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객기 대객기 무쉬 1물~~~~~~11 물까지 조금 사리 명쾌한 설명 부탁요
목록 이전글다음글 물때표 설명해 주실분 댓글 10 인쇄 신고 목마와숙녀 IP : 67c33708aea56b3 날짜 : 2015-06-10 08:50 조회 : 14574 본문+댓글추천 : 0 한객기 대객기 무쉬 1물~~~~~~11 물까지 조금 사리 명쾌한 설명 부탁요 추천 0 1등! 육짜미끄덩15-06-10 08:55 IP : be73ef73bbc79d8 음력 8일 23일 조금(무시) 음력15일 보름 30일그믐(일곱물) 이렇게 한달 삼십일을 십오일로 쪼개면 됩니다 신고하기 추천 0 음력 8일 23일 조금(무시) 음력15일 보름 30일그믐(일곱물) 이렇게 한달 삼십일을 십오일로 쪼개면 됩니다 2등! 목마와숙녀15-06-10 10:11 IP : 9e0c1da8010e1ad 미끄덩님 감사 더알고 싶은건 대객기는 뭐고 한객기는 뭐고 무쉬 그런것들요 1 물은 ~11 물은 뭘말하는지 부탁요 신고하기 추천 0 미끄덩님 감사 더알고 싶은건 대객기는 뭐고 한객기는 뭐고 무쉬 그런것들요 1 물은 ~11 물은 뭘말하는지 부탁요 3등! 노벰버레인15-06-10 10:18 IP : 968c00caa17d849 절대비밀...1급비밀... Top secret. .. 1물..(물 한바가지) 11물..(물 11바가지) 목마와숙녀님 고마우면 가끔 고막지..가시거든 고막지 사진 좀 보내줘요..ㅜ.ㅜ 신고하기 추천 0 절대비밀...1급비밀... Top secret. .. 1물..(물 한바가지) 11물..(물 11바가지) 목마와숙녀님 고마우면 가끔 고막지..가시거든 고막지 사진 좀 보내줘요..ㅜ.ㅜ 육짜미끄덩15-06-10 10:45 IP : be73ef73bbc79d8 물때를 우리말로 표현한 겁니다. 대객기는 조금전 물때를 말합니다. 다른말로 한객기 두객기 한꺽기, 두꺽기등 일부지역마다 부르는 말들이 들립니다. 그리고 물때는 지역마다 시간차이나 물의 들고나는 차이도 납니다. 제 고향이 남해안 입니다 윗글 객기가 들어가는 물때는 서해안 조수간만에 차가 심한곳에서 물때를 순 우리말로 부르는것 같네요 쉽게 조금을 1로 보시고 보름 또는 그믐을 15로 보시면 됩니다 그리고 물때표를 이해 하실려면 음력을 먼저 이해 하셔야 됩니다 신고하기 추천 0 물때를 우리말로 표현한 겁니다. 대객기는 조금전 물때를 말합니다. 다른말로 한객기 두객기 한꺽기, 두꺽기등 일부지역마다 부르는 말들이 들립니다. 그리고 물때는 지역마다 시간차이나 물의 들고나는 차이도 납니다. 제 고향이 남해안 입니다 윗글 객기가 들어가는 물때는 서해안 조수간만에 차가 심한곳에서 물때를 순 우리말로 부르는것 같네요 쉽게 조금을 1로 보시고 보름 또는 그믐을 15로 보시면 됩니다 그리고 물때표를 이해 하실려면 음력을 먼저 이해 하셔야 됩니다 이박사™15-06-10 10:45 IP : 29f7cdb54fa3008 물때표를 같이 보시면서 말씀드리면 좋은데요. ^^ 물떄표는 간단하게 말씀드리자면, 달과 지구의 인력을 가지고 바닷물이 빠지고 드는 상태를 인간들이 그 바다상황에 맞게 조업을 하기 위해 만들어낸 표입니다. 한객기, 한대끼, 한꺽기... 이건 각 지역 방언일 테구요. 1물 2물이나 한물 두물 표현이 표준어일 것 같습니다. 음력 8일, 23일을 조금으로 기준잡고 그 다음 무쉬, 그 다음 1물.. 2물.. 이렇게 나갑니다. 중간에 '사리'가 있어 물이 가장 센 날짜를 말합니다.(이해하시기 쉽게) 대객기는 조금 전날 물때를 말하는 것 같습니다. 그러니까 음력으로 따지면, 음력 7일, 22일 될 듯합니다. 인터넷으로 공부를 하시면 조금 이해가 빠를 듯하구요. 낚시점에 가셔서 물어보시면 더 이해가 쉬울 것 같습니다. ^^ 신고하기 추천 0 물때표를 같이 보시면서 말씀드리면 좋은데요. ^^ 물떄표는 간단하게 말씀드리자면, 달과 지구의 인력을 가지고 바닷물이 빠지고 드는 상태를 인간들이 그 바다상황에 맞게 조업을 하기 위해 만들어낸 표입니다. 한객기, 한대끼, 한꺽기... 이건 각 지역 방언일 테구요. 1물 2물이나 한물 두물 표현이 표준어일 것 같습니다. 음력 8일, 23일을 조금으로 기준잡고 그 다음 무쉬, 그 다음 1물.. 2물.. 이렇게 나갑니다. 중간에 '사리'가 있어 물이 가장 센 날짜를 말합니다.(이해하시기 쉽게) 대객기는 조금 전날 물때를 말하는 것 같습니다. 그러니까 음력으로 따지면, 음력 7일, 22일 될 듯합니다. 인터넷으로 공부를 하시면 조금 이해가 빠를 듯하구요. 낚시점에 가셔서 물어보시면 더 이해가 쉬울 것 같습니다. ^^ 그림자™15-06-10 12:11 IP : 303d5336e260e05 바다쪽은 문외한입니다. 근디...물도 때가있습니까^^;; 신고하기 추천 0 바다쪽은 문외한입니다. 근디...물도 때가있습니까^^;; 목마와숙녀15-06-10 12:25 IP : 67c33708aea56b3 상세설명 감사드리구요 노벰버 레인님 사진찍어 보내드릴께요 참고로 저는 입어료 안냅니다. 신고하기 추천 0 상세설명 감사드리구요 노벰버 레인님 사진찍어 보내드릴께요 참고로 저는 입어료 안냅니다. 하나로15-06-10 15:53 IP : 2b8e9325db67ec7 물때표 보는법 1. 만조 / 고조 ▲+172 물이 가장 많이 차 올랐을 때를 말하며 '+숫자'는 간조 이후 차오른 해수면 높이의 차이를 말합니다. 2. 간조 / 저조 ▼-167 물이 가장 많이 빠졌을 때를 말하며 '-숫자'는 만조에서 빠진 해수면 높이의 차이를 말합니다. 3. 물의 높이 ( 164) ()안의 숫자는 물의 높이를 말하며 단위는 cm입니다. 관련 용어 설명 밀물 늘어나는 물, 들물, 창조 썰물 빠지는 물, 줄어드는 물, 날물, 낙조 만조 물이 최고로 늘어난 상태에서 다시 썰물행위의 행동직전 정시상태 간조 물이 최저로 빠진 상태에서 밀물행위의 행동직전 정시상태 조석 물이 들어오고 나가는 시작점의(만조, 간조)일별 시간표시 조류 밀물과 썰물행위에서 일어나는 물의흐름. 유속. 본류 우리나라 해역의 밀물과 썰물의 흘러가는 기본방향 반류 지형 형태에 따라 본류의 떠밀림과 부딛힘에 의한 역류현상 와류 본류의 부딛힘과 떠밀림에 의한 소용돌이, 훈수물, 합수물 간류 본류의 떠밀림에 의하여 옆으로 비켜가는 흐름 격조 조류가 암초 지대를 지날때 일어나는 파장 급조라고도 함 사리 만조, 간조의 수위차가 높고 조류흐름도 가장 빠른시기(음력15일,30일) 조금 만조, 간조의 수위차가 작고 조류흐름도 가장 약한시기(음력8일,23일) 무시 조금 다음날 조금물때와 비슷한 수위와 조류속도의 약한시기(예비조금) 물때표 계산법 (7물때식: 서해 | 8물때식: 동해,남해 등) * 물때식은 음력으로 계산됩니다. (29일까지 있는 달의 경우 30일(6물or7물)을 생략하고 계산하시면 됩니다.) 음력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15 8물때식 8물 9물 10물 11물 12물 13물 14물 조금 1물 2물 3물 4물 5물 6물 7물 7물때식 7물 8물 9물 10물 11물 12물 13물 조금 무시 1물 2물 3물 4물 5물 6물 음력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8물때식 8물 9물 10물 11물 12물 13물 14물 조금 1물 2물 3물 4물 5물 6물 7물 7물때식 7물 8물 9물 10물 11물 12물 13물 조금 무시 1물 2물 3물 4물 5물 6물 신고하기 추천 0 물때표 보는법 1. 만조 / 고조 ▲+172 물이 가장 많이 차 올랐을 때를 말하며 '+숫자'는 간조 이후 차오른 해수면 높이의 차이를 말합니다. 2. 간조 / 저조 ▼-167 물이 가장 많이 빠졌을 때를 말하며 '-숫자'는 만조에서 빠진 해수면 높이의 차이를 말합니다. 3. 물의 높이 ( 164) ()안의 숫자는 물의 높이를 말하며 단위는 cm입니다. 관련 용어 설명 밀물 늘어나는 물, 들물, 창조 썰물 빠지는 물, 줄어드는 물, 날물, 낙조 만조 물이 최고로 늘어난 상태에서 다시 썰물행위의 행동직전 정시상태 간조 물이 최저로 빠진 상태에서 밀물행위의 행동직전 정시상태 조석 물이 들어오고 나가는 시작점의(만조, 간조)일별 시간표시 조류 밀물과 썰물행위에서 일어나는 물의흐름. 유속. 본류 우리나라 해역의 밀물과 썰물의 흘러가는 기본방향 반류 지형 형태에 따라 본류의 떠밀림과 부딛힘에 의한 역류현상 와류 본류의 부딛힘과 떠밀림에 의한 소용돌이, 훈수물, 합수물 간류 본류의 떠밀림에 의하여 옆으로 비켜가는 흐름 격조 조류가 암초 지대를 지날때 일어나는 파장 급조라고도 함 사리 만조, 간조의 수위차가 높고 조류흐름도 가장 빠른시기(음력15일,30일) 조금 만조, 간조의 수위차가 작고 조류흐름도 가장 약한시기(음력8일,23일) 무시 조금 다음날 조금물때와 비슷한 수위와 조류속도의 약한시기(예비조금) 물때표 계산법 (7물때식: 서해 | 8물때식: 동해,남해 등) * 물때식은 음력으로 계산됩니다. (29일까지 있는 달의 경우 30일(6물or7물)을 생략하고 계산하시면 됩니다.) 음력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15 8물때식 8물 9물 10물 11물 12물 13물 14물 조금 1물 2물 3물 4물 5물 6물 7물 7물때식 7물 8물 9물 10물 11물 12물 13물 조금 무시 1물 2물 3물 4물 5물 6물 음력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8물때식 8물 9물 10물 11물 12물 13물 14물 조금 1물 2물 3물 4물 5물 6물 7물 7물때식 7물 8물 9물 10물 11물 12물 13물 조금 무시 1물 2물 3물 4물 5물 6물 하나로15-06-10 15:57 IP : 2b8e9325db67ec7 붙여넣기가 안되네여 ~~ 아래위로 도표가 빠져서 ..... 신고하기 추천 0 붙여넣기가 안되네여 ~~ 아래위로 도표가 빠져서 ..... 목마와숙녀15-06-10 17:45 IP : 67c33708aea56b3 하나로님 명쾌한 설명 감사드립니다 제가원한 답을 주셨네요! 신고하기 추천 0 하나로님 명쾌한 설명 감사드립니다 제가원한 답을 주셨네요! 목록 이전글다음글 하단에 목록보기
1등! 육짜미끄덩15-06-10 08:55 IP : be73ef73bbc79d8 음력 8일 23일 조금(무시) 음력15일 보름 30일그믐(일곱물) 이렇게 한달 삼십일을 십오일로 쪼개면 됩니다 신고하기 추천 0
2등! 목마와숙녀15-06-10 10:11 IP : 9e0c1da8010e1ad 미끄덩님 감사 더알고 싶은건 대객기는 뭐고 한객기는 뭐고 무쉬 그런것들요 1 물은 ~11 물은 뭘말하는지 부탁요 신고하기 추천 0
3등! 노벰버레인15-06-10 10:18 IP : 968c00caa17d849 절대비밀...1급비밀... Top secret. .. 1물..(물 한바가지) 11물..(물 11바가지) 목마와숙녀님 고마우면 가끔 고막지..가시거든 고막지 사진 좀 보내줘요..ㅜ.ㅜ 신고하기 추천 0
육짜미끄덩15-06-10 10:45 IP : be73ef73bbc79d8 물때를 우리말로 표현한 겁니다. 대객기는 조금전 물때를 말합니다. 다른말로 한객기 두객기 한꺽기, 두꺽기등 일부지역마다 부르는 말들이 들립니다. 그리고 물때는 지역마다 시간차이나 물의 들고나는 차이도 납니다. 제 고향이 남해안 입니다 윗글 객기가 들어가는 물때는 서해안 조수간만에 차가 심한곳에서 물때를 순 우리말로 부르는것 같네요 쉽게 조금을 1로 보시고 보름 또는 그믐을 15로 보시면 됩니다 그리고 물때표를 이해 하실려면 음력을 먼저 이해 하셔야 됩니다 신고하기 추천 0
이박사™15-06-10 10:45 IP : 29f7cdb54fa3008 물때표를 같이 보시면서 말씀드리면 좋은데요. ^^ 물떄표는 간단하게 말씀드리자면, 달과 지구의 인력을 가지고 바닷물이 빠지고 드는 상태를 인간들이 그 바다상황에 맞게 조업을 하기 위해 만들어낸 표입니다. 한객기, 한대끼, 한꺽기... 이건 각 지역 방언일 테구요. 1물 2물이나 한물 두물 표현이 표준어일 것 같습니다. 음력 8일, 23일을 조금으로 기준잡고 그 다음 무쉬, 그 다음 1물.. 2물.. 이렇게 나갑니다. 중간에 '사리'가 있어 물이 가장 센 날짜를 말합니다.(이해하시기 쉽게) 대객기는 조금 전날 물때를 말하는 것 같습니다. 그러니까 음력으로 따지면, 음력 7일, 22일 될 듯합니다. 인터넷으로 공부를 하시면 조금 이해가 빠를 듯하구요. 낚시점에 가셔서 물어보시면 더 이해가 쉬울 것 같습니다. ^^ 신고하기 추천 0
하나로15-06-10 15:53 IP : 2b8e9325db67ec7 물때표 보는법 1. 만조 / 고조 ▲+172 물이 가장 많이 차 올랐을 때를 말하며 '+숫자'는 간조 이후 차오른 해수면 높이의 차이를 말합니다. 2. 간조 / 저조 ▼-167 물이 가장 많이 빠졌을 때를 말하며 '-숫자'는 만조에서 빠진 해수면 높이의 차이를 말합니다. 3. 물의 높이 ( 164) ()안의 숫자는 물의 높이를 말하며 단위는 cm입니다. 관련 용어 설명 밀물 늘어나는 물, 들물, 창조 썰물 빠지는 물, 줄어드는 물, 날물, 낙조 만조 물이 최고로 늘어난 상태에서 다시 썰물행위의 행동직전 정시상태 간조 물이 최저로 빠진 상태에서 밀물행위의 행동직전 정시상태 조석 물이 들어오고 나가는 시작점의(만조, 간조)일별 시간표시 조류 밀물과 썰물행위에서 일어나는 물의흐름. 유속. 본류 우리나라 해역의 밀물과 썰물의 흘러가는 기본방향 반류 지형 형태에 따라 본류의 떠밀림과 부딛힘에 의한 역류현상 와류 본류의 부딛힘과 떠밀림에 의한 소용돌이, 훈수물, 합수물 간류 본류의 떠밀림에 의하여 옆으로 비켜가는 흐름 격조 조류가 암초 지대를 지날때 일어나는 파장 급조라고도 함 사리 만조, 간조의 수위차가 높고 조류흐름도 가장 빠른시기(음력15일,30일) 조금 만조, 간조의 수위차가 작고 조류흐름도 가장 약한시기(음력8일,23일) 무시 조금 다음날 조금물때와 비슷한 수위와 조류속도의 약한시기(예비조금) 물때표 계산법 (7물때식: 서해 | 8물때식: 동해,남해 등) * 물때식은 음력으로 계산됩니다. (29일까지 있는 달의 경우 30일(6물or7물)을 생략하고 계산하시면 됩니다.) 음력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15 8물때식 8물 9물 10물 11물 12물 13물 14물 조금 1물 2물 3물 4물 5물 6물 7물 7물때식 7물 8물 9물 10물 11물 12물 13물 조금 무시 1물 2물 3물 4물 5물 6물 음력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8물때식 8물 9물 10물 11물 12물 13물 14물 조금 1물 2물 3물 4물 5물 6물 7물 7물때식 7물 8물 9물 10물 11물 12물 13물 조금 무시 1물 2물 3물 4물 5물 6물 신고하기 추천 0
음력15일 보름 30일그믐(일곱물)
이렇게 한달 삼십일을
십오일로 쪼개면 됩니다
더알고 싶은건
대객기는 뭐고 한객기는 뭐고
무쉬 그런것들요 1 물은 ~11 물은 뭘말하는지
부탁요
Top secret. ..
1물..(물 한바가지)
11물..(물 11바가지)
목마와숙녀님
고마우면
가끔
고막지..가시거든
고막지 사진 좀 보내줘요..ㅜ.ㅜ
대객기는 조금전 물때를 말합니다.
다른말로 한객기 두객기 한꺽기, 두꺽기등 일부지역마다 부르는 말들이 들립니다.
그리고 물때는 지역마다 시간차이나 물의 들고나는 차이도 납니다.
제 고향이 남해안 입니다
윗글 객기가 들어가는 물때는
서해안 조수간만에 차가 심한곳에서
물때를 순 우리말로 부르는것 같네요
쉽게
조금을 1로 보시고
보름 또는 그믐을 15로 보시면 됩니다
그리고 물때표를 이해 하실려면
음력을 먼저 이해 하셔야 됩니다
물떄표는 간단하게 말씀드리자면, 달과 지구의 인력을 가지고 바닷물이 빠지고 드는 상태를 인간들이 그 바다상황에 맞게 조업을 하기 위해 만들어낸 표입니다.
한객기, 한대끼, 한꺽기... 이건 각 지역 방언일 테구요.
1물 2물이나 한물 두물 표현이 표준어일 것 같습니다.
음력 8일, 23일을 조금으로 기준잡고 그 다음 무쉬, 그 다음 1물.. 2물.. 이렇게 나갑니다.
중간에 '사리'가 있어 물이 가장 센 날짜를 말합니다.(이해하시기 쉽게)
대객기는 조금 전날 물때를 말하는 것 같습니다.
그러니까 음력으로 따지면, 음력 7일, 22일 될 듯합니다.
인터넷으로 공부를 하시면 조금 이해가 빠를 듯하구요.
낚시점에 가셔서 물어보시면 더 이해가 쉬울 것 같습니다. ^^
근디...물도 때가있습니까^^;;
노벰버 레인님 사진찍어 보내드릴께요
참고로 저는 입어료 안냅니다.
1. 만조 / 고조
▲+172 물이 가장 많이 차 올랐을 때를 말하며 '+숫자'는 간조 이후 차오른 해수면 높이의 차이를 말합니다.
2. 간조 / 저조
▼-167 물이 가장 많이 빠졌을 때를 말하며 '-숫자'는 만조에서 빠진 해수면 높이의 차이를 말합니다.
3. 물의 높이
( 164) ()안의 숫자는 물의 높이를 말하며 단위는 cm입니다.
관련 용어 설명
밀물 늘어나는 물, 들물, 창조
썰물 빠지는 물, 줄어드는 물, 날물, 낙조
만조 물이 최고로 늘어난 상태에서 다시 썰물행위의 행동직전 정시상태
간조 물이 최저로 빠진 상태에서 밀물행위의 행동직전 정시상태
조석 물이 들어오고 나가는 시작점의(만조, 간조)일별 시간표시
조류 밀물과 썰물행위에서 일어나는 물의흐름. 유속.
본류 우리나라 해역의 밀물과 썰물의 흘러가는 기본방향
반류 지형 형태에 따라 본류의 떠밀림과 부딛힘에 의한 역류현상
와류 본류의 부딛힘과 떠밀림에 의한 소용돌이, 훈수물, 합수물
간류 본류의 떠밀림에 의하여 옆으로 비켜가는 흐름
격조 조류가 암초 지대를 지날때 일어나는 파장 급조라고도 함
사리 만조, 간조의 수위차가 높고 조류흐름도 가장 빠른시기(음력15일,30일)
조금 만조, 간조의 수위차가 작고 조류흐름도 가장 약한시기(음력8일,23일)
무시 조금 다음날 조금물때와 비슷한 수위와 조류속도의 약한시기(예비조금)
물때표 계산법 (7물때식: 서해 | 8물때식: 동해,남해 등)
* 물때식은 음력으로 계산됩니다. (29일까지 있는 달의 경우 30일(6물or7물)을 생략하고 계산하시면 됩니다.)
음력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15
8물때식 8물 9물 10물 11물 12물 13물 14물 조금 1물 2물 3물 4물 5물 6물 7물
7물때식 7물 8물 9물 10물 11물 12물 13물 조금 무시 1물 2물 3물 4물 5물 6물
음력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8물때식 8물 9물 10물 11물 12물 13물 14물 조금 1물 2물 3물 4물 5물 6물 7물
7물때식 7물 8물 9물 10물 11물 12물 13물 조금 무시 1물 2물 3물 4물 5물 6물
아래위로 도표가 빠져서 .....
제가원한 답을 주셨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