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좌(Tip)

· 테크닉, 미끼운용, 용품, 역사, 문화 등 낚시 장르에 구애 없이 낚시와 관련된 모든 실용적 강좌나 TIP이 해당됩니다.

· 기존제품의 개조 또는 자작용품의 경우 나의낚시장비를 이용해주시기 바랍니다.
· 본인이 저작권을 가지는 게시물만 게시하여 주십시오.
· 질답 게시판이 아니오니 질문은 월척지식을 이용하십시오.
· 동영상은 동영상게시판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남해어부님의 글에 대한 반대의견입니다.

낚시는과학이다 IP : 4f4aec49f673f19 날짜 : 2010-05-16 23:18 조회 : 8513 본문+댓글추천 : 0

반갑습니다 낚시는과학이다 입니다^^

댓글로 남길려다가 얘기가 길어질것 같아 이렇게 씁니다.

요즘 글을 자주 올리게 되네요.

월척은 애착이 가는 사이트라 자주 접속하지만 보통 댓글만 읽어보고 그냥 가는편이라서요^^

며칠전 새우와 징거미의 구분법에 대해 사진첨부하여 글을 올렸는데 여러님들에게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그리고 저는 언제나 낚시에 관한한 "논쟁"이 아닌 "논의"를 하였으면 합니다.

내가 절대적인 믿음을 갖고 있는 지식도 틀릴수 있다는 예외를 인정하고 상대방의 의견을 존중하였으면 하구요.

우선 남해어부님이 장문의 글을 올려주셨는데 제가 알고 있는 지식으로는 납득하기 힘들고

여러분들에게 혼란을 주는것 같아 이렇게 반대의견을 냅니다.

그리고 님의 글을 세번 읽어 보았는데 남의 글을 복사한것처럼 개인적인 생각이나 의견이 없어 보입니다.

제가 잘못본것이라면 죄송합니다.



남해어부님의 글 중에서

부력이 큰찌와 작은찌는 예민성의 차이가 없고

붕어가 들어올리는 봉돌의 무게는 부력의 크기에 관계없이 찌맞춤과 수심맞춤에 의해서만 결정된다?



저의 반대의견이며 옳은 댓글 남기신분도 몇몇 보이시더군요.

고부력찌와 저부력찌에 같은 찌맞춤을 했을 경우 예민성의 차이가 있습니다.

바로 표면적에 따른 물의 저항입니다.

예전에도 비슷한 질문이 올라와 댓글로 남긴적이 있는걸 기억합니다.

우리가 하고 있는 낚시는 물에서 이루어집니다.

같은 모양과 같은 소재로 만들어진 고부력찌와 저부력찌중 물속에서 표면적이 넓어 물의 저항을 많이 받는쪽은 당연히 고부력찌입니다.

찌의 솟음이나 내림에 있어 물의 저항을 많이 받다보니 고부력찌는 저부력찌에 비해 예민성이 떨어집니다.

그리고 붕어가 들어올리는 봉돌의 무게는 부력의 크기에 상관없이 찌맞춤과 수심맞춤에 의해서만 결정된다고 하셨는데 예를 들어 보겠습니다.

둘다 영점맞춤을 한 1푼의 봉돌을 가진찌와 10푼의 봉돌을 가진찌가 있습니다.

실감이 안나신다면 10푼의 봉돌을 가진찌를 100푼으로 바꿔서 생각하셔도 됩니다.

그냥 단순히 생각해도 찌가 자기부상력을 가지기전까지 봉돌을 드는데 어느쪽이 더 무겁습니까?

봉돌이 들려진 이후만을 생각할게 아니라 들리기전도 분명히 생각해야겠죠.

바닥에 놓인 봉돌은 붕어가 들어야하기에 답은 나온것 같습니다.

생각을 글로 옮긴다는게 얼마나 힘든것인지 다시 한번 느낍니다.

머리에서는 맴도는데 생각이 정리되지않아 썼다 지웠다를 반복하다보니 요고 몇줄 쓰는데도 시간이 꽤 걸렸네요.

좋은 댓글 기다리겠습니다^^
추천 3

1등! 엘비란 10-05-17 01:27 IP : 6a74ba2b50b74e0
저도 낚시 배우고 처음에 저 낚시 가르쳐준 동생한테 이런 질문을 했었습니다....

"아무리 큰봉돌이어도 찌가 그에 맞는 부력을 갖추고 있는데 저부력이랑 무슨차이가 있냐고"

동생왈 낚시는 과학이다님 말씀처럼 찌에 부력은 붕어가 봉돌을 들어올리고난후 2차적인 상승요인이되고 바닥에 가라앉아 있을때

붕어가 바닥에서 순간적으로 들어올리는 힘에는 분명 차이가 있을거라고... 동생은 40kg짜리를 혼자 들어보고 80kg짜리를 둘이

들어보면 순간적으로 힘이 뭐에 더들어갈거 같냐고 비유를 했는데 봉돌무게차이와 고기가 느끼는 순간적인 무게감에는 차이가 있을

거라 봅니다
추천 0

2등! 무늬만낚시꾼 10-05-17 01:54 IP : 41c1e7771c932fe
예민하게 맞추어 보면 깍는 량이 다르죠.

일반적인 수평맞춤을 한 저부력찌와 고부력찌를 예민하게 맞출 경우 깍아내는 량이 다릅니다.

즉 예민성의 차이가 없다면, 깍아내는 량도 같아야 되겠지요...

고로 저부력찌와 고부력찌의 예민성은다르다고 봅니다.
추천 0

3등! 빨간망토 10-05-17 13:31 IP : 5bd2c8e082ff359
낚시줄 대신 휘어지지 않는 철사를 사용한다면 차이가 없을수도 있겠지만...일반 낚시줄이라면 순간적인 무게감은 차이가 클 것 같네요...
추천 0

한번출조담배두갑 10-05-17 15:10 IP : a44f9f43f2dd039
줄다리기를 생각해봅니다.
1:1줄다리기에서 한명이 더 들어가서 어느 한쪽을땡기는거랑
1000:1000 줄다리기에서 한명이 더 들어가서 한쪽을 땡기는거랑...
그차이겠지요
추천 0

수초사이 10-05-18 01:03 IP : 7934b64f656522e
아는 지인은 별차이 없다면 전봇대에 맞는 봉돌 달고 찌올라 오길 기다려봐라고 하시더군여....ㅋㅋ
물론 전봇대는 부력이 없지만 .....
하여간 차이는 난다는 말씀이겠져...
추천 0

추파츄 10-05-18 08:23 IP : 9a94bb1f6ae12f7
저도 남해어부님의 글에 댓글을 달았습니다만,
바닥낚시는 일단 봉돌이 바닥에서 뜨야 찌에 반응이 나타나는 낚시입니다
즉 붕어가 미끼를 흡입하고 봉돌을 들어올려야 찌가 오르는 낚시인데
고부력과 저부력의 예민성에는 차이가 없다는 말에 좀 당황스럽더군요
10g의 봉돌과 100g의 봉돌을 들어올린다고 가정할때
100g의 봉돌을 붕어가 아무런 이물감이나 부담없이 들어올릴까 하는 의문이 드네요
남해어부님의 댓글에도 남겼지만 바다낚시에서도 마찬가지 입니다.
저부력과 고부력의 차이는 납니다
고부력일수록 찌의 부피가 크지는 것은 당연합니다
둘다 영점맞춤을 하였다고 해도
탁구공과 농구공을 생각해보면 답이 나옵니다
그래서 예민한 벵에돔 낚시에는 제로찌를 사용하거나
마이너스찌,잠수찌등을 사용하는 이유이기도 합니다
추천 0

슬램이글 10-05-18 10:21 IP : ab5ab36c7db9b5d
영점맞춤을 위해 1g의 봉돌을 필요로하는 찌와 10g의 봉돌을 필요로 하는 찌의 예민성은 분명히 차이가 있다고 생각하는 사람입니다. 찌표면적의 차이에서 오는 물의 저항은 차치하더라도 1g의 봉돌을 움직이기 위해 필요한 초기운동에너지는 10g의 봉돌을 움직이는데 필요한 운동에너지보다 적다고 생각됩니다. 아닌가요?
추천 0

robine 10-05-18 11:49 IP : e10ba5d6fdbbd15
과학이다님 ^^ 새우 글에서 뵙고 여기서 또 뵙네요..
출장 다녀와서 오랜만에 기분좋게 월척지 구경다니다가 우연히 글을 접하게 되었고, 남해어부님 글은 아직 읽어보지 않았지만, 제 생각은 조금 다르기에 제 소견을 올려봅니다.

일단 윗분들의 말씀에 우리가 예상치 못한 오류가 있다고 생각하는데요.
10g의 봉돌을 영점맞춤하는데 필요한 찌의 상승부력이 10이라는 힘이 필요할때,
100g의 봉돌의 영점맞춤에는 100이라는 힘이 필요하다고 가정하겠습니다. 또한 똑같은 몸통부피에 똑같은 모양이라는 가정하에...

그럼, 10g의봉돌에 9라는 상승부력을 가진 찌를 사용하여 가벼운 찌맞춤을 하였다면,
100g의 봉돌을 가벼운 찌맞춤할때 10g의 봉돌처럼 대략 90%의 부력을 가진 찌를 사용한다면 90이라는 상승부력을 가진 찌가 필요하겠죠? 그렇다면 이것은 윗분들 말씀처럼 절대 가벼운 찌맞춤이 아니고 또한 1차로 봉돌을 들어올리는 10이라는 힘에서 10g의 봉돌보다 9라는 힘이 더 마니 필요하게 됩니다.

하지만, 반대로 100g의 봉돌을 가벼운 찌맞춤을 하기 위해서 99라는 힘을 가진 찌를 사용한다면,
10g의 봉돌에 맞춰진 가벼운 찌맞춤이나, 100g의 봉돌에 맞춰진 가벼운 찌맞춤은 동일하다고 생각합니다.
슬램이글님 말씀처럼 초기 운동에너지가 동일하다는 것이죠..

물론 저또한 이렇게 조건만 같으면 들어올려지는 힘은 똑같다고 생각하지만, 표면장력도 존재하고 뻘바닥과 같은 곳에서의 장력도 존재하기에 이런 계산할 수 힘든 표면장력과 기타 여건은 배제하고 생각하겠습니다.
하지만,어느정도 찌맞춤되어 바닥에 있는 봉돌은 봉돌 자체무게만으로는 절대 누어있지는 않습니다.
어지간히 가벼운 또는 무거운 찌맞춤을 하여도 봉돌은 잘 눕지 않고, 가벼운 찌맞춤일 경우 봉돌은 거의 일자로 서있습니다.
무거운 찌맞춤일 경우 약간 사선으로 눕던지 많이 무거운 찌맞춤일 경우 45도 정도로 비스듬하게 서있습니다.
이는 이미 봉돌에 찌의 상승부력이 작용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봉돌에 99라는 상승력이 이미 작용하고 있으니 1이라는 힘만 있으면 들어올려진다는 겁니다.
10g의 봉돌을 들어올리기 위해 필요한 1이라는 힘과 동일하다는 것이죠...
억지지만, 한가리 예를 들면 전봇대라는 찌에 그에 맞는 아주 예민하고 가벼운 찌맞춤의 봉돌을 달았을때, 봉돌 달린 전봇대가 바닥으로 뚝 떨어질까요? (단지 풍덩하고 찌통에 넣는게 아니고, 물속에서 살포시 놓았을때의 얘깁니다.) 그리고, 그 봉돌이 바닥에 닿으면 바로 누어버릴까요? 전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물론 제 생각이고, 또한 틀릴수도 있겠지만,
10g의 봉돌이나 100g의 봉돌이나 가벼운 찌맞춤일지라도 똑같이 1이라는 힘만으로 바닥에 안착되어 있다면 똑같은 조건이라는 것이죠.

전봇대를 예로 들어주셨는데,,,
10g의 봉돌에 1이라는 힘만 주어질때 들어올려진다면, 똑같이 전봇대라는 찌에 똑같이 1이라는 힘만 있으면 들어올려지는 봉돌이 있다면 들어올리는 것은 똑같다고 생각합니다.

우리가 생각하는 오류는 10g의 봉돌에 1이라는 힘이 주어지게 되면 들려지도록 찌맞춤하기는 쉽지만, 일반적으로 전봇대의 예처럼 100g의 봉돌에 똑같이 1이라는 힘이 주어지면 들어올려지는 찌맞춤은 아주 맞추기가 어렵다는 것이죠...

단, 여기서 한가지 더 생각해야 할 점은 찌의 상승부력에 상응하는 부력속도보다 더 빠르게 올려지는 동작이 취해질 경우에는 봉돌의 무게를 느끼게 됩니다. 그리고, 당연히 10g의 봉돌보다 100g의 봉돌이 더 무겁게 느껴지고, 이는 붕어들의 취이에 이물감이 발생한다는 것이죠...

글을 적으면서도 저도 머리가 아파지네요~ ^^;;
제가 생각하지 못한 부분도 있을수 있고, 또 제가 틀릴 수도 있습니다.
또한 결코 댓글 올려주신 님들의 생각에 반대한는 것은 아닙니다. 다만, 우리가 생각하지 못했던 오류가 있다 생각하고 그 오류까지 감안하여 찌맞춤이 된다면 10g의 봉돌이나 100g의 봉돌이나 조건은 똑같다고 생각합니다.

두서없는 글 읽어주셔서 대단히 감사합니다.
추천 0

일투이어 10-05-18 14:53 IP : cfe1b68ca8c31e1
정말 어렵네요.
거의 물리학 수준인데요 ㅠ,ㅜ
대단들 하십니다
추천 0

아라리요 10-05-18 15:13 IP : 4ad8011fe6c4194
아우~~~!!즐기는 낚시에 머리가 뺑뺑~~
그냥 하던대로 하시면 올라옵니다
그대로 합시다
추천 0

무늬만낚시꾼 10-05-18 17:12 IP : 41c1e7771c932fe
줄다리기로 비유하신 것을 보면

1000명입니다. 이놈을 고부력으로 생각하면 1명 더 들어가나 빠지거나 아니 2 ~ 5명 빠지거나 더들어가도 별차이 없겠죠.

그런데 10명씩 줄다리기를 한다면, 1명은 굉장한 요소로 바뀝니다. 바로 요놈이 저부력으로 생각하면 될 거 같네요...
추천 0

무늬만낚시꾼 10-05-18 17:15 IP : 41c1e7771c932fe
전봇대에 부력이 없다... 젊으신 분인거 같네요.

전봇대도 부력 있습니다.

예전에는 나무로 전봇대를 만들었거든요.

그래서 전봇대... 이야기가 나온 거 같습니다.

실제 낚시책에도 전봇대 이야기가 나오기도 합니다.
추천 0

天云 10-05-18 17:22 IP : 462b7dd4f05f2e6
계산기갖다놓고 해도 어려워요..

""낚시는 붕어가 물어서 올려야 합니다""

이건 제 생각......^^
추천 0

robine 10-05-18 17:57 IP : e10ba5d6fdbbd15
^^;; 맞습니다. 아무리 공을 들여도 붕어가 물어야 올라옵니다.
괜시리 잘 알지도 못하면서 댓글 달아놓고보니 자꾸 신경이 쓰이네요..
항상 찌올림 한번 못보지만, 앞으론 이런거 저런거 생각안하고 즐거운 낚시만 해야겠습니다.
월척 님들도 오늘 하루 행복하게 마무리하세요~ 저도 이젠 퇴근 준비를...
추천 0

소인배 10-05-19 12:02 IP : 6be839aedc05a82
예민성의 정확한 뜻이 무엇인지 모르겠습니다.
이물감,찌맞춤의 정확한 뜻도 모르겠습니다.
알려주십시요..
이 의미들이 사람들 마다 달라보입니다....
추천 0

미지랑 10-05-19 16:53 IP : 476d3d5085e16bb
맞습니다

찌가 상승하는 속도보다 붕어가 봉돌 들어올리는 속도가 빠르다면

분명 고부력에 무거운 봉돌채비가 붕어에게는 더큰 무게로 작용합니다

고부력저부력 찌에 대한 예민성도 님께서 설명한것에 충분히 동의합니다
추천 0

x희x 10-05-20 10:21 IP : 6bcd3a06eeef07a
안녕하세요.. 예전에 저부력과 고부력찌에 관한 글을 읽고 댓글달려다가 저랑 비슷한 의견이신분들이 많은듯해서 그냥 넘어갔는데
저역시도 "저부력찌과 고부력찌의 차이는 있다"입니다.
말씀안하신 몇가지만 설명드릴까합니다.

10푼의 찌와 100푼의 찌를 동일하게 찌탑 두마디에 찌맞춤하였습니다.(물론 바늘은 제외입니다.순수봉돌의무게로만..)
각각 두마디에 찌맞춤한 찌를 다시 한마디로 찌맞춤하기위해 각각 쇠링을 추가할시에 추가되는 갯수는 같을까요??
다릅니다.
(같다고 생각하신다면.. 집에서 한번해보세요.. 저부력찌와 고부력찌 두개로 한번 해보시기 바랍니다. 다릅니다.)

반대로 생각해보면 두찌를 찌탑한마디에서 다시 두마디를 맞출때 제거해야하는 쇠링의 갯수도 다릅니다.
제거되는 쇠링의 양이 100푼의 찌가 더 많겠죠..
제거되는 쇠링의 양을 붕어가 드는 힘이라고 생각하신다면 쉬울듯합니다.
만약 10푼의 찌를 한마디 올릴때 드는 힘을 100푼의 찌는 그것보다 대략 10배의 힘이 필요하겠죠.

제가 생각하는 두번이유는...
수평적인 무게로 생각해야할듯합니다.
찌의 부력과 봉돌의 침력이 수직적으론 0이 되었다고는 하나 수평적으로 0이 되진않습니다.

약간의 유속이 있는곳에서 저부력찌와 고부력찌.. 동일한 찌맞춤을 하고 낚시를 해보신분이라면 아실겁니다.
같은 찌맞춤이시만 저부력찌보다 고부력찌가 안정성이 좋습니다.
즉 수평적인 무게감이 존재하기때문에 유속에 버틸수가 있는것이죠.

붕어가 미끼를 흡입하고 고개를 들때.. 단순히 수직적인 힘만 드는것이 아니라 약간 사선이 지게 고개를 들게되면 봉돌이 당겨지면서 수평적인 힘도 같이 들게됩니다. 이때느껴지는 이물감은 저부력찌보다는 고부력찌가 클꺼란 생각입니다.

결론을 말씀드리자면...
저부력찌와 고부력찌의 차이는 확실히 있습니다. (제 의견입니다^^)

필요에 따라서 나눠쓰는것이 아무래도 조금이라도 유리할꺼란 생각입니다^^
추천 0

노랑붕어 10-05-20 17:26 IP : a31dc076dbde3f9
robine님의 말씀에 공감하는 부분도 있습닏만,
찌맞춤을 할때..저부력, 고부력찌를 동일하게 1g의 힘으로 들어올리수 있게 맞췄다면
서로 차이가 없습니다.

다만, 붕어의 입질시 수직으로 실험실에서 들어올리는것처럼 입질을 하지 않고
사선이나 옆으로 끄는 일질에서.. 찌가 상승을 하게 됩니다.
이때는 분명히 고부력찌보다 저부력찌가 봉돌이 작기 때문에(부력, 마찰력, 뭉의 저항등)
유리하다고 봅니다.

실험실 수조에서 실험하는것과 저수지 바닥(온갓 장애물이 있을수 있습니다)에서 일어나는
현상은 분명히 다르다고 봅니다.

이상은 제 짧은 소견이고,,절대 토달자고 쓴글이 아님을 ..^^
추천 0

소인배 10-05-20 17:27 IP : 6be839aedc05a82
물속에 있던, 물밖에 있던 무거운 물체쪽이 움직이는데 힘이 더 듭니다.
부력이 큰 찌는 부력이 작은 찌보다 무겁습니다...
무조건 힘이 더 듭니다.....f=ma 이 공식 하나면 다 설명됩니다.하지만

여기에 계신 분들은 다 찌만 보시지만....
찌만으로는 아무것도 설명이 되지 않습니다...
채비 전체의 무게와 부피를 따져야만 비로소 예민성을 논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일반 노지에서 야생붕어를 잡는데...
글쎄요....이 붕어의 빨아 들이는 주둥이의 힘을 어느정도로 놓고 생각하시는 지요...
이물감은 봉돌의 크기보다는 바늘의 크기와 무게,목줄의 길이와 성질..그리고 미끼의 성질에 90%이상 달려 있을것입니다.
찌오름은 찌톱의 굵기가 결정할 것입니다.
남해어부님의 글은 설명과정에 억지스러운 면이 많으나 전반적으로는 옳은 얘기라 생각합니다.
찌의 마춤에 의해 예민성의 대부분이 결정된다는 논리....가 정답이라 생각합니다.
추천 0

나이스초이 10-05-26 12:47 IP : 31dbc5b13737ddd
어휴 어렵다
나는 읽는데만도 어려운데 어찌 이런 이론을 펼치시나
어마나 낚시를 혀야 윗분들의 실력이 될까
그래서 맨날 꽝인가?
추천 0

의왕독학조사 10-05-31 00:25 IP : ecd62d69965de76
장찌를 사용해 보시면 위의 의견이 조금은 차이가 있는것을 알수 있습니다.
저의 경우 찌탑 한다리의 입수 시간이 30분 정도 될때까지 마추고 낚시를 합니다.
엄청 예민하죠... 고부력찌의 경우 저부력찌처럼 예민하게 만드는게쉽지가 않습니다.
더~ 예민하게 마추기 위해.. 손톱은물론 사포 천,2천 3천 메쉬까지 사용하며 찌맘춤을 하여...
고기가 최대한 이물감을 못느끼게 합니다.
찌탑만 160짜리를 몸통찍고 8분을 둥둥 떠있게 한적도 있는데... 진정한 고수분들 께서는 20분까지 버티는거 본적이 있습니다.
추천 0

태사랑 10-06-02 13:38 IP : 869e8250c1a9081
헉~ 의왕 독학 조사님 조과는 ~~~~~^*^ ?
추천 0

의왕독학조사 10-06-04 19:28 IP : ecd62d69965de76
양어장 같은경우 내림만큼은 아니더라두 저부력찌 사용하시는 분보단 조과는 원등합니다.
장찌 까대기 낚시하면 조과는 월등하죠~~
제찌가 15푼 먹는데... 관리형 저수지 가서 까대기 하면 봉재지,대동지,신수지 그날 오신분들중에 항상 손가락안엔 들어가요
추천 0

단찌사랑 10-07-21 17:40 IP : e65793cd5437af1
똑같은 조건하에서
10g 봉돌과 100g 봉돌의 부력을 가지는 찌가 있다고 할 시 두개의 찌가 아무런 차이가 없다함은 결국 봉돌이 떠있고 바늘이 바닥에 닿아 있다면 가능합니다.
다만 일반적인 찌맞춤은 봉돌이 바닥에 닿아있는 상태이기에 10g봉돌을 드는 붕어가 이물감을 덜 느끼게 되겠지요.
다만 봉돌을 두개다 들어올린뒤라면 별 차이는 없습니다.
한마디로 힘쎈 붕어만나면 둘다 상관없다는거지요^^;;;
추천 0

song3616 10-08-21 13:52 IP : 6a3ec0ddbcd4843
"10g의 봉돌에 1이라는 힘이 주어지게 되면 들려지도록 찌맞춤하기는 쉽지만, 일반적으로 전봇대의 예처럼 100g의 봉돌에 똑같이 1이라는 힘이 주어지면 들어올려지는 찌맞춤은 아주 맞추기가 어렵다는 것이죠"
극단적인 예는 아니것 같습니다.
1호~10호 사이의 영점 맞춤은 모기 눈물만큼의 차이라 생각합니다.
부력은 부피의 제곱에 비례한다는 것도 몇가지 찌를 비교해보면(찌몸통,길이) 극단적인 차이를 논외로 하고 자기가 가지고 있는 찌는 대체로 비슷한 형태의 찌를 몇가지 호수로 세팅하기에 그것도 모기눈물만의 차이라 생각합니다.
케미가 잡고있는 표면장력과 찌탑을 내놓고 하는 경우 분명 차이는 바닥까지 줄길이와 입질의 사각지대, 몇가지 변수도 있지도 대체적으로 그것도 모기눈물만의 차이라 생각합니다.
따라서 영점을 가볍게 하던 표준으로 하던 무겁게 하던 수심체크 후 케미가 표면에 있던 살짝 위에 있던 살짝 잠기던
그것도 모기 눈물만큼의 차이이니 미끼선택에 따른 찌 반응의 차이라 봅니다.
물고기 있는데 미끼던지면 됩니다.
추천 0

대구리만 11-01-08 12:34 IP : daea312c9580ebf
song3616님과 같은 생각입니다.^^ ㅎㅎㅎ....
추천 0

몽미 11-04-17 20:50 IP : ad4ab6d2a5229b0
*희*님 말씀에 공감합니다.
추천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