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위벨 채비 찌맞춤시 먼저 본봉돌을 달고 찌 몸통 찌맞춤 후
스위벨을 달고 캐미꽂이나 캐미수면일치 등의 찌맞춤을 하더라구요.
성질이 급한 저는 여기서 궁금증이 생겼습니다..
꼭 본봉돌을 먼저 달고 찌 몸통 맞춤 후 찌맞춤을 해야하나요?
그냥 한번에 본봉돌과 스위벨을 달고서 찌맞춤을 하면 안되는 것인가요?
이것이 본봉돌과 스위벨의 무게비율땜에 그런지 아님 다른 이유가 있는것인지
정말 궁금합니다!! 고수님들의 답변 부탁드립니다. 항상 안출 하십시오^^
- © 1998 ~ 2025 Wolchuck all right reserved. ▲TOP
최소한 스위벨이 찌톱을 누를 정도라야 한다는 조건에서 그렇게 하는데 떡밥찌 3호이하 부력을 갖는 거라면 스위벨 1호로 찌톱을 누를
수 있을겁니다. 아주 고부력찌가 아니라면 스위벨 3호 정도로도 찌탑을 누를 수 있을 겁니다.
하우스나 예민한 손맛터가 아니라면 위아래 봉돌을 달고 마춰도 상관 없을 듯합니다.
노지나 관리형저수지는 크게 신경안쓰셔도 될 듯 합니다.
분납을 올릴때 찌가 원활히 올라오지 않습니다
분납을 들어 올렸을때 올리는만큼 찌가 올라와야
찌올림에 손해가 없으므로
스위벨을 달기전에 몸통을 따거나
채비 완성 후 수조통을 들어서 목줄이 휘지 않고
찌가 끝까지 올라오나 확인합니다
군계일학은 분납을 상품화 하면서
몇호 봉돌에 스위벨 몇호 식으로 규격이 나와있기때문에
사용자가 굳이 몸통을 딸 필요가 없습니다
개인적으로 노지에서 토종붕어를 상대할땐
몸통따기 후 본봉돌을 더 깎아서 스위벨을 필요무게보다
좀 더 무겁게 씁니다
그렇게 하면 채비 안정성도 좋고
빠는 입질 확률이 줄어듭니다
사실 붕어가 이물감을 최소로 느끼고 몸통까지 올릴수 있는 물리적인 조건이 되는것인데
꼭 그것에 맞출 필요는 없습니다.
찌의 부력에 따라 다르겠지만 붕어의 입질이 좋을때는 그것에 맞추지 않아도 몸통까지 올리고요...
예민할때는 몸통까지 올라오기 전에 챔질을 하는경우가 거의 대부분이니
꼭 그렇게 맞추어야 할 필요가 실제로는 없지요...
보통 장찌를 써서 분할봉돌로 큰폭의 찌올림을 보려고 할때 그렇게 맞춥니다.
다만, 몸통을 따는 이유는 분할을 시켜 예민성과 찌 올림을 보기 위함이라 봅니다.
이렇게도 해보시고, 저렇게도 해보시면 나만의 답을 찾을 수 있을 거라 봅니다.
저는 그냥 본봉돌 스위벨채비하고 찌맞춤합니다~
그래도 붕어는 너무 입질 잘해줍니다^^;
저는 성제현사장님 "딸깍" 찌맞춤에 더 신경을 씁니다...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