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심회의 자연사랑은 본받을만 하네요.
최근 우리 주위에 민물, 바다 등에서 낚시를 즐기는 수많은 낚시레포츠 인구가 날로 증가하고 있습니다.
그에 따른 낚시미끼, 용품 또한 저마다 특성이 다른 다양한 제품들이 시중에 많이 선보이고 있습니다.
하지만 수질 환경에 미치는 영향 또한 우리 낚시인들은 방관만 하고 있을 수 없는 실정입니다.
낚시미끼가 제대로 제대로 개발되지 않았던 50~60년대와는 다르게 오염이 될 수 있는 물질은
최대한 억제하여 사용을 자제하여야 할 것입니다.
시중엔 이를 고려하여 품질 좋은 낚시미끼도 많이 유통되고 있습니다.
심지어 미생물을 투입시켜 생태계를 파괴하는 나쁜 균을 잡아먹는 역할,
또는 각종 아미노산을 첨가시켜 집어력을 높여주며,
제조공법의 특성을 살려 자연환경에 쉽게 분해 될 수 있도록 하는 등,
각가지 방법을 연구하여 제조하고 있는 업체들도 쉽게 볼 수가 있습니다.
문제는 최근에 글루텐이 함유된 낚시떡밥의 등장입니다.
글루텐 떡밥은 처음 일본의 M사에서 떡붕어(일명 카와치붕어, 중층낚시용
으로 개발되어 국내 및 아시아 지역에 낚시미끼용 으로 수출하고 있으며 이미 국내 낚시미끼 제조사에서도 이와 유사한 제품을 만들어 대량 유통되고 있는 실정입니다.
글루텐은 특성상 물과 혼합되면 갈분처럼 쫄깃끈적하며 수면 상태에서는 원래크기의 3~5배정도 부풀어 나는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물 속에서 분해 또한 쉽게 되지 않은 관계로 바닥의 토양과 혼합되면 흙과 밀착하여 수온상승에 따라 특유의 부유물이 수면 위로 부상하여 낚시터의 오염을 가중시키고 있습니다.
월척님이 누누히 강조하는 건전낚시문화창출, 선진채비연구, 자연보호를 말하기 전에 글루텐이 수질에 어떤 악영향이 미치는가를 먼저 알고 실천해야만 위 사항에 서로가 동감할 것입니다.
적어도 낚시 사이트를 운영하는 운영자만큼은 조과를 올리기 위해서 또는 모르고(?) 사용했든지 글루텐 사용을 자제해야 할 것입니다.
99년부터 경기도, 충청도 일원에서는 글루텐떡밥 의 사용금지와 이를 소지한 자에게 출입을 제한하는 캠페인이 많은 곳에서 일고 있습니다.
작년 8월엔 S B S 기동취재 2000에서 심층취재 방영하였으며 낚시정보지 등에서도 문제화된 바 있었던 것입니다.
또한 정부기관인 환경부에서도 심각성을 제기한 바 있습니다. 우리 낚시인들은 이런 점들을 상기시켜 건전한 낚시문화 정착 에 앞장서며 수질을 보호하여 후손들에게 물려줄 수 있는 깨끗한 강산, 깨끗한 물을 보호하는데 개개인이 앞장서야 할 것입니다.
낚시터가 낚시를 사랑하는 많은 낚시인들의 안식처가 되기를 바랍니다.
최근 우리 주위에 민물, 바다 등에서 낚시를 즐기는 수많은 낚시레포츠 인구가 날로 증가하고 있습니다.
그에 따른 낚시미끼, 용품 또한 저마다 특성이 다른 다양한 제품들이 시중에 많이 선보이고 있습니다.
하지만 수질 환경에 미치는 영향 또한 우리 낚시인들은 방관만 하고 있을 수 없는 실정입니다.
낚시미끼가 제대로 제대로 개발되지 않았던 50~60년대와는 다르게 오염이 될 수 있는 물질은
최대한 억제하여 사용을 자제하여야 할 것입니다.
시중엔 이를 고려하여 품질 좋은 낚시미끼도 많이 유통되고 있습니다.
심지어 미생물을 투입시켜 생태계를 파괴하는 나쁜 균을 잡아먹는 역할,
또는 각종 아미노산을 첨가시켜 집어력을 높여주며,
제조공법의 특성을 살려 자연환경에 쉽게 분해 될 수 있도록 하는 등,
각가지 방법을 연구하여 제조하고 있는 업체들도 쉽게 볼 수가 있습니다.
문제는 최근에 글루텐이 함유된 낚시떡밥의 등장입니다.
글루텐 떡밥은 처음 일본의 M사에서 떡붕어(일명 카와치붕어, 중층낚시용
으로 개발되어 국내 및 아시아 지역에 낚시미끼용 으로 수출하고 있으며 이미 국내 낚시미끼 제조사에서도 이와 유사한 제품을 만들어 대량 유통되고 있는 실정입니다.
글루텐은 특성상 물과 혼합되면 갈분처럼 쫄깃끈적하며 수면 상태에서는 원래크기의 3~5배정도 부풀어 나는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물 속에서 분해 또한 쉽게 되지 않은 관계로 바닥의 토양과 혼합되면 흙과 밀착하여 수온상승에 따라 특유의 부유물이 수면 위로 부상하여 낚시터의 오염을 가중시키고 있습니다.
월척님이 누누히 강조하는 건전낚시문화창출, 선진채비연구, 자연보호를 말하기 전에 글루텐이 수질에 어떤 악영향이 미치는가를 먼저 알고 실천해야만 위 사항에 서로가 동감할 것입니다.
적어도 낚시 사이트를 운영하는 운영자만큼은 조과를 올리기 위해서 또는 모르고(?) 사용했든지 글루텐 사용을 자제해야 할 것입니다.
99년부터 경기도, 충청도 일원에서는 글루텐떡밥 의 사용금지와 이를 소지한 자에게 출입을 제한하는 캠페인이 많은 곳에서 일고 있습니다.
작년 8월엔 S B S 기동취재 2000에서 심층취재 방영하였으며 낚시정보지 등에서도 문제화된 바 있었던 것입니다.
또한 정부기관인 환경부에서도 심각성을 제기한 바 있습니다. 우리 낚시인들은 이런 점들을 상기시켜 건전한 낚시문화 정착 에 앞장서며 수질을 보호하여 후손들에게 물려줄 수 있는 깨끗한 강산, 깨끗한 물을 보호하는데 개개인이 앞장서야 할 것입니다.
낚시터가 낚시를 사랑하는 많은 낚시인들의 안식처가 되기를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