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 자유게시판

왤까요?

IP : 48d3b7d27b61d8f 날짜 : 조회 : 3947 본문+댓글추천 : 6

요즘 제 서식지에 요상한 일이 벌어지고 있습니다.

넓디넓은 물에 

어째서 붕어들이 한곳으로만 모일까요?

넓이로 따지면 1000분의 1정도의 크기 수로로

붕어들이 모여듭니다.

물론 붕어들따라서 꾼들도 모여들고요

어부들의 그물도 모여듭니다.

수심이 깊다던지 수초가 발달 되었다던지

그란것도 아니고 따순물이 내려올일도 없고

제수준으로 볼때는 딱히 원인이 없는데

다리위에서보면 붕어들이 떼를 지어다닙니다.

어느꾼은 하루에 100수를 했다

어느꾼은 3박에 200수를 했다

진짜로 붕어가 넘쳐납니다.

오늘 친구넘이 다른곳에서 낚시를 하다가

입질이 없어 그곳으로 옮겼는데

넣으면 나오더랍니다.

내친김에 내일하고 모레 남은 휴가도 냈다네요

주말인데도 차댈데가 마땅치않을정도였답니다.

3주전부터 일어난일인데

지금도 사그러들지않고 잘 나온답니다.

이유가 뭘까요?

나름 오래된 조력인데 이해불가네요

일년에 한번오는 대박조황이 진리 아닌 진리인데

그곳은 자리있어서 낚시대 던지면 나온답니다.

 

 

참고로 저는 많이 잡는거 안좋아합니다.

한시간에 3~4마리면 마릿수요

많은것보다 큰게 좋습니다.

먼저 바구니사진처럼 똑같은 크기로

계속나오면 낚시터느낌나고 별루더라구요.

 


IP : 48d3b7d27b61d8f
꼬쟁이님
낚시터 안하거든요
이모님한테 남겨드렸거든요
알지두 못함서
그래서 노지 댕기거든요
원래가 노지꾼이거든요
내년에는 경북쪽으로 원정도갈거거든요
추천 0

IP : b8b346b80dbfc88
그러게요.
오래전 영종도 유수지가 그랬습니다.
겨울이면 수심도 4~50 밖에 안되는 좁은수로로 붕어들이 새까맣게 모여 들더군요.
뜰채로 떠도 몇마리씩 나올정도로 몰려 있더군요.
추천 0

IP : 48d3b7d27b61d8f
노지선배님
그니까요
왜그러는지 알려달라구유
이유를 알면 비슷한조건의 다른 포인트를
찾아보게요
사람많은데가서 낚시하려면 고역입니다.
담배피며 눈치보고
친구랑 담소나누며 눈치보고
추천 0

IP : 139350bd97f3d76
수온아닐까요
유입이 없어도 폭이 좁으니
상대적으로 더 따뜻할것 같은데...
추천 0

IP : a13334c846e3ae5
연어처럼 무슨 DNA가 있는 것 같습니다
그런 곳이 많지요~
겨울 월동 준비로 몰려서~
본능적인~
그런 곳에는 낚시하지 않습니다
겨울 잘 보내길 바라면서요~^^
추천 1

IP : 48d3b7d27b61d8f
두바늘님
안녕히주무시고요
패링님
근처의 수로가 형태가 다르긴합니다.
저또한 님과 같은생각입니다.
근데 수심에서 이해가 안됩니다
샘이 깊은물님
저도 그정도는 싫어합니다.
잔잔한 손맛안보는 낚시는 좋지만
어부는 싢거든요
추천 0

IP : d21769a2fdc6ba1
저도 이유는 모르겠고요..
원주에 살때..원주천 보중에 한곳만..
유독 시커멓게 떼지어 있는 붕어를 본적 있어요..
물흐름에 뭔가 먹을만한게 떠내려오는거 아닐까요?
추천 0

IP : 9f91818d6541294
산란기랑 헷갈려서 상류로 모이는 거야요.
보면, 낚시 진짜 몬하셔.ㅡ.,ㅡ;
추천 0

IP : 13a999acdf70934
완전 겨울 직전이라 그럴거여유.
줏어 들은 얘긴디 수온이 낮아질 때 맨 아랫쪽이 온도가 약간 높아지는디 글케 떨어지기 직전에 어느 한 쪽이 수온이 약간 높은 쪽이 있대유.
특히 아주 천천히 흐르는 물의 경우에 그른 효과가 세다네유.
그 약간 온도가 높은 물에 몰린대유.

줏어들은 얘기라 신빙성이 얼마나 되는지는 지두 잘 몰러유. ㅡ,.ㅡ
추천 0

IP : bd2ece4f85c6416
붕어가 모여드는 이유를 알카 드릴게요`!

이유는 단 하나!!

붕어들이 미친겨!!

끙` 아무래도 도망가야할듯`~ㅎ
추천 0

IP : bab45ce0e0a2334
수온이나 용존산소량이 이유 아닐까요?
햇빛 잘 들어오는 낮은 수로는 수온이 높아서 그쪽으로 몰리는 것 아닐까요?
아님, 다른곳은 수초가 삮아서 가스가 올라오는데, 새물유입되는 곳은 용존산소량이 높아서 모이는 것일수도 있고요...
추천 0

IP : 55893364c2102fa
선배님들 말씀이 인리가 있는 것 같습니다.
너무 오랫동안 비가 오지 않아서 산소량이 많은 새물 쪽으로 모이거나,
새물에 맛나는 뭔가가 함유된 성분이 많은 것일지도 모르겠습니다.
새물에 먹이감들이 많이 떠내려오거나, 새물 쪽으로 먹이감들이 많이
모여드는 것일지도 모르겠습니다.
이런 상황을 하절기 태풍 이후에 본 적은 있는데, 겨울에는 본 적이 없네요.
태풍 이후 무너진 둑 토사 냄새와 흙에서 나온 지렁이나 곤충을 먹으려고,
특정 깨끗하고 완만한 모래 바닥 지형에 많이 몰려, 지렁이에 느나였던 기억이 있습니다.
추천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