시키기도 뭐 하고 해서 그냥 날라리 붙여 써 봤는데
원래 경질대이지만<무한 > 초 경질대라고 할 까요?
좀 더 좋아지는 느낌은 확실하게 있습니다만
대에 무리가 가겠죠...
뭐, 호 불호가 갈리는 부분이기에 초릿대 절단을 추천 해 드리지는 않지만
원줄을 짧게 메어 쓰시는 거은 추천 드립니다.
초릿대 자르시면 하드라고 생각하심 맞을꺼에요
초릿대를 10cm 절단하게 되면, 초릿대 끝이 굵어진 것 빼고도, 원줄만 20cm 줄인 것과 캐스팅 비거리가 같습니다.
왜냐하면 초릿대가 10cm가 짧아지면 낚시대 길이도 10cm짧아지면서, 원줄을 바톤대의 어느지점에 기준을 두고 계시는 경우
원줄길이도 더불어 10cm가 짧아지는 것입니다.
이런 경우라면 캐스팅 총비거리가 20cm 줄어드는 것이며,
초릿대 그냥 놔두고 원줄만 20cm짧게 맨것과 같으며, 거기에 초릿대가 자른 만큼 굵어져서
원줄만 길이를 줄인경우 원줄길이가 한 30cm는 줄어든 느낌하고 비슷할겁니다.
캐스팅 감이 비약적으로 상승했다는 느낌을 안받을래야 안받을 수가 없습니다.
초릿대 10cm만 잘라냈을뿐인데? 가 아니라.
초릿대도 10cm 잘라냈고, 원줄도 10cm 잘라냈고, 초릿대 굵기도 그만큼 굵어진 것입니다.
1번대가 강하면 2번대 3번대는 힘을 많이 받을수 있거든요,,,,낚시대중에 연질이지만 ,,허리힘이 강해 대어를 걸어도 잘부러지지 않고 단지 제압반경이 크고 시간을 걸리지만 결국 대어를 굴복시켜 잡는 낚시대가 있습니다 ,,,바로 하이옥수 ,,보론옥수 두종인데요,,,두종이 유명한건 ,,강한 허리힘과 질김이죠,,,,,두종이 부도로 인해 단종 됐지만 ,여전히 한국에서 얼마 안돼는 명품입니다 ,,,,앞치기 힘들다고 초릿대를 잘라내는것보다 줄을 잚게 메거나 앞치기 어려우면 내려치기해도 무방합니다 줄을 너무 잚게 메기 조금 불편하더라구요,,,
1. 제압력은 같습니다. (윗분 말씀대로 제압은 허리힘이 받쳐주는것이므로.)
2. 챔질시 후킹률이 더 좋아집니다.
3. 앞치기가 더 수월해집니다.
필요한만큼 원줄을 줄이면 됩니다!!
낚시대는 초릿대까지의 모든 구성이 맞게 연구된것이기에 자르지마시고 원줄로 조정하심이 좋을것같습니다!!
간혹 통초리대쓰면서 원줄 길게 쓰고 압치기 및 제압 잘한다는분들 있는데 재미있는건 통초리대가 1번2번대 합친길이보다 많이짧습니다!! 낚시대 그만큼 길이가 짧아지면 원줄길이 또한 많이 짧아진다는것!! 결국 정상길이의 낚시대에 원줄길이 조정이 답일것입니다!!
초릿대 짧게 잘라 뻣뻣하게 하는 것보다는
원줄을 짧게 매시는게 좋을 듯합니다.
그리고 고탄대를 사용하시는게 좋습니다.
추구하시는 낚시대로..
절단역시 동일할것 같지만 차이가 미미하겠죠
줄길이를 줄일걸 추천합니다
고가의 낚시대가 아닌지라 두 가지 모두 해봤는데요,
솔직히 말씀드리면, 둘다 괜찮습니다.
사용하는데 아무 문제 없고요, 앞치기 잘 됩니다.
예민하신 분들은 밸런스가 깨진다고 말씀하시는데,
저같은 사람은 앞치기가 잘되서 좋기만 하더군요 ㅎㅎ
굳이 둘중에 하나를 택한다면, 저도 줄을 줄이는걸 추천합니다.
왜냐하면 아끼는 낚시대에 흠집 내는건 좀 싫거든요. 그게 전부입니다^^
통초리 사용하십시요...
연질 중경질 경질.. 대충 20여 종의 대를 초릿대 절단도
해보고 통초리도 사용하여 수년간 경험한 결과..
연질대의 경우 정교한 손맛대가 아니라면
통초리 사용이 장점이 더 많습니다..
자기 손에 맞지않은 연질대를 발란스가 깨진다하여
불편함을 고수할 필요는 없습니다..
조구사의 낚싯대 설계원리나 여러 고수님들의 주장도
본인에게 맞지 않으면 무용지물이구요..
..지금 호소하시는 연질대의 불편함은
초리절단은 회복이 안되므로
통초리 사용으로 극복할 수 있습니다..
대의 길이 25-30 센티 짧지만 원줄길이 50-60센티
더 길게 메어도 앞치기 제어력 더 낫습니다..
같은 값이면 불편하지 않은 걸 선택해야지요..
연질대에 통초리...
앞쏠림이 생길 수 있습니다..
발란스도 변합니다..
대에 무리가 간다는 말도 일리 있습니다..
그러나 미터급 이상 초대형은 모르겟고..
다양한 어종.. 일부러 막 땡겨보아도 파손된 적
한 번 없습니다...
무리가 간다는 말은 실사용자에게는 별 의미가 없는 것이 지요..
개인적으로 특별한 손맛때문에..
연질대에 10년 가까이 통초리 사용합니다.,
실험결과 원대의 줄길이 40센티를 줄여야 캐스팅감이 비슷해지더군요. 신수향 사용당시 32칸~40칸까지 초릿대를 절단해서 사용했었구요. 시험삼아 한번 해보세요. 실험해봐야 답을 찾을 수 있습니다. 참고로 통초리는 무게중심의 흐트러짐도 초래함으로 절대 권장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