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 자유게시판

지금 중년세대의 거처 옮기기

IP : d82e315948ed51e 날짜 : 조회 : 4876 본문+댓글추천 : 0

대학갈 고등학생 아이들 생각해 미리 계획을 합니다만 좀 이르다 싶어도 제 생각으론 이른것이 아니다란 생각이 듭니다 각기 삶의 형태가 다르니 결론지어 한가지로 말할수는 없지만 대략의 개념은 갖고 있어야 하지 않나 싶습니다 별루 재미도 없는 글을 반복해 쓰는건 제 자신이 맞딱드려야 할 얘기 이기도하고 또 비슷한 연배가 많으니 함께 공유해보자는 생각에서 입니다 한국 사람에게 집이란 비바람 막아주는 단순 잠만 자는곳은 아닙니다 10년 20년 일을 해서 집한채 갖는게 꿈인 사람도 부지기수 이니 말입니다 그러나 집에 대한 전통적 개념이 언제 까지고 변하지 않을까요 지금 마흔 세대는 구 문화의 신문화의 중간 쯤일 겁니다 아이들이 듣는 팝송도 .선배들이 들었던 트롯도 함께 공유하는 중간 세대이죠 집에 대한 개념도 비슷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주거 외의 의미를 갖는 전통적 집에 대한 여러 개념 외에 단순한 주거 만을 위한 집에 대해서도 어느부분 인정하는 세대이기도 할거라 생각합니다 시골에서 자라 시골에 뿌리를 둔 제경우는 도시 사람들과 조금은 다르겠지만 시골 태생이어서더 집에대한 개념 변화가 빨리 와야 된다고 생각하는 사람입니다 이를테면 이런거죠 지금 시골엔 노인인구가 급격히 늘고 거주 연령이 높아져 가고 있습니다 그 부모님들의 자산 작은거지만 시골의 집과 땅들이 부모님이 돌아가시고 나면 유산으로 남겠죠 집은 자산가치를 따질만한 자산이 못될겁니다 땅은 여전히 가치를 인정받지만 지금 부모님 세대 가신후 농토의 가치는 급격하게 하락할겁니다 농사 지을 사람이 없고 마을 형성조차도 되지않는 농촌의 땅이 자산가치가 하락 하는건 당연합니다 즉 시골의 땅과 논은 자산면에선 최대한 빨리 처분해야 한다는 것 반면 도심주변에서 농지로 사용되고 있는 땅들은 향후 부족한 택지의 대안으로 가치가 커질겁니다 도심의 주택은 어떨까요 도심에 기반을 둔 부모님 세대 역시 주택정도를 유산으로 남길겁니다 그런데 그 주택이란게 대형평수일 가능성이 많죠 여기서 대형이란 50평 100평을 말하는게 아닙니다 30평 이상을 선호하는 세대이니 대략 30평 이상을 말하는 겁니다 핵가족화로 4인가정이 부모님 세대이하 즉 우리세대의 기본 가족 형태입니다 도심의 부모님이 가시고 나면 역시 지금 40대 중년인 가장이 유산을 받게 되겠죠 그러나 지금 40대 가장도 대략 비슷한 주택 개념을 갖고 있어서 비슷한 규모의 주택을 갖고 있을 겁니다 최소 40대까지는 요행 도심에 집을 장만한 사람이어도 아이들이 자라는 시기를 빼고는 장년이 넘어가 자녀독립시기가 도래하면 자연 집을 줄이게 될거라 여겨집니다 집 두채는 필요없죠 게다가 지금 40대라면 무조건 평수만 늘려 집을 장만하진 않을겁니다 예전처럼 부동산 불패신화 시대의 투자 개념이라면 모를까 유지비 많이 소요되고 불과 몇년후면 자식들의 독립이 이뤄지는 시기를 앞두고 있으니 결국 두부부 살기위해 대형평수가 필요없다는 거죠 유산으로 받은 집은 처분하겠죠 집을 갖지못한 가장이라도 만약 집을 산다면 그동안의 집없는 설움을 앞세우지 않고 현실적으로 생각한다면 작은 평수로 가게 될 겁니다 아직은 아니지만 이제 서서히 이런 기류로 가겠죠 집값이 하락하겠죠 그것도 대형평수 위주로 지금 중년세대는 집에대한 애착보다는 생활의 질을 따질 가능성이 더 큽니다 외형큰 집에 노후 자금을 다 묶어 버리지는 않을 겁니다 게다가 지금 중년세대 이후의 후세대들은 더욱더 작은 집을 선호하게 될겁니다 어른들이 갖었던 집에 대한 개념보단 훨씬 희석된 의미의 주거개념을 갖게 되겠죠 결국 도심 주변의 소형주택이 대안으로 떠 오를거라 생각합니다 전원생활을 노후의 비젼으로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겠지만 은퇴이후 전원 생활이 낭만적이지만은 않을거라 예상 됩니다 병의원과 생활의 기반이 가까운 도심이 오히려 지내기에 더 편하지 않을까 생각 됩니다 결국 .. 시골의 부모님으로부터 땅을 유산으로 받은 지금 중년세대는 시골에 머무르거나 아니면 땅을 팔아 도심으로 가 소형평수의 아파트를 살 공산이 크겠죠 도심의 지금 중년세대 역시 자녀들이 분가하면 작은 평수로 집을 옮겨갈 가능성이 큽니다 그리고 도시출신이든 시골 출신이든 지금 중년세대의 자녀들 역시 독립할때 작은 평수의 아파트와 직업이 많은 도심으로 몰릴겁니다 그래서 적은 평수의 도심아파트가 다음 주거 형태의 주류가 될 가능성이 큽니다 그래서 중년이후 자녀 독립시기를 앞두고 집을 장만한다면 .. 혹은 저처럼 거처를 옮기게 된다면 도심에 적은 평수의 아파트가 유리하다 생각합니다 전문가가가 아니니 개인적인 의견이고 전망이지만 비슷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충분한 노후 자금을 미리 준비한 사람이라면 사정이 다르겠지만 지금 중년세대들의 노후는 집 하나에 전 자산을 붙들어 매놓고 "집가진 거지"로 살지는 않을겁니다 ..아마도 그렇게 품안에 자식 품고 산 시기를 넘기고 독립해 나가면 향후 집구입은 이렇게 해야 하는건 아닌지 싶습니다 아이들은 소형아파트에 도심에서 학교 보내고 독립해 나가면 그 아파트를 노년보낼 주거지 또는 주택담보 노령연금으로 전환해 생활자금으로 .. 뭐 이런식이 공식이지 않나 싶습니다 아이들에게 전부를 내주진 마십시요 노년은 자식없이 혼자 보내야 합니다 지금 준비해가는게 좀 이르다 싶지만 오히려 지금이 적기가 아닌가 싶습니다 경제활동이 한참일때 준비한다면 적절한 배분으로 자산을 분배하고 활용할수있는 토대를 좀더 효율적으로 준비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1등! IP : a2710f07dcd0760
집이란 비 안새면 족하다고 한 3년 주절거렸더니...
요즘 아내가 드디어 그 뜻을 이해해 주더라구요...
집장만에 등꼴 휘게 사느니 안사고 저축이나 쫌 하면서 풍족하게 살고 싶어했던 제 뜻을요...

집값 너무 비싸요.....ㅠ.ㅠ

은퇴후엔 대전외곽에 남루한 2층집 사서 아랫층은 누나네.. 윗층은 우리..
요렇게 살려고 구상중입니다^^
추천 0

2등! IP : bac0a69fd884582
음미할 만한 여러 이야기를 담고 있습니다.
잘 읽었습니다.
추천 0

3등! IP : d14a4d12ca140e4
은둔자님

전문가보다 한수위시네요

아파트 요즘 소평은부족 중대형은 남아있는 상태

이쪽지역 아파트사업자들 중소형으로설계변경 하느라.....

은둔자님 남다른감각이 예리하시니 그리사업도 탄탄대로신가봅니다

중소형이 부족한 제일큰이유가

이삼년 아파트분양사업 호경기때

이윤이더많은 대형만 시행사들이 다들짓고

평단분양가가 좀 제약이 있는 중소형은 많이짓지안은결과 입니다

아파트시공부터 입주까지 2년정도걸려서 그후유증이지금나타나내요
추천 0

IP : 7bec01782dc85c1
매년 월급이 올라갈 때마다 집사람과 매번 신경전을 벌이는

일이 있습니다.

집사람은, 애들 학원을 좀 더 좋은 곳으로 선택하자!

저는요, 노후를 위한 연금보험 하나 더 들자!

결국, 제가 이기고 말지만 나이가 들어갈수록

노후를 미리 준비한 것이 든든하기만 합니다.

평균수명증가속도 세계 1위(프랑스의 14배)

자녀출산율 세계 꼴등, 결국 본인 스스로 준비하지 않으면

세계에서 가장 가난하고 긴 노후를 보낼 수밖에 없는 것이

우리나라의 현실이라고 합니다.
추천 0

IP : 9dc3a94c3fbc761
서울이나 경기도 쪽에 조그마한 땅을 매입후 이동이 가능한

스틸 하우스, 컨테이너 목재 하우스, 큐브 하우스중

단순하면서 큰 비용이 들지않는 아래 집들이 안서앚춤 으로.....

장박인 경우 집을 통째로 물가 옆에 옮겨 놓으면 참 좋을것 같습니다....^^;;







추천 0

IP : 40f40835b31b66e
전 캠핑카를 염두에 두고 있는데요.

버스로 된거 말입니다.

서울에 집살 필요 없겠죠 ㅎㅎ
추천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