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선배님꺼 여쭙고자 합니다.
서찬수의 갓낚시
라는 책을 보면
서찬수씨가 매직으로 케미에 매직을 칠하더라.
라는 글이 있습니다.
다음날 조과는 서찬수씨가 제일 많이 잡았다라는
결론이였는데요.
케미가 밝다.
예민하고 경계심 많은 대물들은
이것을 인지 할까?
라는 의구심이 드네요.
제가 또 스마트 케미를 쓰는데요
입질이 오면 빨간색으로 변하니
수심이 얕을땐 그런 생각이 가끔 들때가 있어요
또 저녁 입질보단 대부분
대물낚시가 아침 입질 빈도가 많은거 같구요
케미 밝기가 조과에 영향을 주나요?
- © 1998 ~ 2025 Wolchuck all right reserved. ▲TOP
낚시에는 이게옳다 저게틀리다
이건 성립하지 않는것 같네요
자기 주장이 강한거죠
그건 경험에서 나오는 거구요
그 경험은 무시할수 없구요
그렇게 되면 자기만의 낚시방향이 성립되는
거구요 요즘 낚시 패턴을 보면 따라쟁이
들이 넘쳐나는거 같네요
한편으론 안타까움과 조구업체 호구로입문하는
어리석음은 범하지 말았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두마리 잡힐게 불빛의 밝기로인해 한마리 잡혔는지 알길이 없습니다.
일전에 송귀섭선배님이 낚시 촬영할때 불빛주변으로 붕어가 몰려드는걸로 봐서는
그닥 상관은 없을듯한데 알수없죠
일단, 불빛에 수서곤충이 몰릴것이고 이를 취하기위해 붕어가 몰린다는 설명이신거 같은데.....
대물낚시할때
투척도 자주하는게 조과에좋다, 좋지않다 말이 많았었죠.
고 서찬수님은 자주 투척을 해줌이 효과가 있다하시고
어떤분(ftv 월척특급)은 조용해야하니 투척으로인한 소음은 피해야한다하시고
낚시에는 하면할수록 정말 답을 모르는게 너무 많은거 같습니다.
그래서 낚시라는 장르가 살아있는 생명체를 상대로 알다가도 모르는 미로의 길로인해
한층더 재미를 배가시키는지 모를 일입니다.
언젠가 이모든걸 섭렵했다 했을때 같이 흥미도 잃어가겠죠.
아 그리고 입질에따라 색이변하는 캐미
옆조사님한테는 민폐가되더군요
캐미가안보일 거리라면 괜찮자만요
많은 고수님들의 조법을 연구해서 나만의 것으로 만드는 것이 제일 좋은 것 같습니다.^^
그당시는 캐미가 없던시절이라 찌보기가어려워 불을 밝혔는지 그랬는지 몰라도 그 불빛에서도 잘나왔어요.
하지만 물색만 탁하다면 의미 없다고 봅니다
밝은 빛이 붕어가 경계심을 갖게하는것은 맞습니다
하지먀 그 빛이 먹는본응까지는 못막는듯합니다
어제 출조에서 저는 수심 70-80에 화학캐미
옆자리 조우는 50-60에 전자캐미를 사용했습니다
제 캐미가 희미하다 느껴질 정도로 조우의 캐미가 밝았으나 결과적으로 조우는 20여수, 저는 10여수 했습니다 물로 절대적 조건이 같지 않으므로 차이는 있을것이나 탁한물에서 밝은 캐미는 별 영향을 안준다는거죠
활성도가 좋으면 상관없지만서도...
같은 전자캐미라도 좀 더 어두운 캐미가 입질이 좀 더 잘 들어오는 느낌이 듭니다.
특히 수심이 낮으면 더 하겠지요.
하지만 전 그냥 마음 편하게 씁니다.
일단 사람이 편해야 하니...
저는 오래전에 낚시를 할때에는 카바이트불빛으로 밤낚시를 했습니다.
카바이트가 불편해질때쯤에서는 렌턴이 출시돼서 썻습니다.
미군사용 후레쉬를 구해서 찌끝을 밤새도록 비추고 했어도 붕어는 잘 잡혔어요.
위에 거론한 불빛은 전자케미보다 밝았습니다.
오래전에는 밤에 찌보기가 어려워서 낚시대를 2~3대정도만 펴고 했습니다.
지금은 붕어 자원이 많이 줄어든것인지도 모릅니다.
나오는포인트는 별지x다해도 나오고
안나오는곳은 방법들 총동원해도 꽝입니다
갓낚시는 수심이 낮고 연안 근처라서 소음 불빛에 굉장히 예민하게 반응할 수 있다고 생각이 들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