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좌(Tip)

· 테크닉, 미끼운용, 용품, 역사, 문화 등 낚시 장르에 구애 없이 낚시와 관련된 모든 실용적 강좌나 TIP이 해당됩니다.

· 기존제품의 개조 또는 자작용품의 경우 나의낚시장비를 이용해주시기 바랍니다.
· 본인이 저작권을 가지는 게시물만 게시하여 주십시오.
· 질답 게시판이 아니오니 질문은 월척지식을 이용하십시오.
· 동영상은 동영상게시판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찌톱을 얼마큼 내놓고 낚시하면 좋을까?

독닙꾼 IP : 6996c5f970165c0 날짜 : 2010-06-01 20:50 조회 : 28774 본문+댓글추천 : 0

_lecture08540490.jpg


오늘 필발 받는 김에...
내일은 투표해야 하고 모레부터는 파워부양탄 3차 생산에 들어가야 하므로....
시간이 허락한 오늘...표면장력을 이야기 하려고 이런 제목을 달았습니다.

이 글은 약간의 피곤을 동반합니다.
뭐...계산이 들어간다는 말이져.
그렇다고 어려운 수학은 아니고 중학교 1학년 수준입니다.

왜 그렇게 피곤하게 낚시하냐?..라고 반문하지 마시고
기냥 재미로 보아주시기 바랍니다.


사실 저와 낚시해 보신 분은 아시겠지만
아마 제가 전세계 젤 날라리 낚시꾼일 겁니다.

우선 제 낚시줄은 심지어 8조각을 이어 묶어 쓰는 게 있으며...(--; 유동찌 불가 고정찌로만 씁니다)
바늘은 미늘이 아예 닳았으며
찌는 주먹만한 봉돌에 찌톱은 다 지워졌고
낚시대는 반카본은 물론 글라스대를 쓰고 있으니까요.
(너무 불쌍해서 낚시줄이며 낚시대 찌같은 거 마구 마구 보내주셔도 절대 사양 안함돠 ~~~ (*^,.^*)


본론으로 들어가서,
종종 찌맞춤에서


1.케미 끝을 맞춘다.
2.케미고무 하단에 맞춰라.
3.케미 빼고 수평맞춤해라...등등


답하는 사람마다 모두 다릅니다.
당연히 달라야 합니다.


그것은 자기가 잡아본 찌맞춤을 기준으로 설명하기 때문입니다.


그럼 어떤 차이가 있을까요?
이건 이론적이므로 실제 붕어가 물어주는 힘은 동일하다는 가정하에 시작됩니다.
물론 원줄 및 모든 채비도 논외로 합니다.


-16_lecture08512730.jpg


그림에서 A의 상태로 케미 끝 수평 찌맞춤을 하였습니다.


김씨는 (가)의 상태로 낚시를 하고
박씨는 (나)의 상태로 낚시를 합니다.


어느 찌가 더 예민(??)할까요?


우선 동일하게 A의 상태로 찌맞춤한 채비를
(가)로 사용할 경우와 (나)로 사용할 경우 분명히 (나)상태가
봉돌은 깎지 않았지만 더 무겁게 맞추어졌다고 생각하실 겁니다.


그 이유로는 찌톱이 수면위로 올라왔으니 그만큼 무게가 눌른다고...
맞습니다. 틀린 말은 아닙니다.


그런데...
사실 (나)가 더 무거운 건 맞는데..
수면 위로 올라온 찌톱과 케미 무게 때문이기도 하지만
(케미 하나의 무게는 심지어 8마디도 좌우하므로)
더 중요한 건 케미와 돌출된 찌톱의 길이(a) 만큼이 물 속에 있었다면
동시에 부력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생각해야 합니다.


아래글에서도 말씀드린 대로
순수 부력은 부피와 관련이 있어서 부력은 부피의 재곱에 비례를 합니다.


이 말은 수면 위로 올라온 찌톱과 케미의 무게에
물 속에 있었다면 가져야 할 부력(물 속 부력 - 물 속 무게)을 잃은 값을 합한 것 만큼입니다.
<---기억 안하셔도 됩니다. <br/>

그러니까 상당히 무거운 거려니...생각하시게 됩니다만,


(가)의 경우
수면 밖으로 나온 케미 절반의 무게에 물 속에서 그 절반이 가져야할 물 속 부력을 합한 값 만큼 밖에
부력 상실이 없으니 조금 더 가벼운 건 맞지요.


그런데 똑같은 힘으로 붕어가 들어주었다면 찌 상승 속도는 어떨까요?
당연히 더 가벼운 (가)가 먼저올라올까요?


여기서 이제 골치아픈 수학 아니 산수 하나 하겠습니다.


(가)의 경우


3mm 케미의 절반이 물에 잠겼습니다.
그 표면적을 계산해 보겠습니다.

면적=반지름 x 반지름 x 3,14 까
1.5 x 1.5 x 3.14 = 7.065


(나)의 경우

찌톱이 수면과 닿아있으므로
0.5mm 찌톱이니까

0.25 x 0.25 x 3.14 = 0.19625


물표면이 잡고 있는 (가)와 (나)의 단면적 비율을 계산하면


7.065 나누기 0.19625 = 36


그렇습니다.

무려 케미를 반만 잡그고 낚시 할 경우와
찌톱을 내놓고 할 경우 물 표면이 잡는 힘은 36배가 케미를 반만 잠근 쪽이 큽니다.


이것은 그만큼 찌 상승을 방해하는 요소이며
반대로 수심측정을 잘못했을 경우 바닥에 봉돌이 닿지 않아도
케미의 물표면 장력이 봉돌을 들고 있는 상태가 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특히 케미 끝만 보일랄 말락 맞추는 경우에 많음)


그렇다고 저 수치에 놀라실 필요는 없습니다.
봉돌의 무게에 따라 수면 밖으로 내놓은 케미와 찌톱이 물 밖에서 잃어버린 부력의 비율이
달라지므로 꼭 (나)의 경우가 더 예민하다고 말할 수는 없습니다.


그러나 양쪽 다 찌맞춤을
찌톱 한마디 나오도록 맞추어 봉돌이 바닥에 겨우 달락말락 한 상태로 맞추었다면
이야기가 달라집니다.


두 경우 모두 예민하게 맞춘 것이므로
이런 경우 입질을 받았을 때 (가)의 경우 물표면이 잡는 힘 때문에
(나)의 경우보다 찌올림에 장애가 되는 것은 사실입니다.


동일한 찌맞춤일 때 예민성이란
가볍게 맞추어진 찌가 아니고
찌톱의 굵기가 더 좌우를 하게 됩니다.


얼핏
자중대비 순부력이 높은 찌가 예민할 것이다...내지는
자중대비 순부력이 높은 찌가 떠 빨리 올라올 것이다..라고 생각하기 쉽지만
그것은 초기가속도의 문제지 실제로
고속카메라로 촬영을 하면 동일한 형태에 동일한 부피를 가진 찌라면


즉, 하나는 오동나무 5호 봉돌
하나는 해바라기속대로 10호봉돌이 먹힌다 하면


동시에 부력작용을 하면
자중대비순부력이 낮은 오동나무 찌가 1/1000 정도 빨리 올라옵니다.


그 이유는
형태와 부피가 같기 때문에 상승속도는 같은데
자중에 비해 먹히는 봉돌의 크기가
자중대비 순부력이 높은 해바라기 속대 찌의 봉돌이 더 크기 때문에
그만큼의 부피증가로 상승저항을 받게 되기 때문입니다.


***
추천 11

1등! 어부심전초 10-06-01 23:06 IP : 71c0c9177aa6212
고등수학 하게 만드셨네요...결론은 버킹검이고요.당연한걸 어렵게 푸셨네요.즐낚하세요
.
추천 0

2등! 입수편차4m 10-06-02 10:14 IP : 9bb9eda4edaab12
많이 배우고 갑니다
감사합니다
추천 0

3등! 찌불야성 10-06-02 11:23 IP : 737305fbb82f2b0
참 어렵군요
쉽게 보면 A의 찌맞춤은 무거운 찌맞춤이 되는군요 바늘을 달지않은 상태이므로....떡밥낚시로 볼때입니다
바늘까지달면 아주 서서히 잠기다고 가정하면 (가)의 경우로 낚시를해도 표면장력은 무시할 수준입니다
표면장력보다 부력의 힘이 더 강하리라 봅니다
만약 A의 찌맞춤에서 케미하단이나 케미고무만 잠기도록 했다면 (가)의 경우로 낚시를 한다면 바닥을 읽지 못할수 있습니다
이경우에는 (나)의경우처럼 한마디 내어놓고 낚시를 해야 바닥상황이 그대로 전달되기 때문이죠
바닥을 읽는다는것은 가벼운 찌맞춤시 처음 포인트의 떡밥무게등의 사선입수등으로 수심깊은 곳에 안착된다면 봉돌이 바닥에
닿지 않을수 있기 때문입니다 찌맞춤시와 동일하게 수면에 노출되겠죠 이경우 십중팔구 봉돌이 바닥에 닿지않아 빨리는
입질이나 찌놀림이 방정맞을수 있습니다 간혹 낚시터에서 보면 가벼운 찌맞춤을 하시고 케미가 수면일치나 반쯤 잠기게
하고 낚시하는 조사님들을 간혹 보게 되는데 오류를 범하는 하나의 예라고 볼수 있다고 봅니다
적어도 케미고무 하단밑까지는 내어놓아야 그것이 진짜 수심이겠죠 만약 한마디 내어놓고 낚시하다가 조금 벗어난 곳에
투척시 찌맞춤할때와 같은 높이로 찌가 선다면 그곳의 수심은 십중팔구 포인트 보다 수심이 깊다고 봐야죠

결론 A와같이 무거운 찌맞춤시 (가)와같이 낚시하셔도 표면장력의 영향은 미비해보입니다
하지만 케미전부노출이나 찌고무만 살짝 잠기는 가벼은 찌맞춤을 하였을시에는 표면장력이 많이 작용하여 찌올림이 좋지
않습니다 가벼운 찌맞춤을 하실경우는 적어도 찌고무 아래 반마디라도 내놓고 하셔야 입질시 찌놀림이 바로 표현됩니다
머리가 복잡하네요 글로 설명하기가 영 힘드네요 독립꾼님의 설명은 가히 논문수준입니다
대단하십니다 경험상으로 쉽게 찌맞춤에 따른 표면장력을 얘기해봅니다 설명이 부족해서 죄송합니다....
추천 0

다큐멘터리 10-06-02 11:36 IP : 41b61d9d0b84293
맨위 사진과 밑에 두줄의 말씀은 빼주셨으면 합니다.
왠지 저사진 한장과 두줄의 말씀때문에 돌찌와 부양탄 간접 홍보 하시고 시작 하시는듯 보이네요.
정보 보니 개발자라고 씌여 있군요.
추천 0

노랑붕어 10-06-02 12:22 IP : a31dc076dbde3f9
대단하십니다.
독랍꾼님... 좋은글 잘 읽고 갑니다.
눈이 빠질락케서 좀 그렇지만,,,ㅎㅎ

맞는 말씀입니다.
추천 0

大物名家 10-06-02 20:27 IP : ad39f75915898ae
많은 지식 잘 보고 배워갑니다..
추천 0

소인배 10-06-03 01:25 IP : ee02f7de3f7b08f
생뚱맞을지 모르지만 이론적으로....
하나는 오동나무 5호 봉돌
하나는 해바라기속대로 5호 봉돌이 먹힌다면
해바라기속대로 만든 찌가 부피가 훨씬 작아지므로 물의 저항을 작게 받습니다..그래서..
순부력이 높은 찌가 예민해 집니다....
봉돌의 부피가 커지는 양보다 찌몸통의 부피가 작아지는 양이 훨씬 큽니다...
각각의 기법에 적당한 순부력이 다르겠지만, 기본적으로 순부력은 예민한 찌의 생명입니다....
추천 0

소인배 10-06-03 01:57 IP : ee02f7de3f7b08f
붕어의 활성도가 좋을 때야 무슨 상관이 있겠습니까만...
오늘처럼 저수지의 배수가 시작되었든지...수온이 떨어지든지..등의 이유로
붕어의 활성도가 떨어진다면....저는
3칸대를 예로 들면 4푼정도,,제가 던질 수 있는 최소한의 봉돌을 단 채비를 선택하게 될것입니다...
감자님의 말씀처럼 작은 봉돌이 움직이기 쉽기 때문입니다..
찌의 부피는 고려의 대상이 아닙니다....제가 편하게 케스팅 할 수 있는 채비인가 적당한 무게의 봉돌인가가
우선 고려의 대상일것입니다.. 봉돌의 무게가 기준이 되어야 합니다...
같은 크기의 봉돌이라면 그 다음은 부피가 작은 찌를 선택하는 것이 예민성의 고려 대상일것입니다...
같은 부피의 찌들 중에서 순부력이 큰 찌는 봉돌이 커지니까 물의 저항은 더 받는다는 논리는...
틀린 말씀은 아니지만...순부력에 대한 논의에서 약간 이탈된 듯합니다..
글을 쓰다보니...
온동네 안티만하고 다니는 꼴이 된 듯하여 기분이 좋지 않습니다...이해해 주십시요..
추천 0

독닙꾼 10-06-03 08:18 IP : 6996c5f970165c0
소인배님..


본문 중에
"동일한 형태에 동일한 부피를 가진 찌라면" 라는 단서가 있습니다.


***
추천 0

독닙꾼 10-06-03 08:37 IP : 6996c5f970165c0
봉돌의 크기에 따라서 찌맞춤만 정확히 한다면 모두 똑같을까?...라는 논의가 얼마전에도 있었습니다.
저 역시 작은 봉돌이 당연히 운동성을 갖기 쉽다고 생각하는 사람입니다.


100키로 몸무게의 거구가 탄 그네와
50키고 왜소한 체구의 사람이 탄 그네가 동시에 서 있을 때
그것을 움직이게 만드는 힘은 분명히 다릅니다.



찌맞춤의 경우도
고부력찌와 저부력찌의 경우 봉돌의 크기가 다르므로
이론적으로는 최소한의 무게만 감해주면 찌가 상승하는 것이 맞지만
모든 정지한 것은 정지하려고 하고 움직이는 것은 움직이려고 하는 뉴턴의 제2법칙을 적용한다면
정지된 것을 움직이게 하는 최소한의 힘에는 차이가 있을 것입니다.



여기에는 찌 전체가 갖는 인장력 등도 고려가 되겠지요.



그러나 극저부력 찌에서 나타나는 초기반발력에 의한 찌오름은
사실 운동성 법칙에 관한 것이지 부력의 법칙에 관한 것은 아닙니다.
좁살봉돌 하나의 무게를 감당하는 찌가
붕어가 몸짓이나 입질에 의해 확 솟아오르거나 깜박 봉돌이동하는 것을
부력의 법칙으로 설명하는 것은 무리입니다.



그것은 힘의 크기에 관한 문제입니다.
붕어의 입심이 아주 작은 좁쌀봉돌 하나 무게를 감당하기에
충분하므로 나타나는 현상이지요.
그것은 찌없이도 이동 가능한 무게인데
극저부력 순부력 높은 찌가 찌오름이 빠르고 좋은 것처럼 오해되는 일은
없어야 할 듯 합니다.



힘에 의한 찌오름의 속도는
봉돌의 크기 찌톱의 굵기, 찌몸통의 형태, 찌부피의 크기, 찌맞춤 등에 의해
좌우되는 것이지 찌의 소재에 따라서 달라지는 것은 아니기 때문입니다.


***
추천 0

소인배 10-06-03 12:58 IP : 6be839aedc05a82
예민성을 논하는데 극저부력찌까지 갈 필요가 있을까요?
독립꾼님의 의견은 옳지만 핵심은 피해가고 있습니다....
님의 말씀대로 부력을 논하는 자리입니다....
같은 힘,즉 같은 부력을 가진 찌들이 서로 다른 운동성을 보인다면
비교해 보고 원인을 알아보는 것이 옳겠지요..
같은 <부피>가 아닌 같은 <부력>을 가진 찌를 비교해 보아야 합니다...
그럼 같은 부력은 어떻게 판단합니까?
간단히 같은 크기의 봉돌로 중성부력이 되면 같은 부력을 가진것입니다...
그것이 고부력이던 저부력이던 초저부력이던 무슨 관계가 있습니까?
같은 봉돌을 갖는 찌 즉, 같은 부력을 갖는 찌중 순부력이 좋은 찌가
부피가 작습니다..
물의 저항을 적게 받겠죠....
저는 이런 변수들이 낚시에 큰 영향을 끼친다고는 생각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이미 논의에 발을 담궜고 이론적인 고찰을 하고 있으므로
논의의 본질적인 면에서는 벗어나지 않았으면 합니다.
님의 비교는 저부력찌가 더 빨리 움직인다는 결론 외에는 의미가 없습니다.
추천 0

소인배 10-06-03 13:06 IP : 6be839aedc05a82
찌의 예민성은 고부력찌보다는 저부력찌가 조금 낫고,
저부력찌 중에서도 순부력이 좋은 찌가 조금 더 낫다...
이정도의 결론이 나옵니다..
님의 비교는 상대적으로 고부력이지만 순부력이 좋은 찌와
상대적으로 저부력이지만 순부력이 떨어지는 찌를 비교 하셨습니다.
예민성을 논하기에 그 기준의 일관성이 없으므로 무의미하다 생각합니다...
추천 0

소인배 10-06-03 14:09 IP : 6be839aedc05a82
일을 하며 댓글을 달다보니 글이 자꾸 끊어져서 죄송합니다..
같은 부피를 가지는 찌를 비교하는 것이 얼핏 보기에는 타당해 보이나
찌는 봉돌과 함께 생각해야합니다..찌의 부피는 같으나
두채비의 부피는 다릅니다... 봉돌의 부피가 다르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두 채비는 실상은 부피가 다른 채비가 되어 비교자체가 않되는 것입니다...
추천 0

독닙꾼 10-06-03 15:07 IP : 6996c5f970165c0
본문에...


--------------

이건 이론적이므로 실제 붕어가 물어주는 힘은 동일하다는 가정하에 시작됩니다.
물론 원줄 및 모든 채비도 논외로 합니다.

--------------

이렇게 전제를 달아놓았음을 상기하셨으면 합니다.
어떤 하나의 가설을 세우기 위한 이론이란
개연성(채비 및 수온, 수압 기타 여건 등)을 배제함이 과학의 기본일 겁니다.
동일한 조건일 때라는 전제가 깔려 있는 것이지요.
추천 0

독닙꾼 10-06-03 15:11 IP : 6996c5f970165c0
이해가 잘 안되신다면
위 본문의 그림처럼
원줄이나 다른 장치 제거하고 순전히 비중은 다르지만 동일한 부피의 찌에
봉돌을 찌다리끝에 직접 달았다는 것으로 이해하시면 될 듯합니다.



동일하게 0점을 맞추면
순부력 높은찌가 큰 봉돌을 먹게 되고 그로 인하여 상승속도에는
구분할 수 없을 만큼(1/1000~1/10,000 정도라고 합니다.) 이론적으로는 느리다는 말씀입니다.



당연히 부피에 따라 달라짐을 강조하는 것인데
이것이 오류가 있나요?
추천 0

소인배 10-06-04 02:37 IP : ee02f7de3f7b08f
저녁먹고 낚시다녀오느라 답글이 늦습니다..
님의 제시하신 예제대로 찌다리에 봉돌을 직접 달아 봅시다..
이제 봉돌이 찌의 일부분이 되었습니다..
좀 더 모델을 심플하게 하기 위해 굵기가 같은 빨대 2개를 상상해 봅시다.
빨대 윗부분은 찌몸통이고 아랫부분은 봉돌이어서 0점을 맞추고 있다 가정합니다..
이렇게 하는 이유는 부피를 동일하게 가정하기 위함입니다..

이 모델의 체적이 같다면, 예를 들어 5cm3 이라면 몸통의 부피가 얼마건 봉돌의 부피가 얼마건간에
총질량은 5g일것입니다..
하지만 님의 모델은 순부력이 좋은 찌가 달린 쪽의 체적이 더 큽니다..
그러므로 체적이 동일하다는 가정에 모순이 됩니다...
순부력이 좋아서 둔해진다는 듯한 결론은 잘못 된것입니다...
순부력은 나쁘지만 저부력이어서 더 빨리 움직이는 것입니다..

단면이 1제곱센티인 빨대가 있습니다..
윗부분(찌몸통)이 밀도가 0.5이고 무게가 2g이라면 길이4cm즉, 4cm3의 체적을 갖는 찌몸통이 될것이고
이를 0점맞춤하기위해 밀도3인 물질을 아래부분에 붙인다면 1cm3이고 질량이 3g이 될것입니다.
전체길이 5cm이고 전체 체적은 5cm3이 되겠죠.
님의 예시처럼 몸통부분만이 체적이 동일한 모델을 순부력이 더 좋은 밀도0.25인 물질로 만든다면
이를 0점맞춤을 위해서는 밀도 3인 물질로 4.5g 1.5cm3이 되어 전체체적은 5.5cm3인
체적이 다른 모델이 됩니다.....물의 저항을 무시하더라도 무게가 더 나가므로 천천히 움직이게 됩니다...
(계산의 편의를 위해 봉돌의 밀도를 3이라 가정하고 고정하였습니다.)

만일 부피가 같다면 이 빨대모델의 윗부분을 아무리 순부력이 좋은 물질로 채워도 전체질량은 같기때문에
속도의 차이가 나지 않습니다.......

그러므로 찌몸통부분의 부피만 같고 무게(순부력)가 다른 비교는 무의미하고,
전체부피가 같은 경우의 비교도 역시 무의미합니다....

간단히 f=ma 에서 질량이 작으면 즉 채비전체의 질량이 작으면
같은 힘이 작용할때 빠르게 움직입니다...
저부력찌가 예민한 이유입니다...

총질양이 같으면 총부피는 같기 때문에 순부력이 좋고 나쁘고는 부차적인 문제가 됩니다...
하지만 물속에서 운동을 하니 물의 저항이 다음의 변수가 됩니다..

찌의 재료는 다양하지만 봉돌의 재료는 현재로는 납이 압도적입니다..
봉돌을 백금처럼 비중이 더 큰 물질로 만들면 봉돌의 크기가 작아지고 물의 저항을 덜 받게 될것입니다.
봉돌이 상수가 되었고 변수는 몸통 무게가 될것입니다...같은 부피에 무게가 덜 나가는 재료..
즉 순부력이 중요해집니다..
이해가 않되십니까?
추천 0

독닙꾼 10-06-04 09:23 IP : 6996c5f970165c0
소인배님께서는 전공도 물리학이라 본 것 같습니다.
실전에 적용 가능한 훌륭한 이론을 정립하셔서 연재를 해 주신다면
많은 분들께 도움이 될 듯 합니다.


***
추천 0

진짜늑대 10-06-08 20:49 IP : c335257444e69c7
가까이 하기엔 너무나 먼 상식..ㅋㅋ
추천 0

동고동낚 10-06-16 21:49 IP : 241117edc7257b5
케미를 반만 나오게 맞추면 부피가 크기때문에 표면장력이 더욱 많이 작용하기 때문에 둔한 채비가 되는 것도 이유가 될것입니다!
뭐 대물이 입질을 한다면 표면장력이야 상쇄가 되겠지만요!! 암튼 찌톱은 가는것이 더욱 예민하다고 생각합니다!
추천 0

돌태공태공 10-08-08 14:03 IP : ea3a465b97ed931
f=ma ㅋㅋㅋ 저지금 학교 에서 배우고있 중요한 공식 인디..ㅋㅋ
추천 0

하얀송이 10-09-20 22:52 IP : 06143ce43abd223
엄청난 초내공의 경지가 느껴집니다....

역시 월척의 바다는 깊고 심오합니다....

좋은내용 감사합니다....^^
추천 0

베로니카 10-10-04 16:02 IP : 811a88e7935dee5
좋은글잘읽고 갑니다
추천 0

마실가기 10-11-08 16:19 IP : c7761077ceefed7
잘 배웠읍니다.
추천 0

민정아범 11-02-07 20:56 IP : 3ac6f5cadfffbdb
초짜입장에서 말씀드립니다.
물론 위의 모든 분들의 말씀...조금은 이해가 갑니다...
단...떡밥낚시인지...아님 대물 낚시인지를 먼저 기준을 잡으시는게 낳을듯하네요...
활성도가 좋을때인지 아님 지금처럼 저수온기인지...막연하게..부력..순부력...봉돌...모든것이 항상 같을수는 없는건데...
저의 경험으로 보았을때는 좁쌀과 본봉돌을 같이 병해아며 낚시를 해보았지만...찌맞춤을 어떻게(기준을 어디에두냐)에 따라
다른거 같습니다. 좁쌀을 쓸경우 좀더 빠른 입질은 받지만...중우하게 올라오는 입질은 본봉돌에서 더 자주 보여지는거 같더라구요...아무쪼록 좋은 글과 좋은 댓글 잘보고 갑니다. 어복이 충만하시길 바랍니다.
추천 0

훗으으응 11-02-25 12:04 IP : a2710f07dcd0760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잘 배웠습니다
추천 0

차태식 11-03-03 19:23 IP : 6e49bcbe838b03e
어렵군요..그래도 자기마음..ㅎ
추천 0

하얀부르스 11-03-30 13:55 IP : 1082582e5c9dfb8
어렵네요~~~

하지만 찌 부력이든 뭐든간에...자기가 잘돼는 자기가 해서 잘잡히는 마춤이 최고의 마춤이 아닌가 생각이돼네요.
독닙꾼님의 이론도 소인배님의 이론도 다 옳은 말씀이라고 생각이드네여.

독닙꾼님의 글쓴의도는 찌마춤의 수학적 접근.소인배님의 글 쓴목적은 물리학적인 측면에서 접근..
다 모든 횐님들의 찌마춤의 체계적접근을 위해 말씀하신걸로 생각이드네여,,

저 같은 초보의 생각을 정립시켜주시는 감사의 글이라고 생각이듭니다
두 분다 감사합니다..
추천 0

철벽 11-04-05 16:05 IP : 5e550af044f2918
예상 햇던데로지만 이유를 좀 알겠군요 잘 보고 갑니다
추천 0

황어 11-05-14 22:48 IP : ed0a5fe898e7208
대단하십니다.
독랍꾼님... 좋은글 잘 읽고 갑니다.
눈이 빠질락케서 좀 그렇지만,,,ㅎㅎ
추천 0

까시오 11-06-24 15:43 IP : 9058d4b9792d1ea
사랑을 책으로 배웠습니다.
추천 0

제노비스 11-10-05 15:13 IP : 6d1f95e3884123a
어려워용
추천 0

율포리 11-10-29 22:47 IP : 79ace81a5dc0d99
실전과 이론이 같을런지,,
계산은 분명맞는데,
물의 탁도나 저수지의 깊이와 넓이,,등등도
고려 해야되는건아닌지요,,
추천 0

파로호멋쟁이 12-01-25 04:22 IP : a3015a4b9c564bf
소인배님의 이론이 논리정연 합니다 상당한 내공을 가지고 있으 십니다
초보자 분들은 이해하기가 무척 어려습니다 만 고수들은 만은 이해할수가 있을것 입니다

월척캠페인;오분만 청소합시다
추천 0

시즌2 12-03-04 23:14 IP : b26aa2a9a383a65
어쨋던 실전에서는 순부력이 높다는 것이 무거운 봉돌로 채비 안착은 잘되고

예민한 입질을 받아 주는 것으로 착각을 하는 경우는 많습니다.

잘 못 사용하면 찌는 잘 올라 오지만 밤새 헛챔질은 감수 해야 합니다.

보통의 챔질 타이밍의 찌 높이에서 챔질을 하지만

그 때는 이미

빈 바늘인 것을 여러 조사들의 경우와 내 경우에서 경험 했습니다.

차라리 10000원에 5개 짜리 찌만도 못하다고 어디엔가 글을 올린 적있는데

순부력이 만능인 것 처럼 소개하던 분도 보셨을 겁니다.

우린 이제 순부력이 300%니 이런 찌 사용 안하고

그저 정직한 찌가 좋아요....^^*
추천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