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혀 지장 없다고 생각합니다.
저희 모임이 매월3째쭈 금요일 출조일정인데
9월로 봤을때 딱 15일 밤 출조다녀왔습니다 16일 아침까지
이 모임1년이상되었고 매달 출조합니다.
상관없는듯 합니다...보름달에 안나온다면 1년이상 이 모임을 갔을때 쭈욱 못잡아야 정상아님까~~?ㅎㅎ
일반적으로 보름달은 조과에 영향이 있다고 선친에게 배웠습니다. 큰 괴기들은 조심성이 많아 밤에도 밝으면 이동성이나 먹이 활동을 매우 조심한다고 합니다.. 또한 꾼들도 달이 밝으면 하늘을 처다 보면서 대물의 꿈을 기도하는데, 그 순간이 입질을 한다고 하네요..보름달에 달을 처다 보지 마시고 찌를 보세요..단, 보름달이 있더라도 주변 나무에 의해 그늘진 곳을 찾ㅇ면 예외로 조황이 좋다고 합니다. 결론,, 붕어는 낮보가 밤을, 밝은 것보다는 어둠 침침한 때에 물가를 배회합니다..낚시인 잡으려고요.
저는 생각이 좀다른데요. 보름달이 밝아서가 아니고 달이 지구중력에 미치는 영향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 바닷물때를보면 하루 두번 사리라는게있는데 특히보름에는 가장 조수간만이 심합니다. 입질이 없는게아니라 음. . . 비교하기에 어떨지 모르지만 평소 여자성격이 아닌 한달에 한번하는 생리때의 여자성격이라면 쉽게 이해하시겠지요 대부분 조사분들이 입질이없다 있어도 약하다 하십니다. 물에 살지않는동물들도 보름엔 예민하다고들하는데 그 이유가 몸속의 수분때문이라고 하더라고요.물론 그 영향이 미미할수있겠지만. . . . . 하물며 물속에 직접 살고있는 생물들이야 오죽하겠습니까? 이상 대충주워들은 어설픈 지식이었습니다
모 낚시클럽에서 수년간 보름달. 반달, 그믐달 조황체크를 하여 통계를 내 보았더니 조황이 가장 좋았을때는 반달 전후때 이었답니다.
통상 무월광과 초승달일때가 달빛이 없어서 붕어가 경계심이 덜해 조황이 가장 좋을것이라 일반적으로 생각을 하고 있습니다.
보름달과 그뭄달은 지구와 달의 거리가 가장 멀어져서 인력이 가장 크게 작용하여 붕어가 바닥에서 약간 떠서 활동을 하므로 토종붕어 바닥낚시는 아무래도 붕어가
미끼발견 및 흡입 빈도가 반달 전 후 보다 떨어져서 조과도 저조한거라 생각이 듭니다
보름달이 영향을 주는건 맞습니다
허나 보름달이 뜨고 조황이 좋은곳도 있죠
저는 늘 추석전후 추석도 포함하구요 꼭 해 마다 가는 곳이 있습니다
조과는 매년 허리급 두마리는 봤구요
처음에는 운이라 생각했는데 매년 그렇게 잡고나니
아 이 저수지는 보름달이 뜰때 조황이 좋구나라는걸 느껴습니다
하지만 보름달이 떠서 조황이 좋았다라는 과학적 근거는는 없습니다 또다는 상황이 좋았을수도 있구요
다만 보름달이 영향을 줄수도 있지만 호 조황을 줄수도 있다는게 제 생각입니다
살다보면 별의별 사람들을 다 만나고 살죠?
그중에서 도 가장 싫고 꼴불견인 사람이 잘 알지도 못하면서 우기는 사람 이라고 생각합니다.
모르는게 꼭 부끄러운건 아닙니다.
알려고 하지 않는게 부끄러운 거죠.
대충 알고있는 지식은 지식이 아니며,타인에게 전파해서도 아니됩니다.
잘못된 지식을 타인에게 전파하는 순간 이미 수백 수천명에게 전파 될 수 있다는 생각 안해보셨나요?
여기 월척 사이트를 보면 정말이지 안다 박사들이 참 흘러 넘치고도 남습니다.
그런데 그중 8할(80%)은 허당 이라는게 제 결론 입니다.
글 보시는 분들은 여기 월척 사이트를 너무 의존하지 마시고,제대로된 책을 사서 보시던지 아님 웝서핑을 좀 하시면서 제대로 된 지식을 찾아보시길 권합니다.
다시한번 말씀 드리지만 모르는건 죄가 아니지만,잘 알지못하거나,잘못 알고있는 지식을 우기는건 분명 죄가 될 수도 있다는걸 명심 하시길 바랍니다.(여기서 언급한 죄는 사법적인 죄를 의미하는건 아닙니다.)
보름달밝으면 입질이 현저하게 떨어진것같습니다~~
입질이 없다가
달이 구름속으로 숨었을때
소나기입질을 받은적 많습니다
분명히 영향 있네요
위에 라모님은
그믐달 초승달일때 잠이 잘 오니까 좋은거 맞죠?
나에게 미치는 영향도 있더군요.
꽝의 합리화. . . .
달이 없는 날에도 꽝칩니다.
그 때 끝보기(붕어원투)는 오히려 입질이 좋아집니다.
보름달 때문에 경계심이 늘어나
붕어들이 연안을 떠나 안전한 곳으로 이동해서 생긴 현상 아닌가 싶습니다.
남의 불행이 나의 행복~~
연안낚시와 원투낚시 포인트 형성 시간대는
반대 방향으로 움직입니다.
이런 내용은 갓낚시 이론에 잘 반영되어 있더군요.
빛과 인력을 발생 시키고
달의 빛과 인 력은
구름.안개.그늘.수초.물색 등에 따라 달라지고
인력은 장소와
지구와의 거리에 따라 달라지죠
결론
그때그때 달라요 ~
이런 개념이 아니고...
입질 시간대가 조금 달라지는 느낌을 많이 받았습니다^^;
탁하면 덜하죠^^
"탁" 하니 막걸리가 먹고싶네요^^
전혀 신경안쓰고 나갈수 있을때 출조강행합니다
꽝이면 꽝ᆢㅋㅋ
무조건갑니다
꽝
생각나네요 그때생각에 아~~달빛만 없으면 고기좀
될건데...라고 생각했죠 그리고 두어시간뒤 가로등
불빛이 나가더라구요^^;;;
쫌있다 짧은데 26대28대 연속 입질^^
그날 월척 십여수 했네요
대략 2시간 남짓 시간에....
그기억에 몇번 가봤지만 하루종일 1마리 아님꽝
가로등에 눈만 자꾸 가지고....
암튼 빛때문에 그런것 확실한것 같아요^^
저희 모임이 매월3째쭈 금요일 출조일정인데
9월로 봤을때 딱 15일 밤 출조다녀왔습니다 16일 아침까지
이 모임1년이상되었고 매달 출조합니다.
상관없는듯 합니다...보름달에 안나온다면 1년이상 이 모임을 갔을때 쭈욱 못잡아야 정상아님까~~?ㅎㅎ
보름달과 관계라야 보름달 아래서는 케미빛이 그믐보다는 덜 밝아 보인다라는 불편뿐...
보름이라고 출조에 영향을 미치지는 않습니다.
낚시꾼은 핑계거리가 있어야합니다
아니면 사기낚시꾼이되는데...
올해도 8월의보름날에출조는 수심80정도되는 수로에서
생애가장큰2kg정도되는 대물뱀장어와 가물치 월척만12수에 마릿수붕어타작
그렇다고 보름엔 무조건낚시가 잘되는것도아닙니다.
이번추석에 낚시함해보시길바랍니다 대부분추석낚시 좋은조황이 많았던걸로 기억됩니다
달이밝아서도 포함되더군요
그냥 꽝친이유중 하나 같죠 뭐 윗분 말씀따라..ㅋㅋㅋ
한해에 사짜 상면했을때 90프로이상이
음력20~30일 사이였습니다.
개인적으로는 달이 차는것 보다는 빠질때 덩어리들을 더 많이 상면 한거 같습니다.
큰영향을 보이긴합니다
물속상태라든가 흐름의 변화를 보면 말이죠 ^^
통상 무월광과 초승달일때가 달빛이 없어서 붕어가 경계심이 덜해 조황이 가장 좋을것이라 일반적으로 생각을 하고 있습니다.
보름달과 그뭄달은 지구와 달의 거리가 가장 멀어져서 인력이 가장 크게 작용하여 붕어가 바닥에서 약간 떠서 활동을 하므로 토종붕어 바닥낚시는 아무래도 붕어가
미끼발견 및 흡입 빈도가 반달 전 후 보다 떨어져서 조과도 저조한거라 생각이 듭니다
이번추석에면천지좌대두번예약했는데
미친척하고한번해보겠습니다
다들즐거운추석보내십시요
저수지 옆에 가로등이 있는 경우를 보면
불빛이 비추는 곳과 미치지 못하는 곳의 입질빈도가
다르게 나타나긴 합니다.
달빛도 무시할 수 정도의 영향은 미치는 것 같습니다.
허나 보름달이 뜨고 조황이 좋은곳도 있죠
저는 늘 추석전후 추석도 포함하구요 꼭 해 마다 가는 곳이 있습니다
조과는 매년 허리급 두마리는 봤구요
처음에는 운이라 생각했는데 매년 그렇게 잡고나니
아 이 저수지는 보름달이 뜰때 조황이 좋구나라는걸 느껴습니다
하지만 보름달이 떠서 조황이 좋았다라는 과학적 근거는는 없습니다 또다는 상황이 좋았을수도 있구요
다만 보름달이 영향을 줄수도 있지만 호 조황을 줄수도 있다는게 제 생각입니다
4짜 잡은 기억이 있어서
달밫 산경 안써고 낚시 합니다
수심 낮은곳 영향 많습니다.
입질도 시원하지 않고 지저분 합니다.
개인적인 의견입니다.
붕어잡는것관 별로 연관없는듯합니다
맨날 꽝이라;;;;
그런데 저는 이상하게도 보름달이나 초승달이나 꽝이 많네요.ㅋㅋㅋㅋ
그중에서 도 가장 싫고 꼴불견인 사람이 잘 알지도 못하면서 우기는 사람 이라고 생각합니다.
모르는게 꼭 부끄러운건 아닙니다.
알려고 하지 않는게 부끄러운 거죠.
대충 알고있는 지식은 지식이 아니며,타인에게 전파해서도 아니됩니다.
잘못된 지식을 타인에게 전파하는 순간 이미 수백 수천명에게 전파 될 수 있다는 생각 안해보셨나요?
여기 월척 사이트를 보면 정말이지 안다 박사들이 참 흘러 넘치고도 남습니다.
그런데 그중 8할(80%)은 허당 이라는게 제 결론 입니다.
글 보시는 분들은 여기 월척 사이트를 너무 의존하지 마시고,제대로된 책을 사서 보시던지 아님 웝서핑을 좀 하시면서 제대로 된 지식을 찾아보시길 권합니다.
다시한번 말씀 드리지만 모르는건 죄가 아니지만,잘 알지못하거나,잘못 알고있는 지식을 우기는건 분명 죄가 될 수도 있다는걸 명심 하시길 바랍니다.(여기서 언급한 죄는 사법적인 죄를 의미하는건 아닙니다.)
밤낚시에 악영향을 미치는 요인.
진동(70%)
소음(20%)
불빛(10%)
이정도로 요약 할 수 있겠습니다.
그중하나일뿐...
꽝조사는 모든게 반갑죠.
어차피꽝인데 밝아서 덜무섭고 좋아요 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