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좌(Tip)

· 테크닉, 미끼운용, 용품, 역사, 문화 등 낚시 장르에 구애 없이 낚시와 관련된 모든 실용적 강좌나 TIP이 해당됩니다.

· 기존제품의 개조 또는 자작용품의 경우 나의낚시장비를 이용해주시기 바랍니다.
· 본인이 저작권을 가지는 게시물만 게시하여 주십시오.
· 질답 게시판이 아니오니 질문은 월척지식을 이용하십시오.
· 동영상은 동영상게시판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대물내림 너무 어렵게 생각하시는 것 같아서...

너나들이 IP : 57ff8a17121bf23 날짜 : 2009-02-17 03:12 조회 : 15021 본문+댓글추천 : 0

오래전에 서울 생활을 접고 현재 대구에 내려와서 생활하는 꾼입니다.
서울에서 생활 할때는 사실 낚시 한번 가려고 하면 큰맘 먹고 나가야 합니다. 가는 것은 좋은데 돌아 올때 거의 차가 밀려서 집에 도착하면 초죽음됩니다. 그러하기에 대부분 경기도 인근 유료터에서 주말을 보내는 것이 수도권의 낚시인들의 현실이기도 합니다. 그래서 서울꾼들이 떡밥낚시를 잘하는 이유도 여기에 있지 않을까 하는 슬픈(??) 현실이기도 합니다.

그러다 보니 바닥낚시든 내림낚시든 서울 경기쪽으로 발달되나 봅니다. 그리고 아직 다대편성에 대한 오해를 하는 서울꾼들도 많이 있습니다. 그게 낚시꾼이가 어부지 그러면서 ㅎㅎㅎ 저역시 서울 살면서 서해안쪽으로 출조를 많이 하게 되더군요. 서산의 모 저수지에서 다대편성후 낚시하는데 지나가는 낚시꾼이 쒸~~블... 차라리 어부하지 하면서 뇌까리고 가는데 좀 난감하더군요...

이제 시간이 흘러서 많이 이해를 합니다만 아직도 다르게 보시는 분들이 많으신 것도 현실입니다.

그리고 서울낚시인들의 그림에 떡인 대구에 와서 대구 인근의 저수지를 바람난 과부처럼 쏘다니면서 일주일에 두번꼴로 낚시를 다니곤 하였습니다. 그렇게 하던 시점에 잠시 동안 지금의 생미끼 내림낚시를 해 본 것입니다. 조과 월등히 좋은 것이 사실입니다. 그런데 여기에 문제는 있습니다.

예를 들어서 옥수수 미끼를 사용하는 경우 미끼에 의한 대상어의 크기를 선별하여 입질 받는 것은 포기하셔야 합니다. 물론 타 미끼에서도 그러한 현상이 있지만 옥수수 내림의 경우 전차표 사이즈도 무수히 입질합니다. 의성의 모 작은 저수지 갔더니만 큰 붕어가 한번씩 뒤집는 것 보면 분명히 큰 씨알이 있을 것 같은데 밤세도록 전차표에 시달리다가 나중에 만세 부르고 들어가서 잔적도 있습니다.

그래서 채비 일부를 변형하여서 위바늘은 붕어 무미늘 5호에 아랫 바늘은 감생이 바늘 3~4호에 맞추어서 아랫바늘에는 새우도 끼어보고 윗바늘은 역시 옥수수로 해보았습니다만 입질은 옥수수에서 먼저하더군요.

물론 새우는 머리를 콕 눌러서 죽인 후에 사용합니다.

우리가 알고 있는 상식 중에 수초를 끼고 다대 편성을 하는 것을 대부분 생각합니다만 저의 경험상 밤이 되면 수초가 있던 없던 큰씨알이든 작은 씨알이든 모두 입질합니다.

그래서 꼭히 수초가 빼곡한 곳에서는 채비의 특성상 피하게 됩니다. 그렇다고 조과가 떨어지는 것은 절대 아니기에 오히려 같이 낚시 간 일행이 밤중에 살째기 찾아와서 입질 있어 하고 물어 봅니다. 그러면 아니 입질 없는데요 답하면 아 잠이나 자야것다. 내림에 입질 없는데... 이러고 갑니다.

왜냐면 같이 다니는 조우가 저와는 다르게 순수 대어낚시를 하기 때문입니다. 저역시도 때에 따라서는 수초 밀생지역에 가는 경우 새우낚시를 합니다.

오늘 처음 이 게시판을 보고 느낀 것이 우리내 낚시인들이 너무 어렵게 생각하시는 것 같아서 그냥 쉽게 설명해보고저 글을 올린 것이기에 혹시 저와 다른 생각을 가지시더라도 다양성을 이유로 그냥 이해하여 주시기를 부탁드립니다.

먼저 채비의 구성은 아래와 같습니다.
ㅡ. 바늘
저의 경우 아랫바늘은 무미늘 6호 정도를 사용합니다. 윗바늘은 무미늘 4호정도를 사용합니다. 바늘이 작다고 걱정하시는 분들이 있으신데 저의 경우 무미늘 4호(국산바늘)로 잉어 5~60되는 씨알도 무난히 제압해 보았습니다. 목줄이 터지는 경우는 어쩌다가 한번씩 있습니다. 목줄 관리를 게을리해서^^;;

물론 바늘을 큰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합니다만 위바늘은 큰 것을 사용하면 찌의 변화가 있기에 아랫바늘만 큰 것을 사용합니다. 가끔은 그러나 거의 위의 바늘 정도 사이즈를 대부분 사용합니다.

ㅡ. 원줄
원줄 내림이나 중층용으로 나온 모든 낚시줄은 사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카본사의 경우 카본사의 무게 때문에 찌가 앞으로 땡겨오는 경우가 생길 수 있기에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일반 나일론 계통의 줄을 쓰시는게 좋습니다. 원줄의 굵기는 1.2호 부터 1.5호까지면 무난 합니다. 저의 경우 일부 낚시대에는 바다낚시줄인 플로팅 계열의 원줄 3호를 가지고도 사용하기도 합니다. 가끔 꼭 넣고 싶은 수초 언저리가 있는 경우 찌를 후딱 바꾸어서 외바늘 채비로 넣기 위함입니다. 물론 이때는 목줄을 달리합니다.

ㅡ. 목줄
목줄의 경우 가급적이면 1.2호 아래로 사용하시기를 권장합니다. 생미끼 내림채비의 경우 붕어를 낚아서 올려보면 깊이 삼킨 경우가 대단히 많습니다. 이는 찌의 특성상 이물감을 못느끼는 이유가 있기에 거기에다가 목줄도 가늘면 더 좋은 조과를 기대할 수가 있기 때문입니다. 목줄의 경우 최대한 부르러운 줄을 사용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아랫바늘과 위바늘의 단차길이는 저의 경우 5~7 쎈티 정도를 줍니다. 목줄 길이는 아래바늘의 경우 20~24정도로 합니다.

ㅡ. 추
추는 유동채비를 사용합니다. 물론 편납을 감는 유동채비를 말합니다. 일반 내림과 차이가 없습니다.

ㅡ. 찌
5~6푼 정도 하는 내림찌를 사용합니다. 그 이유는 5푼 이하의 찌를 사용하는 경우 찌의 자립에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왜냐면 일반 저부력 내림찌의 경우 케미 고무를 장착하고 케미를 장착하면 자립입수가 아닌 삐딱하게 입수 되거나 혹은 사선으로 입수하여 잠기는 경우가 생기기 때문입니다. 5~6푼 정도면 충분히 무난하게 사용이 가능합니다.

저의 경우 오래전에 부산의 00찌 사장님의 내림낚시 초기에 나온 케미꽂이가 있는 내림찌(지금은 찌를 판매하지 않음)가 있기에 그걸 사용하고 부족한 경우 일반 낚시점에 파는 내림찌 중에 위 푼수에 해당하는 찌를 가지고 사용합니다. 다만 케미꽂이를 달아야 하기에 현장에서 케미꽂이를 달고 케미를 삽입한 후 옥수수를 달아서 투척하여 발딱 서서 입수를 하면 그냥 사용합니다. 사선입수가 되면 찌톱을 한마디씩 짤라서 케미꽂이를 다시 꼽아 사용해 봅니다.

ㅡ. 찌맞추기
부력::채비를 셋팅(바늘 포함) 한 후 찌의 부력을 찌톱의 위 2/3(아랫쪽 2/3이 지점이 아닙니다) 지점에 맞추어 셋팅합니다.
수심:: 지우개를 아랫바늘에 달아서 수심을 맞추는데 찌톱의 절반 부분이 나오게 하여서 사용하면 됩니다.

ㅡ. 낚시대
떡밥대든 대어대든 다 좋습니다만. 저의 경우 떡밥대를 많이 사용합니다. 자주 입질이 오기에 무게감이 나가는 낚시대 보다는 조금이라도 덜 나가는 낚시대를 사용하기 위함입니다. 또한 수초가 밀생한 지역을 피해서 하는 경우가 많기에 제압하는데 수초 없는 지역이라 쉬운 이유도 있기 때문입니다.

ㅡ. 뜰체
뜰체는 꼭 준비하여야 합니다. 가끔은 들어뽕하기가 곤란한 씨알이 올라 오기 때문입니다.

ㅡ. 입질
끌고 가는 입질이 대부분입니다. 그러나 가끔은 올리기도 합니다. 챔질을 급히 서두를 필요가 없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만 가끔은 맥가이버(??) 붕어가 있는 경우 챔질을 달리 해 보는 것도 방법입니다.

생미까 내림낚시의 경우 미끼에의한 씨알 선별력은 많이 떨어집니다만 또한 자주 자주 입질이 오는 경우가 많기에 다소 귀찮은 면도 있습니다. 그러나 제 주위 분들의 경우 월도 많이 합니다. 어찌보면 새우낚시보다 더 많이 월을 하는 편입니다.

어느 낚시인든 자신이 즐겨하는 장르의 낚시를 하여 그것으로 인하여 즐거우면 좋은 것입니다.

그리고 게시판의 제목을 보니 대물내림낚시이더군요... 그냥 생미끼 내림낚시가 맞을꺼 같습니다. 이미 오래전에 내림낚시를 하시는 분들 중에 생미끼 내림을 하시는 분들도 일부 있었습니다. 그리고 채비가 워낙 예민하다 보니 작은 넘이든 큰넘이든 모두 걸리기에 그냥 생미끼 내림이... 맞지 않을까 하는 저의 개인적 생각입니다. 미늘 있는 바늘을 사용하여 지롱이도 껴서 사용하기도 하기 때문입니다.


위글은 저의 지극히 주관적 생각이기에 혹여 다른 오해가 없으시기를 희망하며 글을 올립니다.
[이 게시물은 운영자님에 의해 2009-02-17 09:20:31 대물내림낚시 Q&A에서 이동 되었습니다]
추천 9

1등! 낚시는과학이다 09-02-17 10:54 IP : 56326e545a9bfae
너나들이님 좋은 말씀들 잘 보았습니다^^

옥수수내림낚시에 대한 기법에 대해 너무 잘 알고 계셔서 제가 따로 덧붙일 말이 없겠습니다.

그리고 용어에 대해 논의를 하자면 저번에도 다른 질문에 댓글을 단 적이 있는데

'대물'이라는 단어를 너무 남발하고 있다는 생각이 듭니다.

우리가 생각하는 '대물낚시'라는 장르는 큰바늘과 큰미끼로 잔챙이가 먹지 못하도록 하여

잔입질을 걸러내며 월척이상만을 타겟으로 하기에 이름 붙여졌다고 생각됩니다.

그런데 너나들이님께서도 위에서 언급하셨듯이 옥수수내림낚시의 경우 그렇지가 않다는 것입니다.

씨알선별력은 없으며 마릿수 조과가 상당하기에 전차표도 올라오고 월척도 섞여서 올라오는 것입니다.

그리고 너나들이님께서 마지막에 말씀하신 '생미끼내림낚시'라는 용어도 적절하지 않다고 보여집니다.

우리가 흔히 말하는 생미끼는 새우,참붕어등 말 그대로 '살아있는 미끼' 를 말하는것인데

옥수수는 생물이 아니기에 타당하지 않다고 생각됩니다.

너나들이님께서는 새우도 사용하셔서 그렇게 생각하실수도 있겠습니다만 적절한거 같지는 않습니다.

글을 적고 보니 너무 비판만 한것같아 죄송한 마음도 있지만 발전적인 논의는 계속되어야겠죠^^
추천 0

2등! 경산희나리 09-02-17 13:22 IP : 8a20d8bcd55260b
원래 생미끼라 함은 살아있는 미끼를 뜻하기도 하지만

최근에는 그 범주가 넓어짐에 따라 제 생각엔 생미끼라 함은 살아있는 생물만 뜻하는것이 아니라

형태를 가공하지 않은 날(生)것 형태의 미끼를 모두 포함하는것이라 생각합니다..

곡물 등을 가공한 떡밥낚시와 형태를 가공하지 않은 날것의 옥수수, 콩, 참붕어, 새우, 지렁이, 감자, 번데기 등등의 생미끼낚시.

이렇게 분류한다고 생각합니다.

옥수수 또한 생미끼라고 생각합니다.
추천 0

3등! 너나들이 09-02-17 14:22 IP : 271f0c234555a43
제가 생미끼라고 함은 이차가공을 하지 않는 미끼를 보고 생미끼라고 하였습니다.
삶은 감자 삶은 옥수수 번데기 등등.... 그냥 단순이 열만 가한 것은 즉 기존 형태를 가지고 있는 것을
생미끼로 하자는 것입니다. 여하간 좋은 의견 주셔서 고맙습니다^^

대물 내림 낚시에서 이리로 옮겨 왔네요...
추천 0

소인배 09-02-17 15:29 IP : 31a474f4b36e3b4
낚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이 대부분 자연발생적인 경우가 많아 조금은 왜곡 과장되기도 합니다.
그 원의미와 상반되는 경우도 많구요...하지만 한번만 해보면 우리 월님들 다 압니다.
대물이란 말 역시 님의 말씀처럼 좀 잘못 붙었을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새로운 이름은 얻은 쟝르인데... 너그르이 대물도 많이 잡으라는 의미로
봐주시면 어떨지요......
아들이름 지을때도 그렇게 짓지않습니까?
추천 0

너나들이 09-02-17 16:11 IP : 57ff8a17121bf23
대물이라는 말이 일본식 한자어로 알고 있습니다. 낚시에서 이 내용을 알고 있는 분들은
가급적 사용하지 않을려고 노력중에 있는 것으로 인지하고 있습니다. 저역시 마찬가지로 대물이라는 말 대신에
대어라는 말을 사용합니다. 물론 이것도 한자어입니다만 일본이 우리민족의 언어 말살정책의 일환으로 행한 부분에서
그것을 답습한다는 것에 대한 저의 개인적 반대이기도 합니다. 이전에 일본식 이름인 영자 말자 순자 등등 자 끝나는
말이 일본식 이름이라 요즘 많이 피하는 실정이기도 하고요... 저의 지극히 개인적 의견입니다^^
추천 0

소인배 09-02-17 19:49 IP : 31a474f4b36e3b4
네 좋은 말씀이십니다. 특히나 근래 낚시에 왜의 말이 많이 쓰여
듣기도 거북하고 이해도 어려운 경우가 많습니다.
님처럼 아시는 분이 알려주셔서 쉽고 좋은 우리말로 바뀌어야 할 것입니다.
그리고 순자, 영자은 일본식이어서라기보다 촌스러워서가 아닐까요?
넝담입니다. ..
추천 0

구수파 09-02-17 21:27 IP : b166eae19139c3a
좋을 글 잘 읽었습니다.^^
댓글 보니 헷갈려유.ㅠㅠㅠㅠ
제 견해로는 어떤 먹이도 잔챙이 성화에는 못 견디겠지만, 옥수수는 사용법 노하우가 꽤 많기에
선별낚시에 한 장르로 대물(?지송^^)미끼에 한 몫 단단히 한다 보구요, 또한 생미끼라 카면 곡물류가 아니라
살아 움직이는 생물류가 아닌가요.ㅎㅎㅎㅎ
대물미끼=참,새,콩,콘,돌(농담임돠^^).....
생미끼=참,새,지렁이,굼뱅이,구더기..... 아닌가??????? 에효~ 헷갈리네여.ㅠㅠㅠㅠㅠ^^
추천 0

월척이얍 09-02-17 23:59 IP : 7d9ca044efa321d
잘보고 갑니다. ~
추천 0

대물명가 09-02-18 10:08 IP : 869a84006de069b
좋은글 잘보고 배워갑니다..
감사드립니다^^
추천 0

붕붕사 09-02-18 10:09 IP : 6ff8d1fabc7826a
하여튼 좋은 낚시 장르입니다
손맛은 확실히 볼수있구 월척급이상도 일반대물보다 만이잡을수있읍니다
추천 0

노랑붕어 09-02-18 11:48 IP : 3917eab878fd44b
올해는 함 시도해 보겠습니다..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
추천 0

초초 09-02-18 12:27 IP : 7ece7114c5d9863
좋은 글, 공감가는 내용입니다.
숲은 보지 못하고 나무만 보는 격으로 글의 본래 취지나 본질에서 살짝 벗어나는 얘기지만 생미끼에 대하여 한다리 걸쳐 봅니다.

생미끼란 살아 있거나 날 것을 미끼로 사용하는 것으로 낚시미끼로 흔히 사용하는 옥수수나 콩은 익히는 등 가공한 것이므로 생미끼의 범주에 들지 않는다고 생각합니다.
"자연에서 채집 또는 채취한 그대로의 미끼가 생미끼가 아닌가??"라는 생각를 하면서......
추천 0

붕애환자 09-02-18 13:22 IP : 118c5f7a7e1df83
그럼 그 물먹는찌는 없어도 5푼 정도의 찌에 케미달고 자립 잘되는 내림찌라면 옥수수내림낚시를 하는데
문제가 없다는 말씀으로 해석해도 될까요?
가벼운 물먹는 찌가 물을 먹음으로 인해서 대류 등의 현상에도 찌가 흐르지 않는다고 하는데 일반 내림찌를 사용해도
찌가 흐르지 않는지요?
내림낚시를 해 보지 않아서 여쭤봅니다.
추천 0

낚시는과학이다 09-02-18 16:23 IP : 56326e545a9bfae
너나들이님의 주요 의견은 낚시기법이었는데 제가 첫 댓글에 낚시용어쪽으로 너무 치우친것 같아 죄송합니다.

저는 생물과 무생물의 개념으로 접근했지만

너나들이님께서는 가공한것과 가공하지 않은것으로 접근을 하셨으니 서로의 의견이 달라질수 밖에 없었네요^^

위에서 언급하신것처럼 대물이라는 단어보다 대어가 더 적절하다고 이제와서 소리쳐봐야

벌써 널리 퍼져있고 입에서 자연스레 나오는 단어가 대물인것을 어찌하겠습니까^^

저는 첫 단추를 잘 꿰자는 뜻에서 말씀드린것이니 오해없으시길 바라며 유익한 논의 즐거웠습니다^^
추천 0

시루나박 09-02-19 11:05 IP : cef47edd202634b
너나들이님!
좋은 내용 잘 보았습니다.
어원이 무슨 관계가 있나요.
그냥 말 장난일 뿐인데요.
어떤 형태로 잡느냐가 중요한것 같네요.
늘 즐낚하시고 건강하시고 안출하시고 498하시길................
추천 0

너나들이 09-02-20 01:56 IP : 57ff8a17121bf23
저의 경험으로는 어느 내림찌(케미를 단 상태)든 입수과정에서 발딱 서서 들어가면 무조건 사용 가능합니다.
그리도 대류가 아주 심한 경우에는 흐르는 경우가 있습니다만 이런 경우 계곡형 저수지의 배수가 이루어 질때
심하며 그외에는 그렇게 신경이쓰일 정도는 아닙니다. 그러나 부력을 잘못 맞추었을 때는 찌가 많이 흐르는 경우가
있습니다. 내림찌는 모두 대류가 심 할때는 흐른다고 볼 수가 있습니다. 물먹는 찌 저에게 어느 분이 주어서 하나를
가지고 있습니다만 사용하지는 않습니다. 극심한 대류에 흐르지 않는 내림찌라.....제 상식으로는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

백문이 불여일견...사용 후 후기 올려 볼까 합니다^^

관심 가지시고 올려 주신 댓글로 통하여 저 또한 배우고 갑니다. 이글 보시는 모든 분들께 아름다운 일만 가득하시기를 기원합니다^^
추천 0

붕순아놀자 09-02-20 06:29 IP : c17b3ec6a29d8be
내림찌에 캐미 꽃이를 달고 = 저부력 올림찌 ㅇㅅㅇ;;;
마춤은 예민한 원줄, 예민한 목줄 영점 마춤 ㅇㅅㅇ;;;

쿵 목줄 길게한 영점 마춤과 틀린점은? ㅠ,.ㅠ
윗 바늘 아랫 바늘? 이러면 얼레벌레? ㅠ,.ㅠ

으헉 너무 어렵네요

그냥 잘 읽었습니다 (__)
추천 0

대물꾼 09-02-24 10:06 IP : 37f155ad896bdfb
너나들이님!
반갑습니다.
좋은정보 많이 올려주셨네요.
님게서 올려신 내용중 "내림찌"에 대해 몇자 적어봅니다.
일반 낚시점에서 판매하는 내림찌는 주간용으로 위에서 말한바 케미꽂이와 케미를 달면 찌의 바란스(무게)가 변화되어
사용하기가 좀 어렵기 때문입니다.
즉, 그것을 만족할수 있는찌라면 무조건 사용가능합니다.(100%)
그리고 대류현상에 관해 몇자 적어봅니다.
대류현상은 수온이 바뀌어질때 일어납니다. 흔히하는말로 물이 뒤집어진다고 하지요.
몸통의 소재에 따라 차이가 있을것입니다.
그러나. 대류현상으로 인해 미세하게 움직일수 있으나 그것은 눈으로 잘 보이질 않습니다.
단지, 눈으로 보이는것은 찌가 한~두마디 상승(찌의 목수에 따라 차이남)하는것은 느낄수가 있습니다.
그러나 그것이 조과에 미치는영향은 아주 적습니다.(무시해도 됩니다.)
그외 여러가지가 있지만 이만 여기서 함구하겠습니다.
참, 투척후 찌가 흘러간다는것은 무엇인가 잘못되었다고 보면 됩니다.
너나들이님!
앞으로 좋은정보 많이 올려 주세요.^^*
낚시는 자기 몸에 맞는 낚시가 최고입니다.
추천 0

너나들이 09-02-25 12:38 IP : 0a05ed69fc20644
대물꾼님 좋은 글 주셔서 고맙습니다.
잘못된 부분이 있으면 바로 이야기 하여 주세요^^
저도 배우는 중에 있습니다^^
추천 0

잠깐바리 09-02-25 18:45 IP : 1f93c7c4e51ed49
잘보고 갑니다.
내림공부에 도움이 되네여~~
추천 0

허우대 09-03-07 14:12 IP : 5ec54256391291b
정보 감사하며 많은 도움이 된것 같습니다.
추천 0

손맛의진수 09-05-08 14:22 IP : d6c74ec91af11eb
좋은정보 감사드립니다~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추천 0

맑은마음 09-10-23 04:49 IP : 15af4ccb5ea455a
너나들이님 낚시는과학이다님 두분다 너무 많이 알구 계시네요^^

두분다 올아요 잘 배우고 갑니다
추천 0

낚시초보꾼 11-04-16 20:53 IP : 4bc2d7e340eb80b
자세하게 일고 하나 배워갑니다
추천 0

조용한소류지 11-06-09 16:17 IP : 27ea2da31490c33
좋은정보 감사드립니다.
잘보고 배워갑니다..
추천 0

후까시조아 12-04-25 23:53 IP : 7a06dfa2c549692
좋아보이네요
잘 보고갑니다^^
추천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