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기 강좌란에 누가 올린것 보고 간단하게 채비 해봤습니다 이놈의 호기심..ㅎㅎ 얼음이 좀 녹으면 토종터가서 한대만펴고 관찰해 보고싶네요 어떻게 표현되는지..
채비가 참하네요.
좋은 결과 있으시면 공유 바랍니다.
꼭 좋은결과 나오리라,
봅니다.
본봉돌 아래에 마감이 어찌 되어 있는지는 잘 모르겠으나
스위벨에 입질받고 힘겨루기시에 채비가 통채로 날아갈것같은 생각이 드는건 저 뿐인가요?
만약 붕어가 미끼를 흡입후 상승하면 본봉돌은
그대로 있어서 찌에 표현은 미약하게만 나타나고
스위벨만 상승할것 같은 생각은 제가 너무 단순하게
생각해서일까요?
채비 보고 집에 보관중이던것 대충 만들어 본겁니다
집 근처 토종터 주종이 4~6치
한번 해보고 느낌오면.. 좀더 세밀하게~
아니면 패스 그런거죠..
저도 생각만으로 잘 모르겠습니다..
그래서 한번 행동으로..ㅎ
스위벨없이 원줄에 고리달고 높이 조절할수 있게 해서는 써본적이 있네요
빨리는찌현상이 나지않을까요?
가지바늘은 빨리는 현상이 조금 나타나고 찌탑정도 들어올려줄 것 정도로 생각되네요.
재미지네요.
조건이 될때 댕겨와서 후기 올려 보것습니다~
초보조사달이님... 초보 아니시죠~ ㅎ
예신이 거의 없다는 것입니다.
한눈팔다가는 입질을 못보는 경우가
많습니다
바닦이 지저분한 곳이나 수초지역에 유용한 채비로 알고 있습니다
저런 유영으로 저수지 사항따라 변형시킨 채비도 많습니다
대물 낚시시절 많은 방법으로 재미 보곤 했는데..
그놈에 귀찬으즘이 ㅎㅎ
제 짧은 생각으로는 본봉돌 위에 바늘이 있다보니 분할채비보다는 붕어가 밑에 본봉돌을 들어올릴때 느끼는 이물감이 클것 같다는 생각이 들고, 유동이 있다보니 입질 사각지대도 많지 않을까하는 생각이 드네요. 하지만 언제나 답은 없는 법, 후기 꼭 좀 부탁드려요. 잘잡히면 저도 따라하렵니다 ㅎ
본봉돌이 받쳐주지 못하고 늦게 올라가면 붕어가 무게에 대한 이물감을 느낄듯 합니다.
저도 궁금하네요
핀크립 으로 대체하여
작년가을에 사용해본
결과 . 찌맛은 좋으나.
올림8 내림2 정도로
표현되며 바늘달린 스위벨
무게를 잘조절 하시면
재미지는 낚시가 될것입니다
다만 스위벨이 유동한다는 게 달라보입니다.
입질 표현이 둔할 것 같네요.
총알입질시 기둥목줄중간에
찌스토버 하나 물려주시면
됩니다
하이브리드동동이 채비입니다
빨리는 입질이 90프로 올리는 입질이 10프로 입니다
핵심은 스위벨(8자도래)의 유동과 목줄길이라고
말씀드리고 싶네요
스위벨의 무게가 찌톱과 캐미무게라고
생각하시면 이해가 빠르실겁니다
스위벨만 들리면 본봉돌도 같이올라오며
찌톱이 다들어난 상태에서는 스위벨이 유동되니
결국 스위벨의 무게만 붕어가 감당하면 된다고 생각하는
입장입니다
저는 스위벨의 무게를 0.2g~0.4g까지만 사용합니다
그이유인즉 캐미와 찌탑의 무게와 최대한 비슷하게하여
붕어가 느끼는 이물감?을 최소화하기위해서 입니다
목줄의 길이는 5cm가 가장 운용하기 좋은것 같습니다
그보다 길면 목줄엉킴이 생기며 수초가 있으면
채비안착에도 문제가 생기기도 했습니다
또한 짧게 가는 가장큰이유는 빠른입질유도와
미끼를 띄웠을때도 올림입질을 표현시키기 위해서 입니다
글로는 세부적으로 설명드리기에 부족함이 있네요...
채비도는 다르나 같은 원리이기에 부족한 설명드려봅니다
미끼를 바닥에 놓아도 띄어놓아도 찌가올라오는
올림낚시채비라고 말씀드려봅니다
5년넘게 사용하고있으니 참고만 하시어 재미난 낚시
즐기시길 바래봅니다^^
많은 경험과 의견글들 참고하시면 좋겟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