봄비가 제법 많은양이 내린듯 합니다.
화사하던 꽃잎들이 푸른 녹색으로 빠르게 바뀌어 가고 있습니다.
순식간에 들리던 산란 소식도 잠시 주춤한듯 한데요.
이제부터 본격적인 붕어 소식이 들릴 것으로 기대해 봅니다.
올해는 산란 특수란 말이 무색하게 되어 버렸습니다.
갑작스럽게 기온이 오르면서 이곳 저곳에서 한꺼번에 산란을 하는 바람에,
시기를 잡기가 여간 어려운게 아니 였을줄 압니다.
하지만 이런 악재. 또한 이번주 부터는 회복기에 들어설 것으로 보여 집니다.
문천지,반월지,골못,연지,기리지,황룡지,진못 등
경산권 봄철 대표적 낚시터 들에서 꾸준히 월척 소식이 들어 오고 있으며
이번주도 언제 출조해도 손맛볼 확률이 상당히 높아 보입니다.
떡붕어나 히나리 산란이 아직 끝나지 않았거나 시작하는 곳들 에서는
좋은 조황이 이어지고 있는데요.
창녕의 달창지,자인의 먼못,대창의 오통지 등은
떡밥이나 중층낚시를 하는 분들에게는 좋은 기회가 아닐까 합니다.
또한 준 계곡형 저수지들이 붕어 얼굴을 보이기 시작 했습니다.
수심이 좀 나오는 중류권에서 떡박낚시를 시도해 본다면
제법 좋은 조과를 얻을수도 있겠는데요.
김전지나 사림지등을 권해 볼만 합니다.
어제 내린 비로 저수지들 마다 약간의 수위 상승이 있었으며,
수온도 약간 내려간듯이 보입니다.
그러나 물색은 아주 많이 살아났는데요.
어떤 저수지도 시기가 이르다는 말은 할수 없을것 같습니다.
어디에 고기가 나온다더라 하고 들어가면, 항상 막차를 타기가 일쑤죠.
이곳 경산권에서 제대로 대물 붕어의 입질을 볼려고 한다면
복사꽃이 지는 시기를 노려 보십시오.
이때부터 5월 초순 까지가 최대의 적기로 보고 있는데요.
또 지금부터 라고 말씀 드려야 될것 같습니다.
최근 몇년동안 대물 소식이 뜸했던 차불지가 봄 단장을 마쳤습니다.
빼꼼해 머리를 내민 부들순과 탁한 물빛이 잘 조화를 이루고 있는것 같습니다.
남산쪽 저수지 중에 유일하게 이르다는 감을 주는 요리지 모습입니다.
파란 때장이 물위로 모습을 들어낼 때 쯤이 제철일것 같네요.
반면에 전지는 환경이 좋아 보입니다.
도전해 볼만한 분위기 군요.
남산의 보물터 밀못이 꾼들을 부르는 듯 합니다.
낚시를 마치신 분들이 대를 접고 계시는 군요.
조황이 어땠는지 궁금 하지만 멀어서 포기 하고 말았습니다.
상류에서 제법 물이 들어 오고 있었으며
몇일전 보다 비가 내린 지금 물색은 많이 살아 났습니다.
이정도면 출조를 권해 볼만도 하군요.
청도 금천의 정곡지가 아담한 풍광으로 맞이해 줍니다.
분위기가 아주 좋아 보이죠?
그림좋은 이곳은 용성의 외촌지 상류 입니다.
물이 제법 많이 유입되고 있었으며.
수온이 조금 낮아 보입니다.
분위기에 취해 대를 담그신 분들이 보입니다만, 입질은 없는 상태군요.
몇일 안정되면 산란이 붙지 않을까 기대해 봅니다.

먼못의 히나리 조황이 변변치 못 하다보니 이곳 대창의 오통지가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비오기 전까지 폭발적 조황을 보여 주었는데
오늘은 입질이 없다고 하는 군요.
수온이 오르는 오후를 기다린다고 하시는데.
주말이면 호조황으로 돌아 설 것으로 보여 집니다.

남산의 자라지는 모든 조건이 잘 갖춰졌다고 봤는데도
늘 조황이 빈약한 상태 였습니다.
몇번의 도전끝에 턱걸이 손맛을 보신 별밤지기 님이 계십니다.
우선 축하부터 드리고요.
이곳도 여전히 기대를 해도 좋은 곳입니다.
밀양지는 상류에 길을 만들면서 물이 많이 빠진 상태입니다.
수초대는 낚시가 거의 불가능한 모습이며
진입 또한 어려워 이제 잠시 접어둬야 될것 같아 아쉬움이 남습니다.

이제 부들순이 제법 많이 올라 왔습니다.
어느곳을 가더라도 대를 담궈볼 마음이 생기게 되는데요.
기대치 만큼의 보상은 없더라도 자연과 함께 함에 그저 고마울 따름 입니다.
경산권 보다는 조금 늦다는 청도권은 이번주가 기대 됩니다.
많은 분들이 촐조를 하시는 유등연지와 오부실에는
잔챙이 입질이 다였는데
지난 휴일, 이곳을 둘러보니 곧 좋은 소식을 들려 줄것 같네요.
유등연지 에서 호젓한 오후를 보내는 분들이 꽤 많이 계십니다.
그림 나오지요?
가족 낚시터로 보이는 이곳은 이서의 흥선지 입니다.
약간 맑아 보이는 물색이지만 몇일지난 지금은 제법 괜찮은 분위기를 보일것 같습니다.

방공 포병학교 앞의 밤못에는 잉어 산란 시기 입니다.
청태가 뜰 정도의 좋은 수온이지만 아직 붕어의 움직임은 없어 보이는 군요.
이곳에서 이틀간 낚시를 하신 분들도 잉어 몇수가 다였다고 하시네요.

많은 붕어를 보여 드리지 못함이 항상 송구 합니다.
이제 부터는 연일 월척이 낚이는 그런 날들이 이어 지리라 믿어 봅니다.
그래도 가까운 곳으로 나가시면 손맛 보시기에는 무난할 것으로 보여지며
바람 쐐기에는 그저 그만인 날들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좋은 주말 맞으시고 찐한 손맛도 보는 행운도 함께 하시길 바랍니다.
((항상 새로운 정보와 행복한 조행기로 가득찬 낚동 홈피를 방문 하실려먼 여기를 클릭 하세요))

























유익한 정보에 감사드립니다
어제(10일) 오후에 비닐에? 새우 1통과
케미컬 라이트 1통 구입한 꾼입니다
동전 밟고 있는 진돗개 흑구에 관심을 보인 꾼임......
출조지 가서 생각해 보니까요
어떻게 새우와 케미값 합계가 13,000냥입니까?
가격 착오가 아닌지 궁금합니다
저렴하여 말입니다
그리고 혹시 "낚동"이 예전에는 시지읍내 속에 있었는지요?
생각 했던 위치가 아닌 것 같아서요
제가 착각인지 모르겠습니다
홈피에 문의 예정이였으나 마침 조황정보가
올라와 문의 드립니다
사업번창과 늘 건강 하십시오
저도 낚시동네를 자주 드나드는 사람으로 감히 안계장터님의 질문에 답변드리자면,
안계장터님이 알고계시는 것처럼 몇해전엔 시지 지하철 고산역앞에 있다가 몇해전에 지금의 장소로 이전을 했고요,
일번적으로 새우는 3,000원어치가 기본인데, 3,000원어치면 충분하고요, 그것 다 쓸 수있다면?
그리고 캐미는 50개들이 한통에 10,000원인걸로? 아는데 그렇다면 계산도 맞는것 같은데요? 저도 정확한지는?
항상 장터님의 조행기 잘보고 저도 닮아가려고 노력하는 사람중에 한사람입니다.
항상 안낚에 즐낚하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