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에서 공개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자료에 따르면
북한이 지난해 10월 2일부터 지난달 26일까지 329일간 매일 GPS 교란(攪亂) 공격을 벌여
항공기 4천915대와 선박 1천여 척이 그 영향을 받은 것으로 확인됐다.
GPS 위성 신호 수신이 방해받으면 항공기와 선박의 안전은 위험해진다.
이 때문에 국제전기통신연합(ITU), 국제해사기구(IMO), 국제민간항공기구(ICAO) 등은 GPS 교란을 금지하고 있다.
정부는 이 기구들을 통해 북한의 GPS 교란 중단을 3차례나 요청했지만 응답조차 받지 못했다.
북한이 정상 국가로서 국제규범(國際規範)을 준수할 의사가 없다는 사실을 보여 준 것이다.
북한은 지난해 3~6월에도 19일 동안 GPS 신호를 교란해 항공기 533대와 선박 1천55척에 영향을 미쳤다.
지난해 4월에는 북한이 황해남도에서 연평도를 향해 GPS 교란 전파를 송출한 직후,
대당 10억원이 넘는 우리 해군의 무인 정찰 헬기가 서해 서북 도서 인근에 추락(墜落)한 사실이 드러났다.
그러나 합동참모본부는 지난해 5월 말 "GPS 교란으로 인한 군사작전 제한 사항은 없다"고 했다.
북한의 공격에 의한 해군 무인 헬기 추락을 은폐(隱蔽)하려 했던 것은 아닌지 의심이 가는 대목이다.
이뿐이 아니다. 지난해 11월에는 육군 정찰 무인기 헤론,
지난해 12월에는 육군 사단급 정찰 무인기 KUS-9가 잇따라 추락했다.
언론은 복수의 군 소식통을 인용해 북한 GPS 교란 공격(攻擊)에 의한 것이라고 전했다.
안보 정책에 허점은 없는지 면밀히 되짚어 봐야 할 시점이다.
===============================================================
이상은 오늘자 매일신문 사설 내용 중 일부입니다.
다행이 추락하지는 않았지만 수백 명이 탄 민항기까지 위험할 수 있으니
합참은 국민에게 북한의 GPS 교란 도발 및 피해 실상을 제대로 알리고,
이에 대한 대책을 세우는 것이 시급해보입니다.
중국 전투기들 넘나들어도 모릅니다
전파교란에 취약한 무인기를 띄우는 것도 전혀 이해가 안됨.....
쟈들은 띄울 비행기가 없으니 저 짓을 하는거고...
그렇다고 원점 타격을 할 수도 없고 전쟁을 하지 않는 한 결국 강대강은 잃을게 없는 넘에게 유리 한건데...
돈 몇푼 주어주고 달래는 수 밖에...없는거 아닌가????
가고 있는데여~~~~
김정은 ???????????? 넘 시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