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직 한참 초보인 날고싶은자작나무 입니다.
스위벨채비 하고 있습니다.
찌맞춤을 할때.
1. 바늘뺀다.
2. 봉돌 추가하여 바닥을 찾는다.
3. 추가된 봉돌을 빼고, 찌를 30Cm정도 내린다.
4. 찌가한마디 올라오게 맞춘다.
5. 바늘을 추가한다. 바닥위치로 찌를 올린다.
그러면 목줄만큼 찌가 올라가 있어요.
뭐가 문제일까요?
뭘 잘못 생각 하고 있을까요?
아시는분 답변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아직 한참 초보인 날고싶은자작나무 입니다.
스위벨채비 하고 있습니다.
찌맞춤을 할때.
1. 바늘뺀다.
2. 봉돌 추가하여 바닥을 찾는다.
3. 추가된 봉돌을 빼고, 찌를 30Cm정도 내린다.
4. 찌가한마디 올라오게 맞춘다.
5. 바늘을 추가한다. 바닥위치로 찌를 올린다.
그러면 목줄만큼 찌가 올라가 있어요.
뭐가 문제일까요?
뭘 잘못 생각 하고 있을까요?
아시는분 답변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대하여 자세하게 있으니 동영상도 보시고 하면
궁금증이 다소해결되리라 봅니다.
봉돌이 뜨고 바늘만 바닥에 닿아버린거 같네요.
스위벨을 달아 바닥에 닿게 조정하시면 되겠습니다.
찌의 + - 변화 값의 최소화 한 지점이기에)
현장 맞춤시 가벼운 찌맞춤을 하여 스위벨이 바닥에 닿지 않은 슬로프채비가 된 것 같네요.
케미 한마디 말고 케미고무 찌맞춤을 하시면 됩니다. 그냥 원봉돌 찌맞춤하듯이 하시면 됩니다.
스위벨이 바닥에 닿지 않으면 목줄의 길이 ,미끼의 무게에 따라 변화가 더 커 지겠죠.
2중 분활채비는 원봉돌보다 현장상황에 따른 변화가 더 큽니다.
따라서 가장 좋은 방법은
가찌맞춤도 현장에서 하는 것이 제일 좋습니다.
최초 가찌맞춤 시 아예 바늘 빼고 케미까지 잠기고 케미 끝만 살짝 보이는 무거운 찌맞춤을 하시면
수심 찾을 때 추가 봉돌이 필요 없겠죠.
추가적으로 예민하고 저부력일수록 현장(수심,수온, 탁도, 원줄등)의 영향을 더 받습니다 !
이때문에 낚시 할 지점에서 찌맞춤을 하는 이유죠.
먼말인지
그냥 대충 허먼 안돼는 거래유?
3번이 틀린것은 아닙니다.
3번에서 30센치 내리고, 5번에서 다시 바닥위치로 올린다? 이것이 오류입니다.
2번에서 추가한 봉돌로 인해 스위벨이 아닌 본봉돌이 바닥에 닫고 이를 수심이라 정하고
3번 추가봉돌 제거후 30센치 내린다. 여기서 중간목줄 만큼 스위벨과 본봉돌이 벌어지게 됩니다.
5번에서 바닥위치가 아닌 그냥 원하는 찌탑높이 만큼 올리시면 됩니다.
군계일학 성대표도 숫자적(이론적)으로 계산하지 말라고 했습니다.
이부분이..아리송 합니다..
던져 놓고
디비자는 저로서는 이해불가 ~~
낚수 어럽네요
바닥을 찾는 방법으로 기본 채비에 봉돌을 하나더 넣어서 빠르게 바닥을 찾자. 라고 생각하고 실행한거죠.
바닥이 뻘 또는 부유물로 푹~ 가라 앉는 경우라고 생각이 들어서 천천히 다시 바닥부터 찾자로 바꿨습니다.
풍덩채비(?)는 안해서 대충 넣자는 안하려고 노력중입니다.ㅎ
바닥찾을땐 풍덩채비로 바닥을찾고
정작 낚시할땐 가볍게 하니 스위벨이 닿을똥말똥 되어 있을확율이 높습니다
그러니 한목이상차이 날것같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