쌍용차를 엑티언스포츠부터 코란도스포츠까지 10년째 운영중인데요. 쌍용차는 현기차와는 dpf 재생이 조금 다른 듯 합니다. 정확한 알고리즘은 개발자가 아닌이상 알기 힘들지만 쌍용차 dpf는 포집량과 운행 키로수에 영향을 받는데, 고속주행을 자주하는 차량은 포집량이 적어서 보통 900~1,000km 정도에 dpf가 작동합니다. 하지만 시내주행이 많으시면 250~500km 정도 운행하시면 dpf가 작동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dpf작동온도는 보통 배기온도 500~600도 정도에 연소 시킵니다.
현기차에 경우는 dpf작동시 rpm이 불안정하며 엔진 부조 현상을 보이는 차량이 많고, 엔진오일 증가 현상이 많습니다. 하지만 쌍용차는 dpf 재생시 엔진 부조현상은 거의 없어서 클레임이 발생 한 적이 없죠. 기본 원리는 비슷하겠지만 엔진오일 증가는 대부분 디젤차 운영하는 차주들께서 dpf 작동중일때 시동을 꺼버리는게 가장 큰 문제 입니다. dpf작동중에 시동을 끌 경우 배기가스 재순환시 사용되던 연료가 엔진으로 리턴되기 때문에 경유와 엔진오일이 썩이면서 발생 합니다. 한 두번 정도에는 오일 점도가 많이 묽어지지 않지만, 여러번 dpf작동시 시동을 끈다면 엔진오일점도가 묽어지면서 증가 하게됩니다.
dpf작동시 차량 계기판에 표시가 되면 정말 좋을텐데, 현재까지 그런 차량은 없는 듯 합니다.
디젤차량은 차에 관심 조금 있으신 분들은 거의 다그3 같은 자동차 ecu정보표시 스캐너를 장착하고 다닙니다. 엔진체크등 표시되어도 써비스센터 방문전 고장코드 검색하여 어느부분이 고장인지 알고 갈 수 있기 때문에 바가지 쓸 일이 없는 점, 그리고 dpf 작동시 램프가 켜지면서 작동 유무를 알수있습니다.
작동시 시동을 안끌수가 있어서 큰 도움이 됩니다. dpf 작동에 관련된 포집량과 운행거리도 항상 표시 되기에 아 이정도 km에서 작동한다는 것을 예상 할 수있어서 도움이 됩니다. 그 외에도 배터리 충전량, 냉각수 온도, 미션오일 온도도 실시간 표시 되기 때문에 미션오일 과열로 인한 미션 고장을 사전에 예방하기에 좋습니다. 가격도 그리 비싼것이 아니고 장착도 손쉽게 누구나 할 수 있으니 스캐너 장착후 운행 하시기를 추천 드립니다.
시내주행만하시는분들도
수동모드
저단으로 다니시면 터지는걸로 압니다
고속도로 장거리 한번씩 뛰시면
크게 신경안쓰셔도 됩니다
시내주행은 dpf작동안합니다.
2년간..15키로거리 출퇴근하고
장거리 안탔더니..
해먹었어요..
점화장치 쪽이 고장이나서 as한번 받고
그 이후로도 점검불이 자꾸 들어오길래
불편한게 한두가지가 아니더라구요~
그냥 타면 되는줄 알았더니만
생각보다 관리를 해야 한다니...
기간되면 걍 처분할려구요~ ㅡ.ㅡ
dpf 활성조건이 됩니다.
그렇게 관리하시다가, 누적거리 10만 km쯤에 dpf 관리 받으시면 됩니다.
타고남은 재를 청소해주는 거라고 보시면 됩니다. (습식이 좋다고 합니다.)
고속도로 주행을 안하시면 정비소에서 강제재생해달라고 하시면,
됩니다.
그냥 타시면 됩니다 ㅋㅋㅋ
현기차에 경우는 dpf작동시 rpm이 불안정하며 엔진 부조 현상을 보이는 차량이 많고, 엔진오일 증가 현상이 많습니다. 하지만 쌍용차는 dpf 재생시 엔진 부조현상은 거의 없어서 클레임이 발생 한 적이 없죠. 기본 원리는 비슷하겠지만 엔진오일 증가는 대부분 디젤차 운영하는 차주들께서 dpf 작동중일때 시동을 꺼버리는게 가장 큰 문제 입니다. dpf작동중에 시동을 끌 경우 배기가스 재순환시 사용되던 연료가 엔진으로 리턴되기 때문에 경유와 엔진오일이 썩이면서 발생 합니다. 한 두번 정도에는 오일 점도가 많이 묽어지지 않지만, 여러번 dpf작동시 시동을 끈다면 엔진오일점도가 묽어지면서 증가 하게됩니다.
dpf작동시 차량 계기판에 표시가 되면 정말 좋을텐데, 현재까지 그런 차량은 없는 듯 합니다.
디젤차량은 차에 관심 조금 있으신 분들은 거의 다그3 같은 자동차 ecu정보표시 스캐너를 장착하고 다닙니다. 엔진체크등 표시되어도 써비스센터 방문전 고장코드 검색하여 어느부분이 고장인지 알고 갈 수 있기 때문에 바가지 쓸 일이 없는 점, 그리고 dpf 작동시 램프가 켜지면서 작동 유무를 알수있습니다.
작동시 시동을 안끌수가 있어서 큰 도움이 됩니다. dpf 작동에 관련된 포집량과 운행거리도 항상 표시 되기에 아 이정도 km에서 작동한다는 것을 예상 할 수있어서 도움이 됩니다. 그 외에도 배터리 충전량, 냉각수 온도, 미션오일 온도도 실시간 표시 되기 때문에 미션오일 과열로 인한 미션 고장을 사전에 예방하기에 좋습니다. 가격도 그리 비싼것이 아니고 장착도 손쉽게 누구나 할 수 있으니 스캐너 장착후 운행 하시기를 추천 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