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수지에 배스.블루길이 빨리
퍼지는 원인은 무엇일까요
1. 배스나 블루길 큰것 잡아서
누군가가 풀어준다
2. 사월초파일날 방생을 목적으로
아무 물고기를 방생해서 그렇타
3. 새우 잡는 전문적인분들 때문에 그렇타
4. 집에 배스나 블루길를 키우다
힘들어서 저수나 수로에 버려서 그렇타
월척 선.후배님들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이제는 토종터 착기가 어렵네요
월척이하 찌 올림보기가 이제는 너무 어렵네요
저수지에 배스.블루길이 빨리
퍼지는 원인은 무엇일까요
1. 배스나 블루길 큰것 잡아서
누군가가 풀어준다
2. 사월초파일날 방생을 목적으로
아무 물고기를 방생해서 그렇타
3. 새우 잡는 전문적인분들 때문에 그렇타
4. 집에 배스나 블루길를 키우다
힘들어서 저수나 수로에 버려서 그렇타
월척 선.후배님들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이제는 토종터 착기가 어렵네요
월척이하 찌 올림보기가 이제는 너무 어렵네요
번식력이 좋아서 더 그럴 것 같아요.
블루길은 토종터 주변 농장과 공장에 주변에
베트남 노동자 유입되면 100% 유입.
개네들이 풉니다
강계에서 수로로 물 받는 저수지는 베스 블루길과
강준치까지 있습니다.
의성 안계 , 단밀쪽이 그런 경우인 것 같습니다.
낙동강에서 수로로 물 받는 저수지는 예외없이
베스 블루길이 판칩니다.
베스 유입에서는 사람도 한 몫합니다.
루어꾼,낚시방 쥔장,그리고 특히
잔챙이들을 보기 싫어하는 붕어꾼도 있습니다.
배스 독탕이면 인위적 이식이라 생각합니다.
때문이라고 생각됩니다
일ㆍ이주일정도 치고 옮겨서 짧은거리 살아남은
배스.블루길이 번식하는듯합니다
하나에 30개정도 되니 대충확인만하고
다시 던지는 듯합니다
다시 배스ㆍ블루길터가 붕어터 바뀌기는
어려울듯 싶습니다
토종터는 피곤해서 배제합니다
짐 베스 불루길 있는곳들도 변화가 많습니다
토종어류들개체수 잔바리들 개체수가 엄청늘은곳들 많이 있습니다
황소개구리처럼 토착화되어 조절이 되는것같다고 느껴집니다
좋은현상이긴하나
개인적 조용하고 널널히 큰놈들로 몇수하고 싶은 스타일상 잔챙이 때문에 스트레스를 좀 받습니다
터센계곡지 같은곳들은 개체수가 적을수도 있지만 기본적인 낚시여건이 여락해서 고기잡기가 힘들다 생각하네요
일박 짧게 낚시할수 밖에 없는 현실상 이런곳들은 가능하면 피하는 상황이구요
배스낚시 또한 루어분들에게는 여유의 선물인것을..
강원도 깊은산속, 울릉도 오지. 등등 도대체 어찌 배스가 들어갔을가요?
평지는 이해되지만 새가 잡아먹고 날아가다 뿌린 알이 퍼졌을가요
저도 의문이 생깁니다.
알밴 고기를 새가 먹고 산에서 응가하여
비가 와서 응가물이 산속 저수지로 들어가서
부화할 가능성도 있습니다
개인땅 산속에 저수지가 있는데
어느날 붕어가 보이기 시작하네요
누가 이식할 가능성은 없습니다
답은 새나 동물밖에 없습니다
다리에 알 묻혀서
이동하네요그멀리
누가 베스를 풀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