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말은 대부분 한자어입니다. 한자어는 한자의 뜻이 그단어의 뜻이됩니다. 그럼 속도와 속력을 비교한다면 속도의 도와 속력의 력의뜻을 비교하면됩니다.도는 정도의크기를 나타내는말이죠 (예_온도.강도.고도.점도...등) 력은 말그대로 힘을 뜻합니다. 그럼 *속도*_ 빠르기의 정도 *속력*_달리는힘 입니다. 속력은 속도를 만드는(내는) 원천인겁니다.
그래서 자동차에서는 빠르기를 나타내는것을 속도라 하지요. 가끔 속도와 속력을 이해 못하시어 자동차 속도계를 속력계라 하시는분들도 계시고 자동차가 직선방향으로 운행하지않았으니 속도가 아니고 속력이란말을 쓰고잇길레...그건 다 틀린말입니다.일상생활에서 쓰는말과 다른학문에서 쓰는말이 틀리게 사용되는것을 구분하시어 사용하셔야 하지요.
속력 - 속도의 크기 혹은 속도를 이루는 힘
사전에는 이렇게 기록이 되어 있네요.^^
속도는 계기판 보면되고 속력은 몸으로 느끼면되고 - 무한폭주족 -
속도는 법이요 속력은 힘이다 - 계룡산 자락에서 -
속도는 물체가 나아가는 빠르기, 속력은 속도의 크기 - 국어사전 -
속도는 단위시간당 이동한거리는 동일하나 방향이 포함됩니다.
속력과 같이 방향이 포함되지 않는 물리량을 스칼라 라고 하며
속도와 같이 방향이 포함되면 벡타 라고 합니다.
방향에 상관없이 1시간에 100km를 갔다면 속력은 100km/h가 되나
여기 저기 왔다갔다 1시간에 100km를 댕기다가 결국 원점으로 돌아왔다면 속도는 0로 표기합니다.
오빠!속도좀 줄여..
오빠..전속력으로 달려..!!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