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좌(Tip)

· 테크닉, 미끼운용, 용품, 역사, 문화 등 낚시 장르에 구애 없이 낚시와 관련된 모든 실용적 강좌나 TIP이 해당됩니다.

· 기존제품의 개조 또는 자작용품의 경우 나의낚시장비를 이용해주시기 바랍니다.
· 본인이 저작권을 가지는 게시물만 게시하여 주십시오.
· 질답 게시판이 아니오니 질문은 월척지식을 이용하십시오.
· 동영상은 동영상게시판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스위벨 채비시.. 노하우~

알렌 IP : 9676b940272dfbc 날짜 : 2012-10-04 13:59 조회 : 42279 본문+댓글추천 : 0

1. 스위벨 채비 세팅법
일반적인 세팅법
원줄 ~ 찌고무2개 ~ 찌 ~ 찌고무개2 ~ 도래 ~ 원봉돌 ~ 제1목줄(20cm) ~ 스위벨 ~ 제2목줄(4~5cm) ~ 바늘

1-1. 수심측정(찌의 부력보다도 무거운 상태여야만함)
- 스위벨까지 단 상태(제2목줄,바늘제외)에서 수심체크(10cm정도 노출)후 찌를 약 40cm정도 내려서 투척지점에서 실시
1-2. 찌 맞춤
- 투척 후 반목에서 몇초간 머물다 딸깍 정도로 정밀하게 맞춤 (도래를 이용하여 소링등을 가감하여 맞춤)
1-3. 낚시 시작
- 두목정도 나오도록 찌조정 후 바늘달고 미끼달아 낚시

위의 과정이 스위벨채비의 과정이지만 집고 넘어갈 부분 몇가지를 적어봤습니다

2. 과연 스위벨이 제대로 안착되어 있는가

스위벨 채비에서 이부분이 가장 중요한 부분이라 할 수있는데요
이경우의 문제는 크게 두가지로 나눌수 있다 생각합니다

2-1. 너무 정밀한 찌맞춤을 한 나머지 스위벨이 바닥에서 떠있다(바늘만 닿아있다)
2-2. 스위벨의 안착만을 생각하다보니(좀 무겁게) 스위벨은 물론 원봉돌까지 바닥에 닿을 기세다
(제1목줄이 휘어져 있거나 바닥에 닿아있는 경우)
이렇게 두가지의 문제점이 생기더군요

문제해결법은 1-1의 수심체크 및 1-2의 찌맞춤시 원봉돌 + 제1목줄 + 스위벨 이렇게 세팅되어 있는상태에서
스위벨의 바늘달 부분을 도래에 끼워 원봉돌과 스위벨을 같은곳에 위치시킵니다
도래에 원봉돌과 스위벨을 동시에 달고 수심체크 및 찌맟춤을 합니다
이렇게 찌맞춤 후 다시 스위벨을 도래에서 뺀 후(원상복귀) 찌맞춤을 해보면 찌맞춤 상태를 정확히 알수 있답니다
가령 제1목줄 길이가 20cm라면 스위벨을 도래에 달고 할때와 원상태로 할때의 차이가 20cm가 나야
정밀한 찌맞춤이 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겠죠

또한 주간캐미와 야간캐미의 무게가 같아야 좋습니다
무게가 다르다면 다시 찌맟춤을 해야하니까요..
원줄은 모노줄처럼 비중이 낮은게 좋다곤 하나, 좀 큰것들을 잡고나면 원줄 늘어남을 아실수 있을겁니다(철수시 줄감개에 매보면 느껴지더군요)
그래서 저는 1.75정도의 카본줄을 원줄로 사용합니다(50정도 잉어도 너끈히 거둬들입니다)

제 채비를 소개하자면 찌는 3호봉돌정도(2.7g) + 원줄(그랜드맥스 카본 1.75) + 찌스토퍼는 줄에 맞는 시중것들 + 2호 스위벨 + 2호 당합사 + 다이찌7호바늘 정도를 주로씁니다
위채비와는 다르게 제1목줄을 없애고(여기서 터지면 짜징나더라구요 ㅎㅎ) 원봉돌을 원줄통과용 편납추로 대신사용중입니다
편납추의 위치변화로 제1목줄역할의 길이가 언제든 조정가능하고
스위벨까지 내려서 사용하면 원봉돌 이봉채비와 비슷하게 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이기도 하구요
찌맞춤시도 스위벨 위치까지 편납추를 내려서 하게되면 위에서 언급한 조정법이 되기때문에 편합니다

원줄(1.75카본) + 스토퍼2개 + 찌고무(3호정도의 찌) + 스토퍼2개 + (스토퍼1개 + 편납추 + 스토퍼1개) + 스위벨2호 + 당합사2호 4~5cm + 바늘

다 아시는 팁일수도 있겠지만 두어달 스위벨낚시를 하면서 느낀점을 공유하고자 올려봅니다
[이 게시물은 운영자님에 의해 2012-10-09 08:57:39 전통바닥낚시에서 이동 되었습니다]
추천 0

1등! 알렌 12-10-04 14:02 IP : 9676b940272dfbc
빼먹었는데.. 스위벨 채비에서 잊고 지나치기 쉬운점이 수직입수 부분이라 생각합니다
투척 후 찌가 벌떡 설때까지는 낚시대 손잡이 부분을 들어올려 수직입수를 꼭 도와주시기 바랍니다
추천 0

2등! 1톤봉톨 12-10-04 15:11 IP : 333aca2842085ca
'문제해결법은 1-1의 수심체크 및 1-2의 찌맞춤시 원봉돌 + 제1목줄 + 스위벨 이렇게 세팅되어 있는상태에서
스위벨의 바늘달 부분을 도래에 끼워 원봉돌과 스위벨을 같은곳에 위치시킵니다
도래에 원봉돌과 스위벨을 동시에 달고 수심체크 및 찌맟춤을 합니다
이렇게 찌맞춤 후 다시 스위벨을 도래에서 뺀 후(원상복귀) 찌맞춤을 해보면 찌맞춤 상태를 정확히 알수 있답니다'
혹시 이부분에서 저는 제 1목줄 12cm에 스위벨을 그냥 달고 찌 맞춤을 했는데 그럼 문제가 있나요? 수심체크및 찌 맞춤은 위글과 동일하게 했는데 저는 도래를 사용하지 않아서요 ㅜㅜ
추천 1

3등! 알렌 12-10-04 16:05 IP : 9676b940272dfbc
중간부분에 언급했듯이 딸깍 마춤이라고 해도 스위벨이 바닥에 닿은것인지 원봉돌이 바닥에 닿은것인지 구분하기 애매할수가 있습니다
흠.. 원봉돌이 바닥에 닿지 않았다 하더라도 12cm의 목줄이 수직으로 곧게 서있어야하는데 원봉돌이 처짐으로 인해 반달모양으로 휨현상이 발생할 수도 있다는 소리지요 그렇게 되면 아무래도 입질의 사각지대가 더 커지기 됩니다
그 12cm의 갭을 파악하기 힘들게되면 스위벨채비의 목적보다도 사각지대로 인한 제대로 된 입질을 받기 힘들거라 판단되네요
이해가 가시는지요.. 스위벨 채비의 가장 중요한 부분은 스위벨만 정확히 안착시켜 스위벨을 약간만 들어도 찌가 솟구치게 하는데 있습니다.. 12cm의 목줄은 당연히 수직으로 서있어야하구요..
제가 글을 적고자 했던 이유도 바로 목줄의 휨현상이 주된 이유랍니다~
도래없이 하신다면 아무래도 민감한 찌맞춤은 힘들지 않을까 싶습니다
일단은 도래를 추가해서 채비구성을 하시는걸 추천드리고요(무게의 가감을 위해서도 편합니다)
도래없이 한다고해서 못할건 없지만.. 아무래도 정밀하게 찌맞춤하기 힘든건 사실입니다..
봉돌을 깎을순 잇어도 더하긴 힘드니가요..
추천 0

동동 12-10-04 20:31 IP : 84ef5d0c8d4da5c
1-2의 찌맞춤에 이의를 제기합니다. ^^ 카본줄사용시 반목에서 몇초간 머물다가 딸깍하는 찌맞춤은 문제가 있다고봅니다. 그건 카본줄이 가라앉으면서 찌를 당기는 현상입니다. 카본줄사용시에는 찌가 천천히 멈추지않고 나려가야 정확한 찌맞춤이 됩니다. 그리고 스위벨채비시 수조에서 실험을해보면 원줄20cm정도에 채비를 해서 스위벨이 수조바닥에 쿵 떨어질정도로 무겁게 맞추어도 들채로 들어보면 제1 목줄이 휘어지지않고 몸통까지 올라옵니다. 한번 해보시면 알겁니다. 너무 가볍게 맞추고 머리 아프게 낚시하는것보다는 약간 아주 약간 무겁게 안정적으로 하는게 오히려 더 편하고 좋더군요. 저의 개인적인 견해입니다. 스위벨채비에 관심있으신 분들은 참고하셔서 자기만의 스타일을 찾으시길...
추천 0

초벌낚시 12-10-04 20:40 IP : b27a0db12f307ec
저는 스위벨달고 찌맞춤시 스위벨에 도래에 작은봉돌을 하나달고 수심측정후 도래와 작은봉돌빼고 던져서 똑같은 수심이나오면 되던데요.
추천 0

삶의여백 12-10-04 22:29 IP : b127b6ff85b3592
스위벨 채비 사용하고 있는 초보조사 입니다~~ ^^*

알렌님의 글에 태클을 거는것은 절대 아니고요~~ ㅎㅎ


다만 제가 생각하는 스위벨 채비는...

1. 찌 다리에서 몸통까지의 부력만 모두 커버하는 가장 큰! 무게의 본봉돌에..

2. 찌톱만의 부력만 모두 커버하는 가장 작은무게의 스위벨로..

3. 기본 1목에서 최대 3목정도까지 찌목을 내어 놓코 낚시한다~~

입니다~~

정답은 아닐지라도... 모범답안 정도는 아닐까~~ 저는 생각 합니다만~ ㅎㅎ

왜그런지 대부분 아시겠지만서도...

아직 위의 1,2,3번을 이해 못하신다면.. 한번 연구 해보시면 정말 재미 있으실지도 모릅니다~~ ^^*

나름 재미 있더라고요~ 저는 ㅎㅎ


위 3개를 이해하신다면... 기둥목줄 휠 걱정은 없다고 보고요~ (입질에 찌가 눕는 상태가 되지 않는이상)
사선입수는 본봉돌에서도 나타나는 공통 사항이고요~
노지에서의 새롭게하는 찌마춤도.... 그닥 어려울것이 없죠~~ ㅎㅎ


그낭 저만의 주관이니~ 참고만 하시길~~ ^^*
추천 0

월광미바 12-10-05 00:44 IP : 66235e7fd6c0189
유용한 정보공유에 감사합니다.............
추천 0

적赤월月난蘭향香 12-10-05 07:33 IP : dbc52dda70efa9a
여백님 말씀은 이해하겠는데 궁금한점이있습니다.
한마디로 찌맞춤시 본봉돌이 찌몸통 찌톱연결부분까지 잠겨야되고 거기에 스위벨이 찌톱까지내려갈 홋수를 단다는얘기잖아요
꼭 그렇게해야되나요?
노지에서 낚시하는데 저는 스위벨 5호를 쓰는데
위에 처럼할려고 하다보니 제가가지고있는찌로 본봉돌로 찌몸통 찌톱연결부분까지 잠귀게하고 5호스위벨 다니 찌가 완전가라안자서 다른찌로해보니 찌가 2마디에서 3마디까지 나오는데 이럴땐 어떻게해야되나요?
전 그냥 스위벨이랑본봉돌 달고 찌가 잠귀게한 다음 본봉돌 과감해서 찌맞춤하는데 이렇게 하면 삶에 여백님이 얘기한거랑 머가다르죠?
그럼 여백님이 말씀한거처럼할려면 찌를바꿔야되는건지?궁금해지네요
추천 0

삶의여백 12-10-05 10:12 IP : ef45b60097a936b
안녕하세요.. 적월님...

허접한 제 생각이나마 답변 남겨 봅니다~~ ^^*

1. "한마디로 찌맞춤시 본봉돌이 찌몸통 찌톱연결부분까지 잠겨야되고 거기에 스위벨이 찌톱까지내려갈 홋수를 단다는얘기잖아요
꼭 그렇게해야되나요?"
-> 네.. 제 생각에는 왠만하면(?) 그렇게 해야된다고 보고요.. 이유는 스위벨만으로 찌의 모든것을 표현되게 함입니다.
즉 붕어 입질시 스위벨만 올려도 찌탑의 모든부분이 올라와야한다고 생각하기 때문이죠..
찌가 누우는 경우는 붕어가 스위벨을 달은상태에서 본봉돌까지 올린 상황이 되겠지요.. 하지만 이 경우는 낚시인이
부주의(딴짓? ㅎ) 으로인해서 입질을 놓친경우가 되니 채비탓 하기에는 무리인경우라 생각 합니다~~ ㅎㅎ
물론 찌탑의 1/2의 부력만 상쇠하는 스위벨을 사용해도 낚시인이 인지한 상태에서 그에따라 행동한다면 큰 문제는 아니겠지만.
찌탑의 1/2만 상쇠된다면 입질시 찌탑의 1/2가 올라온 상태에서 나머지 1/2가 올라오기까지는 붕어가 본봉돌을 올려야만 됩니다.
이렇게 되면 스위벨과 본봉돌 사이의 기둥목줄에의한 사각이 생기기 때문이고..
낚시인이 인지하지 못한다면 나머지 찌맛을 보기위해서 사각인줄 모르고 더 기다릴수도 있기 때문이죠.

2. "제가가지고있는찌로 본봉돌로 찌몸통 찌톱연결부분까지 잠귀게하고 5호스위벨 다니 찌가 완전가라안자서 다른찌로해보니 찌가 2마디에서 3마디까지 나오는데 이럴땐 어떻게해야되나요? "
-> 네.. 대부분이 적월님의 말씀처럼 되지도... 저도 그러하고..대부분들이 그러하니까요~
제가 말씀드린
"찌 다리에서 몸통까지의 부력만 모두 커버하는 가장 큰! 무게의 본봉돌에.."
"찌톱만의 부력만 모두 커버하는 가장 작은무게의 스위벨로.. " 이것은..
어디까지나 이론상의 방향성?, 목표? 정점? 을 말씀드린것 뿐입니다..
즉~~ 이렇게 꼭 하세요! 가 아니라.. "이걸 기준삼아~~ 하십시요!" 입니다..

스위벨을 모든 호수만큼 가지고 다닐수도 없고... 찌를 스위벨에 마춰서 살수는 더더욱 없지요~ ㅎㅎ
제가 하는 노지에서의 찌 마춤은.. (수조통이 아니고.. 현장에서의 급하게 마추는 찌마춤입니다)
본봉돌만 달고.. 던져서.. 찌의 몸통까지 상쇠될 정도로 본봉돌을 우선 깎습니다..
다음 스위벨을 달아서 던집니다... 딱! 맞으면 좋겠지만.. 적월님처럼 대부분 가라앉게 되어 있지요
만약 위 상태에서 스위벨 5g 짜리를 달았는데 가라앉고 스위벨 3g 짜리를 달았는데 찌탑을 모두 상쇠시키지 못하면..
스위벨 5g짜리를 달은 상태에서 찌마춤을 해야됩니다. (즉 찌는 가라앉은 상태죠)
3g 짜리를 달고 본봉돌에 약간의 편납을 감을수도 있겠지만... 그 이유는 위에서 말씀 드렸다시피 사각이 생깁니다.
5g 짜리를 달고서 찌 마춤은 당연히 본봉돌을 잘라내서 찌마춤을 하겠지요..

그렇다면 위에서 제가 적은 2개의 명제에는 어긋나겠지요..
"찌 다리에서 몸통까지의 부력만 모두 커버하는 가장 큰! 무게의 본봉돌에.." 도 아니고..
(무거운스위벨때문에 본봉돌을 좀더 깎았으니 말이죠)
"찌톱만의 부력만 모두 커버하는 가장 작은무게의 스위벨로.. " 도 아니게 되지요..
(5g 짜리를 달았을때 찌가 가라앉졌으니)
어디까지나.. 방향성 입니다~ ㅎㅎ


3. "전 그냥 스위벨이랑본봉돌 달고 찌가 잠귀게한 다음 본봉돌 과감해서 찌맞춤하는데 이렇게 하면 삶에 여백님이 얘기한거랑 머가다르죠? 그럼 여백님이 말씀한거처럼할려면 찌를바꿔야되는건지?궁금해지네요 "
-> 위와 같이 찌 마춤을 하시게 되면 1번에서 말씀드린 사각의 부분을 보장하기가 어렵습니다..
또한 낚시인이 인지하기가 어렵지요..
적어도.. 붕어가 스위벨만을 올렸을때..(즉 스위벨 무게가 없어졌을때) 본인의 찌가 어디까지 올라올수 있는 상태인지는 알고
있어야 된다는 생각입니다.. 이유는 앞에서도 말씀드린 사각! 때문입니다.
만약에 적월님께서 스위벨 5호(즉 찌톱의 부력보다는 무거운 스위벨)을 처음부터 달고 위와같이 찌마춤을 하셨다면.
결과적으로는 제가 말씀드린것과 다를것은 없습니다! 결과로는 똑! 같은상태인것이죠~
그냥 5호 스위벨 달고.. 본봉돌을 좀더 깎아서 사용하시면 됩니다~ ㅎㅎ

하지만 조금더 알고 하신다면.. 스위벨 채비에 대한 응용도 쉽게 하실수가 있으리라 생각 됩니다~~ ^^*


스위벨에 관해서 많은 분들이 글을 남기셨고.. 좋은 글또한 너무너무 많이 있습니다..
좀더 궁금하신점은.. 검색을 해보시면 금방 아실듯 합니다.. (제가 글재주가 없어서.. ㅠㅠ)

물론 이 글도.. 저만의 개인적인 생각이니.. 참고만 하십시요~~ ^^*
추천 1

알렌 12-10-05 13:32 IP : 9676b940272dfbc
스위벨채비의 가장 큰 목적은 널리 쓰이는 이봉채비에 비하여 미끼흡입시 봉돌무게로 인한 이물감을 주지않아 조금더 낳은 찌올림도 보고 조과도 올리고.. 뭐 이런게 주된 이유라 생각되는데요

원봉돌과 스위벨의 무게와 비율을 따지기 위해선 외적인 요소를 배제하더라도 원줄의 종류,호수부터 시작하여 찌의 부력과 형태등을 먼저 생각해야지 않나.. 생각됩니다


당연한 얘기지만 스위벨이 작을수록 예민해지는건 사실이니까요

저부력찌 사용시에는 작은 스위벨을 사용하기가 쉽지만, 고부력찌를 쓰는경우는 작은 스위벨을 쓰기 쉽지 않습니다

찌맞춤이 매우 어렵기 때문이지요 그렇다보니 원봉돌과 스위벨의 개략적인 비율을 이야기하게 되는거구요 8:2니 7:3이니는 위에말한대로 원줄과 찌에따라 달라지는게 맞다고 생각합니다

또한 스위벨이 무조건 작다고 해서 유리하지는 않지요.. 스위벨의 안정적인 안착을 확보해줘야 하니까요 ㅎ


최대한 작은 스위벨을 쓰기위하는 과정에서 생기는 스위벨의 정확한 안착과 목줄의 휨등으로 인한 사각지대에 대해 적어본것인데..

이야기는 조금 다른방향으로 전개되고 있는듯합니다 ㅎㅎ


찌의 몸통까지를 원봉돌로 커버하고 찌탑의 입수를 스위벨의 무게로 커버하는것은 대략적으론 맞는말이지 싶습니다

하지만 조사님들이 쓰시는 찌와 원줄이 다를것이고.. 개인적으로 가지고 다니는 찌의 부력들도 다 다르기 때문에 찌탑의 입수를 커버하는 스위벨의 무게란 천차만별이 될수 밖에 없다고 생각합니다

누가 그러는데 5호봉돌의 찌에는 3호정도가 적당하다더라??
누가 그러는데 비율이 8:2가 적당하다더라??

다 맞는말이고 일리있는 말이지만, 무조건 따라하기보단 본인이 사용하는 원줄과 찌의 종류먼저 따져봐야하는게 맞지않나 싶습니다

또한 개인적으로 생각하는 스위벨의 무게란, 찌탑을 올려주는 무게가 아닌 붕애들의 이물감을 없애주는 무게를 따져야하는게 가장 중요한 부분이라 생각합니다.. 활성도가 좋고 물반 고기반의 상황이라면 굳이 스위벨을 쓸 이유도 없겠지요 ㅎㅎ

공부한다 생각하시고 이것저것 실험해가며 낚시를 하시면 도움이 되지 않겠나 싶어 몇자 끄적여봅니다 ㅎㅎ
추천 0

웁쓰 12-10-05 16:14 IP : 18f79a05daf048c
알렌님께 질문드립니다. 저는 이런 토론의장을 좋아라 합니다.
우선 태클성 댓글이 아니고 질문성 댓글이니 너무 기분나쁘게 받아들이지 않으시길 바랍니다.

-질문1-
2-1. 너무 정밀한 찌맞춤을 한 나머지 스위벨이 바닥에서 떠있다(바늘만 닿아있다)
: 일반적으로 부력조절시 - 맞춤을 하더라도 캐미꽂이 전부노출정도로 한뒤, 1~2목 내어놓은 상태가 되도록 바닥을 찾지 않습니까? 1~2목정도로 내어놓는것 만으로도 노출된 목수로 스위벨이 바닥에 닿아있지 싶습니다만....
바늘만 닿게된다면 1~2목을 내어놓고 낚시하는것이 아니라 찌맞춤시 맞춰놓은 부력으로 낚시하게 된다는것으로 생각됩니다.
군계일학에서도 유료터 정밀한찌맞춤시 "찌탑기준 정밀찌맞춤"으로 찌탑 1목나오게 맞춘후 소자O링의 추가로 케미꽂이가 수면에 딸깍! 잡히게 한뒤 1~2목내어놓고 하는데요...
즉! 부력조절후 찌탑 1~2목 내어놓은 상태에서 바닥에 스위벨이 떠있을 경우가 과연 발생될까? 입니다.

-질문2-
2-2. 스위벨의 안착만을 생각하다보니(좀 무겁게) 스위벨은 물론 원봉돌까지 바닥에 닿을 기세다.(제1목줄이 휘어져 있거나 바닥에 닿아있는 경우)
: 이런 경우 부력맞춤에서 부터 이미 찌가 수면아래로 내려가 있지 않을까? 합니다.

스위벨아랫 고리를 윗쪽 핀도래에 결착하여 바닦을 찾은후 스위벨을 다시 탈착하여 목줄길이만큼 찌목이 나오면 바닥에 제대로 안착된것이라는 말씀에는 전적으로 동감을 합니다.
저의 경우 부력을 맞춘후 바로 찌를 넉넉하게 올려줘서 반대로 내려주면서 1~2목을 맞춰주는 방식을 씁니다.
동일한 바닥찾기이지 싶습니다. 다만 저는 핀도래에 결착 및 탈착하는 과정이 생략된다는것 뿐이지요.
추천 1

부처핸섬 12-10-10 13:23 IP : 387181b7558dfdb
봉돌까지닿게한후깍으면서스위벨만닿게합니다귀찮아서^^;
요즘은대충해도맞더군요실습보다중요한건없겠지요
추천 0

선한사상가 12-10-19 21:49 IP : a810a2b159c4d35
안녕하세요. 알렌님.. 선한사상가라고 합니다. 좋은 글 보고 갑니다. ^^

올리신 글에 몇가지 오해를 살만한 부분이 있어 수정요청을 드리려다가 좋은 이야기를 올려주신 것도 감사한데 왠지 태클을 거는 것처럼 보이지 않을까 걱정되어 저의 우견(愚見)은 드리지 않으려고 합니다.

그리고 댓글로 말씀해 주신 스위벨의 크기 비율에 대한 고견은 저도 크게 동감하는 바이며, 채비를 자신의 것으로 변형 혹은 응용한다는 것은 같은 낚시인으로 참 고맙고 감사한 일이라 생각이 드네요.^^

좋은 글을 쓰시고 같은 생각을 가진 분의 이야기를 들으니 마음이 편안해지는 기분입니다.^^

더 좋은 글 부탁드리며, 질문이나 다른 견해를 올리신 분들도 아마 의견교환 차원에서의 말씀이라 생각이 드네요...


항상 건강하시고 안출하세요~ ^^
추천 0

장찌 12-10-26 18:23 IP : 2046c31f6d14476
지나가다가 잠깐 적습니다..스위벨또는 보조봉돌을 달고 바늘을 달고 하는 찌맞춤은 월님들을 너무 머리 아프게합니다..
제방법을 간단하게 말씀드립니다..보조봉돌.스위벨의 무게는 케미무게의 2~3배정도가 적당합니다.(3미리방울 0,17g정도).모든변수 감안함.
찌맞춤은 보조봉돌까지 장착하시고, (바늘채비만 제거된상태) 바닦수심 약 50센치위 지점에서 찌목,케미고무접착부위 까지 본동돌을
깍아서 맞추고, 바늘채비달고 찌를 올려서 찌톱을 꼭 두세목정도 노출시켜서 하시면 바닦에 확실히 안착되서 예민성,안정성, 좋습니다..ㅎ ㅎ
추천 0

맑은비 12-10-28 19:58 IP : a986b8a8502d816
카본줄 1.75호의 뒷줄침력은 어떻게 하시는지 궁금 합니다.
저또한 스위벨 분납채비를 즐겨 사용하는데요.
1차목줄의 휨현상까지 언급 하신다면 반듯이 발생되는 뒷줄의 침력을 어떻게 극복하시어 채비를 구사하시는지
한수 배우고 싶습니다.
ps: 뒷줄침력을 커버할만큼의 부력을 가진 찌를 사용해서 한다고 말씀 하신다면 그 부력만큼 스위벨도 커져야 할텐데
그리 하면 예민선도 조금 더 부족하지 않을까 하는 개인적인 생각 입니다.
연구하시고 노력하시는 님의 열정에 박수를 보냅니다. 안출 하시고 건강 하세요.
추천 0

sssss 12-11-08 20:06 IP : c19d63d6aa9af99
힘들네요 수능도 아니고 슬프다
추천 0

깜장본넷ㅡ구미 12-12-15 16:08 IP : 9c2f381c9aba106
어려워요ㅜㅜ
추천 0

건들지마 13-02-01 10:20 IP : a4ce49f543b86b1
봉돌과 스웨벨 비율 동감 하는 1인ㅋ
해결사 채비처럼 밑둥까지 올릴때까지 기둘려야 확실한 걸림되는 듯 싶구요
본봉돌이 무거우면 1목줄이 구부러 지겠죠 ?
추천 0

한끗 13-03-06 11:27 IP : cb6701da31e9246
좋은 글입니다.
님의 스위벨채비에서 노력한 흔적이 많이 보이고 내공도 상당하다고 봅니다.
혹시 초릿대에서 찌 까지의 카본줄이 누루는 힘으로 스위벨이 비스틈이 기울여
뜰 수가 있다고 생각은 들지 않는지요...
그래서 카본줄 사용 시에는 스위벨의 예민한 안착에는 수직입수가 절대적으로 필요하다고
생각되며 본인은 가급적 스위벨채비나 정통낚시채비에서는 2호줄의
모노필라멘트 줄을 사용하지요..
어짜피 예민한 입질을 추구한다면 좀더 생각을 집중해야 된다고보며
찌탑은 얇을수록 좋겠으며 목줄의 길이를 가감하여 예민도를 향상시키는
노력도 필요하다고 봅니다.
추천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