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림·중층낚시

· 중층, 내림 등 전층낚시에 대한 전반적인 문답과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낚싯대에 대한 문의는 낚싯대포럼(중층 내림대)코너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포럼바로가기]

[질문/답변] 진짜 초보 찌맞춤 질문입니다

캡틴박 IP : 6cf57819935f8e9 날짜 : 2014-11-30 11:54 조회 : 7001 본문+댓글추천 : 0

내림 한번도 해보질 않은 진짜 생초보입ㄴ다...한번 배워볼까 해서 인터넷 검색중 궁금증이 생겨 글 남김니다.
어떠분은 바늘 달고 찌맞춤 한다하고 어떠분은 바늘없이 찌맞춤한다는데 어느분 말씀이 맞는지요..
한가지 더요..3목 맞춤하고 수심찾고 3목 내놓고 낚시하는지요..4목내놓고 하신다는분도 계시고...ㅜㅜ 다들 자신만의 노하우를 올리신 것이겠지만 초보가 보니 너무 헷갈리네요..고수님들 답변 부탁 드립니다.
추천 0

1등! 「외대일침」 14-11-30 13:59 IP : 2f2af0480c07e20
제가 저번에 옥내림란에 올렸던글인데
참고하십시오...

제목: 노지 옥내림 그까이꺼

옥수수미끼를 사용하는 "내림낚시"
단지 목줄만 긴 어리버리낚시가 아닌가?
그냥 마이너스 마춤으로 봉돌만 뛰워놓고 미끼가 달린 바늘만 바닥에 대일똥말똥 있게 하는건 물테면 물고 말테면 말아라는것이 아닌지?

고부력이든 저부력이던 플러스가되지도 마이너스가 되지도 않은 부력점을 마추는것이 내림의 핵심이라 봅니다.

차라리 한대로만 낚시하는 떡밥내림낚시에 통상적인 옥내림마춤식으로 바늘목줄달고 5목마추고 미끼달고 2목 더주고 7목에 낚시는것이 더 낫다고생각합니다. 왜? (단차를5cm이상 줬고, 어차피 짧은목줄엔 집어제달고 긴 목줄에 미끼를 달기에 잔존부력이 덜 먹히지 않나 생각해보구요...즉 올라가려는 상승력을 짧은 바늘의 집어제가 풀리기 전까진 잡고있으니....)

그렇다고 붕어든 뭐든 긴목줄에만 100%물어줄까요? 짧은 목줄에 물때도 분명 있을것입니다. 그래서 바늘목줄을 달지않고 찌마춤을하는것이 어떤 내림을 하던 원칙으로 생각합니다.

그럼 아주 간단하게 옥내림표 무바늘찌마춤을 한번 해보도록하죠~

★일반 고리봉돌을 사용하던 편납홀더를 사용하던 상관은 없고 찌마춤시 캐미는 꼭 끼우고 마춥니다.

1. 낚시를 하고자하는 위치에 자리를 잡고, 찌의 부력 보다 침력이 더 높도록 채비를하여 물에 던져 찌탑 캐미고무가 수면에 보일똥말똥 나오게 마춥니다. 그러면 봉돌은 바닥에 닿여있겠죠~
물론 바늘 목줄은 아직 달면안되구요

2. 마췄으면 채비를 꺼내서 목줄 길이(예)35/30(참고로 저는 옥내림에 단차는 무의미하다생각합니다) 암튼 목줄길이35cm+여분10cm해서 50cm가량 스토퍼를 내립니다.

3. 봉돌은깍고 편납은 잘라내며 원하는목수(예)14목찌 7목을 마춥니다.
마춘뒤 한 2분가량 지켜보며 조금 더 내려갔으면 살짝 더 가감을 해주고 또 1~2분가량 확인을합니다.

4. 이제 미리만들어놓은 목줄을 달고 바늘에 지우개(옥수수무게와 비슷한 크기)를 꽂아 짧은바늘 기준으로 동절기에는 7목 그대로 하절기에는 2목을 줄여 5목에 마춥니다.

5. 이제 지우개를 빼고 옥수수를 달고 던져서 목수가 그대로 나오는지 서너차래 던져서 확인을하고 미세조정을하여 5목이면 5목 7목이면 7목을 마춰 낚시하시면 됩니다.

6. 이렇게 무바늘마춤을 하여도 미세하게 잔존부력은 존재합니다.
무바늘 7목에 마췄으면 스토퍼를 더 올리더라도 7목이상이 나올수가 없고 여기서부터는 슬로프구간인데 고부력찌의 경우 슬로프구간에 1~2목 더 나올수가 있으나 이정도는 무시하시는게 정신건강에 이롭습니다.

7. 위의 3~4번 단계에서 무바늘 7목에 마춘뒤 바늘 목줄을 달았을시 3목이되었다면 바늘1개당 침력은2목이되고 4목만큼이 잔존부력(이물감)으로 작용합니다.
추천 0

2등! 「외대일침」 14-11-30 14:02 IP : 2f2af0480c07e20
거듭 말씁 드리지만 참고만 하십시오
추천 0

3등! 캡틴박 14-11-30 17:16 IP : 6cf57819935f8e9
ㅎㅎ 외대일침님 감사합니다..
떡밥내림에도 위에 적은 것처럼 하란
말씀이죠?..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추운데 안출하세요..^^
추천 0

겨차도 14-11-30 17:40 IP : f23b5550b69611e
캡틴박//님 초보시죠...것도 아주 쌩 초보시죠..
저도 그랬어요...저도 쌩초보였었는데요..
복잡하게 알려구해봤자 오히려 헷갈리고 힘들어져요..
단순하게 하시고 해보시면 익숙해져요..
익숙해질때 다른분들이 말씀하신대로 하나씩 해보셔요..
그때쯤되면 아~!~왜 이렇게 하라고 했는지 하나씩 알게되여..
지금같이 쌩초보일때는 오히려 어렵고 혼란스러워요..
머리가 좋거나 이해력이 좋으시면 원칙대로 하시구요..
전 그래서 아주 간단하게 했어요..
내림낚시는 아무래도 슬러프 낚시인지라
빈바늘 3목 찌 마추시고 미끼다신다음 3목내놓고 하심됩니다..
복잡하게 안하셔도 이렇게 해도 슬러프 낚시가되여..
간단하게 하셔요~~
추천 2

겨차도 14-11-30 17:41 IP : f23b5550b69611e
오타 슬로프에요~~
추천 0

아자개 14-12-01 09:25 IP : c3f8870f3701507
내림..일본은 소꼬즈리라 합니다.이해하지마시고 그냥 따라해봅시요. 빈바늘 찌 11목찌 8목 맞춥니다.
목줄 90에 단차 10짭은바늘에 수심측정고무를 달고 캐스팅 찌톱이 서서히 잠길정도 가감후. 한목이 나올정도 맞춥니다.한목이나왔다하면 고패질 2회실시
동일하면 낚시대를 앞으로 20밀어보고 당겨보았을시 수심츠정완료...수심측정 기억 찌스톱퍼를 한목에 맞춘후. 수심측정고무 제거후 투척 후 떠오르는 찌목수확인. 아마도 9목이나 10목이 나올겁니다
찌를 수심측정 스톱퍼에 기준하여9목에맞추고 떡밥을달고 투척합니다. 찌가 기립하고 서서히 가라앉습니다. 떡밥 크기에 따라 종류에따라 잠김폭은 달라집니다? 언제나 똑같은 목내림이될수있게 떡밥크기
점도를 유지해줍니다. 서서히 밥일풀리면서 한목두목올라오다...찌목수확인된 목수에서 회수후 재투척합니다. 올라오는 속도가일정치않다면고기가있을경우가많습니다. 그러나 한번에 훅올라오거나 8목이나 9목이 나온다면 밥의점성이 부족한것입니다.
입질으 무조건 내려간다고채시면 안됩니다.내림폭이 짧아도점찍는 형태가나온다면 채보십시요.
몸통걸림이 많다면 찌를 수심측정기준점으로 내려주시고 헛챔질이 많다면 올려주십시요.전어제경우
찌맟춤 기억 고무에 바짝 붙이기도했습니다.
지금시기는 내림도 힘이듭니다. 그리고 유인동작은
절대 하지마시고요 단지 기교가아니라 테크닉입니다. 한마리 잡았다해서 기술이 되는것이아닙니다.
처음이시면 투척.찌내림과 입질 파낙이 우선입니다
저도 못하지만 가장중요한것이 투척 80 그외 20입니다. 투척이안되면 떡밥 낚시는 안하시는게 좋습니다. 그냥 해보십시요. 그리고 이해가되실겁니다.
일본 명인도 소꼬즈리 이해하느데 3년이 걸렸다고합니다. 이낚시의 매력에 빠지시면 안되겠지만
해보시면?..... ㅎㅎㅎㅎ 좋은 사부한분계시면 좋껬지만..그런 사부찾기가...사실어렵죠...합번해보세요.그리고 저도글을적지만..임터넷른 금기입니다.
격한말로 쓰레기 정보가많습니다.
추천 0

「외대일침」 14-12-01 21:07 IP : 79d62b57a303253
음...캡틴박님 머리 아푸겠습니다ㅋㅋ
추천 0

달콩 14-12-02 18:58 IP : ab80e4ed74d13c7
ㅋㅋ 걍 편하게 군x일학 가셔서 초보 내림 동영상 보시고 한번 따라하시면 됩니다

글 보다 보고 배우는게 낮습니다 천천히 정석대로 배우시고 쪼금 알게되면 김상고 낚시카페 가심 거기도 동영상있습니다

거기서 무바늘 찌맞춤가 부력점 배우시면됩니다
추천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