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 자유게시판

자동차 추돌사고 사후처리 문의

IP : e42e7af8e4835d4 날짜 : 조회 : 4844 본문+댓글추천 : 0

출근길에 뒤에서 추돌당하여 차량은 수리하였으나 동승자가 한달째 병원에 다니고 있는데(목부분 치료) 보험회사에서 합의를 종용합니다(7~80정도). 본인은 치료를 계속 받고 싶은데 보험사가 4월말까지 치료하고 미합의시 제시금액에서 병원비를 공제하고 지급하겠다고 반협박(?)한다는데 이럴때는 어찌하는게 좋을지요> 경험하신분들의 자문을 구해봅니다.

1등! IP : f346842d0d07989
계속 아프다면 치료를 계속 받는게 정상입니다.
특히 목부위면 좀 더 잘 치료해야죠
중요한건 진단인데. 담당의가 치료기간을 얼마 주었는지 모르겠네요
협박에 굴할 필요 없고요, 정말 아프시다면 정상적인 치료를 계속 받는게 좋습니다.
그리고 계속 협박하면 병원을 옮겨가면서 검사를 받는것도 하나의 방법이긴합니다. 한방병원도 가보시구요

보험사에 전화해서 이런 이런 이유로 협박아닌 협박을 하더라고 하면서 상급자와 이야기도 해보시고 이도저도 안돼면 법정 싸움으로 갈수도 있는데 손해볼건 없습니다
합의금 따위는 안받을테니 치료는 확실히 받겠다고 하십시오. 아니면 합의금을 확실히 받고 치료를 종료하시는 방법도 있구요

부상이 어느정도인지 모르겠지만 목부위에 진단 3~4주 정도만 나와도 병원비 무시 못합니다.
추천 0

2등! IP : e0530ba0a111118
보험회사서 협박하면 녹음하고 있다고 말씀하시고 그럴때 도깨비 방망이가 있습니다..
금감원에 민원 넣는다 하세요..
금감원이 보험회사에겐 치명적인 아킬레스건 입니다..
추천 0

3등! IP : 64c8173725ce3ab
부상당한경우 치료의 목적으로는 계속 병원을 다닐수 있습니다
병원을 한방병원이나 동네 한의원같은곳에 가셔도 됩니다
합의는 사고후 2년인가 3년인가 내에만 보면 되니
보험사 전화 산경쓰지 마시고 통증을 치료 하시면 됩니다..보험사에서 본인들 보상금 줄일려고 속히 합의를 종용하는데 그럴필요 없습니다
추천 0

IP : 516c9aec4e34d5a
갈때까지 가보세요..
누가 이기나....ㅋㅋㅋㅋㅋㅋㅋㅋ
아마 나중엔 애걸복걸 할걸요....
따장님 대발 합의좀 해주세요...안그럼 저 징계먹어요....이러면서...ㅋㅋㅋㅋ
끝까지 가보니까 원래 담당자가 다른 사람으로 바뀌었더군요..아마 그 양반 징계먹고 다른사람으로 바뀐듯...
저도 그런 협박성멘트에 잠시 망설였다가 돈 필요없고 끝까지 안아플때까지 치료한다니까. 항복하던데요..
따장님 한번만 봐주세요하면서...ㅋ
치료나 잘 받으세요^^
추천 0

IP : d4d86ac6963267b
ㅋㅋㅋ 뭐 .. 대인은 무조건 합의를 해야 합니다.
보험사 직원이 아직 쪼렙인가 본데요..
겁먹으실거 하나도 없으십니다.
그냥 쭈욱 병원 가셔서 치료 받는다고 하세요.
보험사쪽에서 치료비 중단 절대 못합니다.

위에 붕어단속님 말씀처럼

사장님 제발 합의좀 봐주세요 라고 말할때 까지 안하셔도 아무문제 없습니다.
직원 교육을 어떻게 한건지...

나중엔 그냥 완빵에 몇달치 입금해준다고 할거에요..
오래 끌면 끌수록 협박(?)한 직원은 상사의 압박을 못견디고 저자세로 나올겁니다.

제발 부탁드립니다~ 라고 하실때 까지 치료 잘 받으시길 바랍니다..
추천 0

IP : 789e4379d8d8e7b
2년 내에 합의하시면 되는데 그 2년의 시작점이 마지막 병원 다녀온 시점부터이니 병원 가실때마다 계속 2년의 시작점으로 갱신되는 겁니다.

그리고 합의금 공제? 믿지도 마시고 신경도 쓰지 마세요.
혹 신경이 쓰이신다면 다음에 보험담당자 연락왔을때 이렇게 말하세요. 금융감독원에 물어보니 합의금 깎이는거 없다하면서 치료 잘 받으시고 치료 다 끝나고 합의보라 했다면서
정말로 보험사가 그래 말했다면 신고하라더라 라구요.

실제 아주 경미한 교통사고도 통상 합의금 80정도는 제시합니다만, 최고 120정도까지 받습니다. 물론 치료 다 끝내고서죠. 말씀하신 경추의 경우 절대 합의 먼저 하시면 안됩니다.
차후 장애진단 받으셔야 하는 경우도 발생할수 있습니다. 그리고, 합의할때도 자기들 보험사에 정해진 금액이라 더이상 줄수 없다 할거예요. 그럼 팀장에게 추가승인을 받아라하세요. 결국엔 요구하는대로 해줍니다.

그리고 치료도 보험사 권유하는 병원말고 가늠사면 큰 병원으로 가세요. 또한 진료 내용 열람 관련된 내용은 절대 싸인해 주시지 말아야합니다.

마지막으로, 한방병원이나 여러곳의 병원에서 치료 가능하지만, 보험사에서 피보험자를 블랙컨슈머?로 판단하고 보험치료를 끊게되면 서로 피곤해집니다. 결국엔 이기겠지만 그 피곤함을 못이기고 결국 생각보다 적은 비용에 합의를 보게되는 경우도 많아요.
특히나 조심해야할거는 합의금 제시할때 병원비나 물리치료비가 의료보험으로 인해 굉장히 저렴하니 이 비용으로 치료하고도 남을거라 말을 할겁니다.
그러나 교통사고 치료 비용으로 보험사에서 비용 수령하게 되면 동일한 치료 목적으로 의료보험 혜탁을 못받으십니다. 그걸 모르고 의료보험으로 치료 받으시다 간혹 의료보험공단에 걸려서 큰 비용을 다시 토해내기도 하지요. 이미 합의금 수령했으니 이땐 어쩌지도 못합니다.

중요한 말은 빠지고 사설이 길어질듯 합니다.
많은 도움되셨길 바랍니다.
추천 0

IP : 20d9d0876b62fc7
그런 협박성 말에 속지마세요.
저도 얼마전에 퇴근길에 뒤에 받힌경험이있습니다.
100% 뒤차과실이구요.
제차는 뒤범퍼부분과 트렁크문이 약간 찌글어졌지요(카이런)
받은 상대방 차는 소나타인대 앞부분 보닛과 앤진룸이 완전 작살이나서
재가보기앤 폐차수준인것 같더라구요.
다행이 저는 안다쳤구요.
그래도 보험사에 병원간다고하고 허루갔다왔어요 교통사고니 혹시몰라서 액스레이랑
찍고했습니다.
그리고 상대방 보험사에 바로 연락했지요.
병원에서 얼마간 치료를 받아야 한다고 말을 했습니다.
그리고는 제가 사정상 직장때문에 계속 치료는 함들것 같다고 그러니 금전적으로 보상을 해달라고 했더니.
얼마를 원하냐 하기에 얼마까지줄수있냐고 하니까 처음에는 60만원정도 예기하더군요.
그소랄듣고 제가 지금 장난 하는거냐고하면서 그렇게 나온다면 병원에 입원을 하겠다고 했지요.
그리되면 그쪽에서 손해가 더 많을탠대라고 하면서요.
그랬더니 저에게 묻더군요 얼마를 원하느냐.
내말은 적어도 100이상은 줘야한다 했더니 그쪽에서 하는말 그렇게는 곤란하다 최대 70까지는 주겠다 하더군요.
그래서 저는 필요없다 100이상 안주면 나 합의 안보고 병원에 입원 할태니 그리 알아라.
했더니 5분도 안되서 바로 전화오더군요.
그럼 100줄태니 더이상 치료비따로 청구하기 없기로요.
글구나서 100바로 입금 되더군요.
물론 제차 수리할동안 랜트카를 안썼으니 교통비 5일치 15만원 별도로 입금받고요.
그러고 나서 제 직장동료들에게 예기를하니 나보고 바보라고 하더군요.
200을 요구하지 왜 100만달라고 했냐고 200요구했으면 적어도 150은 받을수있었을꺼라고요
물론 저도 그럴려구 했는대 제가 별로 다친대도 없고 또 혹시 제가 그럴일을 당할수도 있으니
적당히 하라는 울 마눌님의 말을듣고 100만 달라고 했던겁니다.
말이 길어졌내요.
제 경우를 말씀드린것이니 참고하시라고 말씀 드리는것 입니다
추천 0

IP : ff99ceb0305b430
아프면 치료를 받는 것은 맞지만 보험사하고 싸워서 이기기는 쉽지 않고 민사소송은 길고 험합니다

요즘은 보험사가 터무니 없는 보상금을 제시하지 않습니다

금액이 그렇게 정해 졌다면 그만한 사유가 있으리라고 보이며 적당히 해결하는 것이 맞을듯 합니다

우리나라 사람들의 형태를 보면 교통사고가 나면 80%가 입원하고 일본은 30% 입원을 합니다

그 이유가 무엇일까요?
추천 0

IP : 10859df13ff4f71
적당히가 가장 좋은 것 같습니다.

다다익선 마다할 사람 있겠습니까,
그렇지만 반대로 내가 가해자가 될 수도 있다는 잠재된 위험이 공존한다는 것도 유념하시길...

자동차보험은 민사적 손해배상금을 보전하는 실손보상을 원칙으로 합니다.(법률에 의해 입증되며, 실제로 입은 신체적, 금전적손해액)

즉, 보상 개념과는 의미를 달리하여야 합니다.
이득을 얻으려 하는 것을 금지한다라는 것 또한 법의 취지입니다.

어찌됐든 불의의 사고로 인해 손해를 보아선 안되겠지요.
치료 잘 받으셔서 쾌차하시길 바라며,
스트레스 받지마시고 역지사지 차원에서 적당히 해결 하시는 것도 미덕 아닐런지요.
추천 0

IP : e42e7af8e4835d4
역시 월님분들께 자문을 구하니 답이 나오네요. 치료가 우선이지요.
전문가 수준이십니다. 감사합니다.
주말엔 비소식이 있어서 망설여지는 주말이 될것같습니다.
안전한 출조. 즐거운 출조 기원드립니다.
추천 0

IP : a0d819de5a6168c
먼저 치료를 잘받으세요.
보험사에서는 일정기간내에 합의를 하는것을 원칙으로 하고있습니다.
그렇다고 보상을 적게하는것도 아니고 치료를 중단시키는것도 아님니다.
보험사도 감독기관이 있기에 감독기관에서도 합의가 완료되지 안으면 불성실기업으로 낙인이 찍힘니다.
현재 치료과정이므로 정형외과나 3차병원까지가서 치료를해도 됨니다.
한방과 병행하셔도 되구요.
보험사 직원이 협박성 발언을 했다하면 당보험사 감사실이나 금융감독원 보험민원을 제기하셔도 됨니다.
보험 합의를 할때에는 단서 조항을 두어 하시면 됨니다.
"차후에 같은곳에 같은 질병이 재발할시에는 재치료를 하겠습니다" 단서로 표시하면 됨니다.
또한 담당자와 합의를 하지마시고, 보험사센터장이나 본사 감사실에 항의를 하시면 많은 도움을 받을수 있습니다.
직급이 대리이면 대리급 합의. 과장이면 과장급 합의,센터장이면 센터장급 합의금이 나옵니다. 참고하시면 도움이 되실것 입니다.
추천 0

IP : e42e7af8e4835d4
감사드립니다. 많은 도움 되었습니다. 다른분들도 알아두시면 좋을것 같습니다.
추천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