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물낚시

· 생미끼 붕어 대물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질문/답변] 붕어 수컷 : 암컷 비율이 어떻게 되나요?

IP : 9c94aa791d8512a 날짜 : 조회 : 5160 본문+댓글추천 : 0

붕어 수컷 : 암컷 비율이 어떻게 되나요? 지금까지 낚았던 붕어를 보면 대부분 암컷인것 같던데, 수컷 붕어도 있긴 하나요?

2등! IP : 4528f8ea758005d
월이하고파님의 말씀이 거의 맞습니다.
암컷이95%이상이고 수컷의 비율은 5%미만이거든요.
그래서 낚이는 붕어의 대부분은 빵이좋은 암컷붕어이며 수컷붕어는 거의 낚이질 않습니다. 비율이 낮다보니잡을 확율이 떨어지는 건 당연한거구요.
수컷의 생김새 역시 길쭉하고 볼품이 없지요. 꼭 그런만은 아니지만......
암수구별은 쉽진않지만 산란기엔 확연히 구별이 가능합니다.
산란기의 붕어 수컷은 입에서 아가미쪽으로 꼭 뿔처럼 돌기가 생깁니다.
피라미의 수컷처럼요.
하지만 산란기가 끝나면 자연적으로 돌기도 사라집니다.
산란기이후에는 육안으로 구분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추천 0

3등! IP : ba0a54d51caf439
안녕하세요,fish007님,붕어단속중님,먼저 붕어단속중님의 산란기때 붕어 수컷의
아가미에 피라미의 수컷이 이 시기때 생기는 것 처럼 돌기가 생긴다는 것
저에게는 놀라운 사실이고,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붕어 낚으면 유심히 살펴봐야겠습니다 ^ ^ >

그리고,제가 알고있는 한 부분이 있습니다

붕어는 알에서 치어로 부화하게되면,암컷으로 될 가능성이 상당히 높으며
꼭 수컷 붕어의 정액이 그 알에 묻혀지지 않아도
같은 종류인 잉어의 정액이 붕어알에 묻혀지게되면
그 알은 부화해 치어로 성장할경우
완벽한 토종으로 성장된다는 것 입니다

다만,장어 가물치나 미꾸라지의 정액이 그 붕어알에 묻혀지게되면
부화하여 치어로 변하는 과정까지는 가더래도
사망한다는 것 입니다

이 내용은,몇 년 전 책자 어디선가 읽은 기억이 분명 나기에
설명해드려보았구요

낚시하며 늘 느끼는 것 이지만,붕어는 암컷이 더 많다는 것은 확실한 것 이며
이 비율은 붕어 천마리 중 1마리를 제외하곤 다 암컷이라 볼 정도로
저는 그 비율을 높게 두고싶습니다 ^ ^
<보다 더 근거있는 자료에의한 좋은 내용을 알게되면 <br/>꼭 그 내용 알려드리겠습니다>

그럼,즐거운 저녁시간 되세요
추천 0

IP : 4528f8ea758005d
달비4짜님 반갑습니다.
같은 종류의 잉아의 정액이 붕어알에 묻혀지게되면 그알은 부화해 치어로 성장할경우 완벽한 토종으로 상징된다는 것입니다라늠 말씀엔 동의할수가 없네요.
왜야하면 붕어와 잉어는 서로 다른 개체로서 자연 상태에서는 교배가 거의 불가능하며
교배가되더라도 완벽한 토종으로는 성장하는 것이 아니라 잉붕어가 되겠지요.
자연생태에서는 교배될 확율이 1%로도 되지 않습니다
붕어의 산란시기와 잉어의 산란시기는 서로 다르며 약 1달에서 1달 보름정도의 기간차가 있습니다.
토요일 황금같은 낚요일 출조하시거든 안출하시고 즐낚하시고 498하세요.........
추천 0

IP : b0647bc44c535c2
아,좋은 답변 감사드립니다.앞서 말씀드렷 듯
몇 년 전 책자에서 읽은 내용이랍니다
<책자 이름은 기억 안나나,다락원인가에서 출시된 초심자 분들 붕어낚시 접하기에 <br/>잘 설명해놓은 것 으로 기억합니다
낚시점에 놀러갔다가 읽은 기억이 있지요 ^ ^ >

제 기억으로 그 내용에 따르면,미꾸라지의 정액까지 묻혀서 부화를 시켜보았으나
부화 후 그 치어가 사망했다는 등등
넘 와닿고 구체적으로 잘 설명해놓았기에 말씀드렸던 것 입니다

제가 읽은 이 책자 내용이 틀린 것 이라면
여테 제가 잘못 알고있었던 것 인데
아직까지 그 어디서든,붕어라는 어류에대한 구체적인 자료는 부족한 듯 합니다

더 배우는 좋은 시간이 되었습니다.좋은 말씀 감사드립니다
추천 0

IP : 574ef9b4c853514
fish007님 안녕하세요?

붕어의 암수성비는
붕어의 번식방법과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즉, 붕어는 자성발생 현상으로 번식을 하기 때문입니다.

* 자성발생이란?
암컷이 낳은 알이 수컷의 정자와 수정되지 않고도 정상적으로 부화되는 것을
말합니다.
그래서, 정자의 역할은 단지 방아쇠처럼 난자를 자극하는 역할입니다.

참고로,
처녀생식이란?
아예 처음부터 수컷이 따로 없는 상태에서 2세를 탄생시키는 것을 말합니다.
-
-
-

그래서, 붕어의 생명력이 강한 이유중 하니입니다.

(답변이 되었는지 모르겠습니다)
추천 0

IP : 574ef9b4c853514
에구 빼먹은 것이 있어서.....

그래서, 붕어의 성비에서 암컷의 비율이 높은것입니다. *^^*
추천 0

IP : b0647bc44c535c2
안녕하세요,낙사모님.보다 더 명쾌한 답을 저 역시 잘 보았고
다시금 새로 좋은 말씀을 알게되었습니다

한 번 더 확실히 집고가는 의미에서
붕어의 자성발생이라는 이 의견의 구체적인 자료 또한 상당히 궁금합니다
<대물붕어낚시를 좋아하다보니,이런거 하나 놓칠 순 없습니다 ^ ^ >

그럼,좋은 자료 감사드리며
즐거운하루되세요 ^ ^
추천 0

IP : 574ef9b4c853514
달비4짜님
이렇게 물으시면
저의 짧은 지식이 탈로가 납니다......^^;;


제가 알고 있는 붕어의 산란과 관련된 짧은 지식을 올려봅니다.
틀릴수도 있고,
또한, 맞을수도 있습니다.
다만, 참고하시라고 올려봅니다........^^

첫째, 붕어의 산란은 햇빛과 관련이 있습니다.
붕어는 광산란어류이기 때문입니다.
흔히, 붕어는 적정수온이 되면 산란을 하지요.....
일반적으로 적정수온이라면 15-18도를 말하지만,
실제 현장에서 보면 날씨가 쌀쌀함에도 불구하고 붕어들의 산란을 목격할수 았습니다.
즉, 일반적으로 산란적온에 휠씬 못미치는 약10도 전후의 수온에서도 산란을 합니다.
(낚시잡지에서는 6~8도 정도의 수온에서도 산란을 한다고 합니다
물론, 햇볕이 비치는 좋은 날씨에서 입니다....)

그리고, 적정수온이 되어 산란중이더라도
날이 흐려지거나 비가 오면 산란을 그치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여기에서 우리는 산란에 대한 빛과 수온이 밀접한 관계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대다수의 어류는 빛과 수온에 의해 산란을 합니다.

여기서 말하는 산란요인으로서의 빛은 하루중에 비취진 일조시간을 말하며,
수온이란 산란 당일에 잰 수온이 아니라 포란기(알을 배고 있는 시기) 동안
지속적으로 영향을 미쳐온 수온을 말합니다.

포란기에는 수온의 영향을 직접 받지만,
산란에 임박해서는 수온보다는 상대적으로 햇볕의 영향을 직접 받습니다.

둘째, 붕어의 산란은 외부영향에 의해 늦어지거나, 오래도록 지속되기도 합니다.
보통 말하는 오름찬스기에 산란을 하는 경우가 그 예입니다.....

여기저기 찾아보니,
전라도 고흥 봉암지의 경우에는 한여름인 7-8월에도 알을 줄줄 흘리고 있었다고 하고
정읍 고부지의 월척사태의 경우도 9월에 알을 가득 품은 상태에서 낚였다고 합니다.

그리고, 붕어의 산란은 다회성입니다.
예를 들면, 30cm 정도의 월척붕어가 20만개 정도의 알을 낳는다고 합니다.
보통 1회 산란하는 알의 양은 수백-1천개 정도이며 소요시간은 약 3-5분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30cm 정도의 붕어가 20만개의 알을 다 낳기까지는 열흘에서 보름정도의
기간이 걸리게 됩니다.

물론, 이제 갓 산란을 시작하는 작은 개체의 붕어라면 알의 숫자가 적어 일시산란을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세째, 붕어는 몸을 비벼 알을 낳는다.......붙인다.......
붕어의 알은 침성 점착성입니다.


이해를 돕기위해 간단한 설명을 덧붙입니다.....^*^*
어류의 알은 크게 2가지로 나뉩니다.
붕어와 노래미, 도루묵 등처럼 돌밑이나 수초,해초줄기에 알을 붙이는 종류를
침성점착란이라 부르고,
감성돔을 비롯한 돔류와 넙치,농어,방어와 같이 수중에 낳은 알이 수면에서
머물다가 기간이 지나면 부화되는데 이를 분리부성란이라고 부릅니다.....

붕어를 비롯한 대개의 담수어류들은 침성점착란에 속하는데
이는 물이 흐르기 마련인 담수의 특성상 알을 떠내려 보내지 안으려는
담수어류들의 오랜 진화의 산물이라고 합니다.(......믿거나 말거나.......)

참고로, 버들붕어처럼 수면에 거품집을 만들고 알을 낳아 숫놈이 보호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아무튼 붕어가 산란시 몸을 부비는 행위는 알을 붙이기 위한 것입니다.
그래서, 붕어는 알을 붙일 곳이 있다면 어디에도 산란을 합니다.
예를 들면, 수초가 있다면 좋겠지만, 수초 없는 경우에는 뿌리만 남은 수초나
논밭자리, 바위 등에도 산란을 하며, 심지어 쓰레기 같은 부유물질에도 산란을
합니다..(찌에도 산란을 하지요.......)

넷째, 산란 피크는 새벽입니다.
이는 붕어의 산란 호르몬과 관계가 있습니다.
붕어의 산란시 분비되는 성호르몬을 측정해보면 산란기 내내 분비되지만
특별한 시간에 많은 양이 분비된다고 합니다.
특히, 새벽 3-5시 사이에 호르몬의 분비량이 가장 많았으며,
오전 5-9시가 그다음으로 많습니다.

앞에서 말씀드렸듯이 붕어는 햇볕에 따라 산란을 하는 광산란어류입니다,
그래서, 햇볕을 충분히 받고, 외부의 불안요소가 가장 적은 새벽에 산란을 많이
합니다.

다섯째는 이전 댓글에서 말씀드린 산란방식인 자성발생 방식입니다........



제가 말주변이 없다보니,
쉬운 말로 이해를 도와야하는데, 그렇지 못해 어렵지 않나 모르겠습니다.

다만,
참고하시라고 올려봅니다........


대리 만족이라고 할수 있게
이번주말에는 손맛, 찌맛 많이 보십시요......
추천 0

IP : da63b5abb6af357
낙사모님,붕어의 그 자성발생이란 것의 더 구체적이고 명확한 답은 얻질 못했으나
<여테 낚시하면서 붕어라는 내가 대상어로하는 어류가 <br/>자성발생으로 부화한다는 놀라운 얘기를 접한건 처음이었고
이렇기에 더 알고싶고 궁금했던 것 입니다 ^ ^ >
낙사모님의 얘기 중 상당히 공감 가는 부분이 많습니다
제가 낚시하면서 경험한 것과 일치하는 부분들이 많이 있어서이죠

예를들면,붕어는 당연 억센 수초군이나 억센 장애물에 몸 부비며
그 알을 붙혀 산란을 하는 것은 익히 알고있었고
그 상황이나 현장도 경험했지만
연 중 거진 산란을 한다는 것에 상당히 공감하며
저 역시도 자주 목격하였습니다

늦가을 새우 채집망에 포획된 길이 1Cm정도의 붕어 치어만해도 그렇고
2월 초에 낚은 대형붕어에서 알이 흐르고있었으며
1월 하순 수로에서 낚은 중형급 붕어도 알이 흐르고있었지요

여로모로 알고계신 좋은 정보 많이 주셔서 감사드리며
붕어의 자성발생이라는 이 부분은,저 나름대로 한 번 알아봐야겠습니다
<놀라운 사실 하나를 알게되면,꼭 이것을 알아내야만 <br/>직성이 풀리는 성격이라서 ^ ^ >

그럼,모든 분 들 좋은 토론을 하는 기분이라 즐겁구요
황사파람은 좀 있으나,즐거운 주말 출조길 되세요
추천 0

IP : 574ef9b4c853514
달비4짜님의
그 많은 지식과 경험의 근간이 어디인지 알것같습니다.


위 글을
제가 낚시를 본격적으로 시작한 90년대 초중반부터
낚시잡지와 낚시에 관련된 글을 찾던중 읽었던 내용으로
그 당시에는 자세히 읽지 않고
아~하 이렇구나 하는 정도였습니다.
이후 낚시를 하면서 경험으로 체득한 부분도 있구요......


다만, 윗글과 관련된 잡지가 서고 어딘가에 있을텐데
지금은 밖에 나와있어서
찾으면 확인하고 답글 올리겠습니다........

아직까지
붕어에 대한 종합적이고, 체계적이고, 상세하게 기술된 책(잡지)을 찾기가
어려웠습니다.......다만, 몇년전에 설립되었다는 차종환님의 붕어연구소에는
달비4짜님이 궁금증에 명쾌하게 답변할 자료가 있을지 모르겠습니다......

저도 자세히 알아보고 말씀드리겠습니다........^^
추천 0

IP : e67ea1b2973f935
아,다시 한번 좋은 말씀 감사드리며,저 역시도 책 읽은 것도 좋아하는 편이어서
<물론,어느 책이든 제가 관심있는 부분에 관한 것들 이지만요 ^ ^ >
서점 가거든 그 책 한번 봐야겠습니다

맞습니다.기존의 어떤 붕어낚시 관한 서적이든
그 자료가 오히려 여러 낚시하시는 분 들의 경험에 의한 좋은 정보보다
더 부족하고,너무 형식적인 내용들 뿐 이라 지루하기도했습니다

그 책 한번 읽어봐야겠구요,낙사모님께서도 좋은 정보 있으시면
앞으로도 좋은 얘기 부탁드립니다

여러 분 들 께서 알고계신 좋은 정보를 함께 나누면
그 앎이 배가 되는 것 같습니다
그럼,즐거운 주말 되세요
<조촐하게 집근처로 떡밥낚시나 갔다올라했는데,황사가 넘 심하네요 <br/>건강 유의하세요 ^ ^ >
추천 0

IP : e1b27571265dc64
낚시춘추 97~98년도 사이 기사중 붕어의 성전환과 처녀생식에관해 자세히 나왔던걸로
기억됩니다.
바다의 감성돔도 암컷에서 수컷으로 성을 바꾸죠.
떡붕어의 경우도 난소와 정소를 다가지고있다하던데^^*
추천 0

IP : e1b27571265dc64
수컷에서 암컷으로 바꾸던가? 헷갈리네요^^
중국붕어는 치어일땐 수컷이많다던데 .....
암튼 성전환을 한다네요^^
추천 0

IP : 574ef9b4c853514
neutrino님
좋은 정보 고맙습니다.

집에 97~98년도 낚시춘추가 몇권있는데, 찾아보아야겠습니다........

글구,
2002년도 4월에 청평내수면연구소에서 토종붕어에 대한 연구가 있었다고는
보도가 있습니다..................참고하십시요........
추천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