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래 그림은 제 낚시대의 구조물? 입니다 -_-;;
이렇게 어렵사리 그림을 그려서 올리는 이유는...
왜 떡밥을 달아서 던지면 계속 가라앉죠?
그림1) 내 낚시대 구조물?
찌를 바늘 반대방향으로 계속 올려도 계속 찌가 가라앉습니다.
어느 선배님이 제껄 보시더니 바닥채비? 냐며 물어보시던데
그게 뭔지도 모르는데 ㅡㅡ;
여기서 질문 드리겠습니다.
1번 --> 바늘이 바닥에 가라앉아서 하는게 바닥채비 인가요?
2번 --> 수심이 깊은곳에서 찌의 부력으로 바늘이 바닥에 가라앉지않고
중간에 떠있게 하는게 중층 낚시 인가요?
3번 -->
그림2) 둘다 바닥에 바늘이 닿지 않은상황
선배님들 낚시하는거 보니까 수면에서 찌가 2~3cm 정도만 보이게 하던데 그건 무슨 낚시 인가요?
참고로 저는 계속 찌가 가라앉아서 (추)를 니퍼로 계속 잘라내는데 그러다보니 찌가 수면에서 10cm이상
떠있어서 입질구분이 힘들어집니다. 만약 2번질문이 맞다면 이게 중층낚시인데 중층낚시할때는 찌가 수면에서
2~3cm 정도만 뜨게하는 방법을 알고싶습니다.
아~ 이거 정말 선배님 한번만 따라가면 쉽게 알거같은데
이론상 배우려니 빡쌔네요 ㅋㅋ
항상 자상하신 월척지 선배님들 많은도움 부탁드리겠습니다.
+_+ 기대 기대~


뭐 이해력에 조금 도움이되시라고 30분가량 작업한 그림이니 기특하게 생각해주십쇼 ^^v
중층낚시는 봉돌과 바늘이 바닥에 닿지 않고 떠있는 낚시를 말합니다
바닥낚시를 하시려면 바늘을 달지 않은 상태에서 찌의 가장윗부분 (케미를 달았다는 가정하에)
이 수면과 일치되게 봉돌무게를 맞추시구요
좀더 가벼운 바닥을 원하시면 바늘을 달고 맞추셔도 됩니다
그리고 중층에 2~3cm 뜨는 맞춤을 원하시면 미끼까지 달고
2~3cm 나오게 봉돌무게를 맞추시면 됩니다
이상 허접한 답변이였는데 이해가 가시려나 모르겠네요
안출하세요 ^^
예 맞습니다......정확히 말하자면 봉돌(추)이 바닥에 닿는 채비가 바닥낚시 채비 입니다.
2번 --> 수심이 깊은곳에서 찌의 부력으로 바늘이 바닥에 가라앉지않고
중간에 떠있게 하는게 중층 낚시 인가요?
예 정답입니다.
3번 -->그림2) 둘다 바닥에 바늘이 닿지 않은상황
선배님들 낚시하는거 보니까 수면에서 찌가 2~3cm 정도만 보이게 하던데 그건 무슨 낚시 인가요?
님께서 중층낚시를 하실려고 하시는것 같지는 않아 보이는데 두가지를 가정해서 답변해 올리죠......
ㄱ)중층 낚시의 경우 : 찌의 목수를 5목 정도 나오게 찌 맞춤 하시고 미끼를 달아 투척했을때 미끼의 무게로 찌가 내려가다
1~2목 정도 나오게 조정하셔서 낚시 하시면 되고 , 바닥에서 조금만 뜨게 하려면 수심체크용 고무 등을 이용해서 수심을
체크 한후에 측정된 수심을 감안해서 위로 찌를 올려 달면 됩니다........
ㄴ) 바닥낚시의 경우 : 바닥낚시를 질문하신것이라면 위의 3번 질문은 자체가 잘못된 질문입니다.
선배님 찌라고 그려놓으신 그림은 님의 생각일뿐 찌톱은 나와 있으나 바닥에 바늘이 봉돌과 함께 닿아 있는 상태 입니다
그림 자체가 잘못된것이고요......
제가 볼때는 님께서 바닥낚시에서 수면위에 보이는 찌를 물에 떠있는 모양만 보고 판단하셔서 찌가 물위에 보이기만 하면
찌 맞춤이 된것으로 오해 하시고 계신 것으로 판단 됩니다. ( 조심스럽지만 질문을 보고 판단시 그렇게 느껴집니다 )
외람됩니다만 초보님이시라고 가정하에
올바른 바닥 낚시의 찌 맞춤법을 설명 드리겠습니다. 제가 잘못 판단한 경우라면 너그러이 용서 바라고요......
일단 사용하실 찌와 봉돌을 준비 하셔서 낚시대에 채비를 다 하신후에......
봉돌(바늘채비) 위치의 30~50센티 위 쯤에 찌를 달고 채비를 물에 투척 합니다.
찌가 너무 올라와 윗글 3번질문의 위의 오른쪽 그림처럼 찌톱이 너무 올라와 보이면 봉돌이 가벼운것이므로
봉돌을 더 무거운것으로 교체해 주셔야 합니다.
반대로 찌가 물속으로 푹......들어 가면 봉돌이 무거운것이니 니퍼 같은 공구를 이용해서 봉돌의 무게를 줄여야 합니다.
위의 두가지 경우를 감안해서 작업을 해서 찌톱의 끝이 물수면과 "수평"이 되게 봉돌무게를 조정 하셔야 합니다.
물과 찌톱의 끝(케미달았을때는 케미끝)이 수평이 이루어 지면 수심을 측정해서 예상되는 칫수 만큼 찌를 원줄의
윗부분까지 밀어 올려서 물에 투척해본후 찌끝이 물위로 안나오면 조금씩 올려주며 물에 투척해 봐서
찌가 위로 너무 나왔으면....내려 주면서 물바깥으로 찌톱이 2~3센티 정도 님이 질문하신 높이 만큼 나오게 조정해
주시면 됩니다.
봉돌만 달고 찌를 맞추신후에 나중에 바늘채비를 다는 것이 원래의 바닥낚시의 이론이지만 바늘까지 달고 맞추셔도
그리 큰 차이는 없습니다.
나중에는 찌의 내려가는 속도정도를 보고도 알수 있으므로 바늘 달고 채비 하셔도 관계는 없겠습니다.
더 가볍게 , 또는 더 무겁게 맞추는 채비는 나중에 좀 익숙해 지시면 조정할수 있습니다.
제가 질문의 요지를 잘못 판단하고 글올리는 것 같아 약간 조심스럽습니다.........
제가 생각하는 바닥,중층낚시가 맞다니 다행이네요
그림3번은 중층낚시를 예로 그린건데요 (역시나 그림이 허접해서 ㅋㅋ )
3번 왼쪽 선배님 그림은 오른쪽 저의 그림과 같이 물에 떠있는 상태를 그린거예요 ^^
수전증이 있어서 그런가 좀 길게 그렸네요 ㅋ
낙수불입님 제 그림이 허접해서 그런거니 제가 잘못된거네요 ^^ 감사합니다
3번의 선배님 그림은 중층을 가정하에 찌가 적당히 나와있는데
저는 안되더군요!
찌가 너무 나와있어서 추를 달아보니까 그냥 쑥 가라앉구요
추를 조금 잘라내니까 찌가 그림3번의 오른쪽그림처럼 너무많이 나왔습니다.
그럼 추의 무게조절을 잘못해서 그런건가요?
추가질문 하나 더 물어보겠습니다.
중층낚시와 바닥낚시의 차이점이 뭔가요?
어종에따라 중층과 바닥낚시를 선택하는건가요?
제가 낚시입문 할 때 본 송소석님의 '붕어낚시연구'란 책 당장 드리고 싶은 충동이 듭니다만....
예전에 다른 분 드리고 없네요.^^;;
낚시 진정 하시고 싶은지 잘 생각해 보시고
담 주에 평일날 시간되시면 연락해서 가까운 데 같이 함 가요.
'붕어낚시연구' 같이 함 해보게요.
이야기도 나누고 하려면 밝은 시간이 더 낫겠죠?
회원정보란에 전번 있습니다.
문자 먼저 보내시면 제가 전화 드리겠습니다.
지금은 너무 늦은시간같구요 내일낮에 연락 드리겠습니다 ^^
저 완전 초보입니다 많이 가르쳐주세요 ^^
그럼 내일 뵙겠습니다
그 선배보고 10분만 채비 하는것부터 해서 설명을 해달라고 하세요.
말로 아무리 설명을 해도 어려울것이나 옆에서 해보면 금방이해가 됩니다.
대충..바닥은 추가 바닥에 닿는것을 얘기하구요 입질은 거의가 찌가 위로 올라오는 형태이구요.
내림이라는것은 2바늘중에 바늘 1개가 바닥에 닿고 하나는 떠있는상태입니다 해서 떠있는것을 입질하면 빨려들어가구요 바닥것을 입질하면 위로 올라 옵니다.
마지막으로 바늘이 떠있는경우..이것을 중층이라고 합니다. 입질은 밑으로 살짝 잠기는 유형이지요.
바닥은 느긋하게 낚시를 할수 있구요. 그외는 눈튀어 나와라고 쨰려 봐야 합니다. 많은 집중력과 피로도가 쌓이지요.
글로 설명듣는것 보다 직접 보면서 배워야 쉽습니다.
봉돌이 바닥에 닿으면 바닥낚시. 바늘만 닿으면 내림낚시. 바늘도 뜨면 중충낚시.
찌 맞춤에 따라 틀려집니다.
수조통 없어시면 낚시방 가서 봉돌 깍아가면서 연구해 보세요.
각 장르별로 찌가 다 다르게 만들어집니다.
바닥낚시, 중층, 내림낚시전에
찌부력과 봉돌과의 관계...
특히 수심이라는것을 먼저 알셔야 할 듯 싶은데요...
님이 완전초보라는 가정하에 말입니다
먼저 찌맞춤을 하셔야 합니다
찌와 봉돌을 맞추어 부력점을 찾아서(낚시방가서 찌 사시면 해줍니다)
낚시대에 구조물 같이 만들어 이제 수심을 측정하셔야 합니다
먼저 바닥층을 찾으시고 그리고 님께서 원하시는 낚시를 구사하시면 될것 같습니다
1번의경우 이론상은 봉돌이 바닥에 닿으면 바닥, 떠 있으면 중층...
맞을수도 있지만 님이 하고자하는 형식에 맞게끔 채비를 구성하여야합니다
걍 띄우면 중층보다는 중층에서 잡을수 있도록 의도적인 채비를 하여야하고
거기에 따른 떡밥응용술이 보기보다는 굉장히 어렵다고 알고 있습니다
봉돌이 무겁거나 영점 맞춤이 되어도 계속 가라앉는것은
수심이 바닥층에 도달치 못한 경우 같습니다
설사 봉돌을 깍지 않아 무거움 맞춤이라도 봉돌이 바닥에 닿이면 찌는 멈출것입니다
찌를 2~3cm정도 나올수 있는경우가
중간에 떠 있을수도 있고 바닥에 닿을수도 있습니다
찌가 어느정도 나와 있다고 해서 무조건 띄워져 있다고 는 볼수가 없습니다
한마디로 바닥의 수심을 알고 그 후 님께서 봉돌을 잘라 연습해 보시면 알수가 있을것 같습니다
허접한 내용 입니다...
물에 동동 떠다니는 찌(?) ....;
낚시점에서 찌를 함 마추어 달라해보세요 어찌하는지 그럼 알수 있지 않을가...
잘보고 갑니다.
시간내어 한번 만나 보시면 많은 도움이 되실걸로 생각합니다.
낚시는 이론이 아닌 실전이 더 빨리 와 닿습니다.
낚시로 행복만 낚으시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