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줄 : 비바세미플로팅 2.5호
목줄 : 비바세미플로팅 2호
채비 : 텅스텐봉돌에 소형도래 0.3g짜리 붙혀서 원봉돌처럼 사용
주간케미는 일자형 군계일학 통근케미특대 야간케미는 둥근형 스마트케미
케미 무게는 같습니다
수조에서 케미고무보다 엄청살짝 가볍게 찌맞춤 해논상태인데요 현장가서 낚시할때 그냥 케미고무에 맞추고 반목 올려서 낚시하면 되나요?(찌맞춤은 바늘빼고 합니다)
혹시나 가벼운 찌맞춤이 될까봐 무섭네요
원줄 : 비바세미플로팅 2.5호
목줄 : 비바세미플로팅 2호
채비 : 텅스텐봉돌에 소형도래 0.3g짜리 붙혀서 원봉돌처럼 사용
주간케미는 일자형 군계일학 통근케미특대 야간케미는 둥근형 스마트케미
케미 무게는 같습니다
수조에서 케미고무보다 엄청살짝 가볍게 찌맞춤 해논상태인데요 현장가서 낚시할때 그냥 케미고무에 맞추고 반목 올려서 낚시하면 되나요?(찌맞춤은 바늘빼고 합니다)
혹시나 가벼운 찌맞춤이 될까봐 무섭네요
케미고무 모두 드러나게
마추시고
오링을 추가해서 쓰시던지
두세 목 내 놓고 낚시하시면 됩니다.
유동봉돌, 오픈도래에 고무오링 끼우고, 10센티 단차준 쌍바늘까지 달고 두목 내놓고 맞춥니다.
현장에서는 윗바늘이 바닥에 닿게 수심 맞춰 슬로프 낚시 합니다.
조과야 그냥 동행한 조우들보다 조금 더 건지는 정도입니다.
그때그때 상황에 맞춰서 목줄에 물어서 사용합니다..
잔챙이가 많거나 바닥이 지저분하거나 물의 흐름이 있는
수로등 낚시환경은 다양하니깐...
수조 찌 맞춤시,찌스토퍼.찌멈춤고무.3미리 방울케미.
봉돌 달고 케미꽂이 목에 오게끔 1차로 맞추고.
2차로 케미 제거후 찌톱과몸통 연결 부위에 맞는가 확인후
봉돌 가감합니다.
현장 맞춤은 생략.
원줄이 카본이 아니니까 현장 맞춤시 만약에 바늘 낀 채로 그리 하시면
입질 포착이 둔해지는 경우도 있을 겁니다.
그럴땐 과감히 목줄 하나 포기하고 외낚으로 바꿔 주세요.
입질 표현이 많이 개선 될겁니다.
그런데 절대적인건 없습니다. 물 흐름이나 대류, 수온에 따른 기포등등...
여건이 계속 바뀌니까요.
한두마디 정도 내놓고
낚시하시면
무난합니다
붕어만 있다면 걱정없지요
그래도 채비하는 찌맞춤하는 재미도 있는거니까
전 그냥 찌부력보다 1호정도 더 무겁게 합니다
그래도 배고픈놈 옵니다
전 비린내가 싫어서 괴기는 안 잡아유
아니 못 잡아유
고기 구경한지 오래되었습니다.
가볍게도 무겁게도 해보시고 상황따라 가감을해서 차이도 보시고
하시다가 뭔가 의문이 생기면 여기 고수님들께 다시 질문 올리셔서 의견 구하시구요
가벼운 찌맞춤은 목줄의 탄성으로 인해
바닥에 안착이 안될 여지도 있읍니다
자연 노지라면 적당히 무거운 맞춤이
여러모로 편할수있겟네요
노지에서 저라면 케미만 다보이게
맟추고 편하게 1목~2목 내놓고
할것같읍니다
카본3호줄 목줄2,5
찌무게 1,8그람 55센티
4칸데까지 앞치기 합니다
다른사람 못잡을때 전중간에서 6마리 ㅋ
예민한 채비 : 봉돌을 살짝 띠우거나,살짝 닿게 하는채비 구성을 원하시고 외바늘 합사 (쌍바늘가능) 라이론 같은 경우는 현재 찌맞춤은
무거운 맞춤에 해당됩니다.
현장상황에 따라 다르지만 보통 수조에서 일목 맞춤이 현장에선 캐미고무 얇은 시작점에 찌 맞춤이 됩니다.
라이론 2호줄 이하,카본줄 2호줄 쌍바늘 사용하신다면 수심에 따라 일부 차이가 있겠지만 적당 할듯 합니다 .
그래서 링을 약간 가감하여 쓰고있읍니다 ~~
장소마다 어종마다 날씨마다 다 다르게해안하니ㅜㅜ
4개절 이 지나면서 나무입 등등 관리가 되지않아 침수 되는 과정에서 바닥은 이끼등 여러가지 상황이 발생됩니다
대부분 노지 바닥이 완전 깨끗 하지 않기에 양어장 기준 찌맛춤은 흐르거나 아님 피곤한 낚시가 될수도 있습니다
목줄을 길게 쓰는것이 이유중 하나이기도 하구요
찌 맞춤은 자기만의 기준이 있어야 낚시하는 도중 낚시에만 집중이 됩니다
항상 어복 충만 하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