먼저..이글은 기타게시판에 올렸으나 어느분이 쪽지로 좀더 많은분들이
공유할수 있도록 자우게시판에 한번더 올려 달라는 부탁 있어 다시 올립니다.
같은 글을 두개의 게시판에 올린것에 대해서는 운영진 여러분께서 판단하시여
잘못되었다면 삭제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다름이 아니오라 왕우렁이를 토종우렁이로 착가 하시는분이 계신것 같아
이글을올립니다.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아랫글은 조선일보 박은호기자글을 퍼온것입니다.
올겨울, 강원도 철원과 평창, 홍천 등지의 농경지에서 예전에 없던 현상이 나타났다. 한파가 몰아 닥쳤는데도 논 주변 개울 곳곳에서 탁구공(지름 4㎝) 크기만한 왕우렁이(Golden Apple Snail)들이 여전히 산 채 발견된 것이다. 꽁꽁 언 얼음장을 깨고 개울 바닥에서 건져낸 왕우렁이도 마찬가지였다.
남미 아열대 지역이 원산지로 1983년 국내에 도입된 이 외래종은, 지난 25년간 강추위가 닥치면 대부분 동사(凍死)하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그러나 올해, 이변이 발생한 것이다.
▲ 탁구공 크기(지름 4㎝)만한 왕우렁이 성체의 모습. 왕우렁이 한 마리는 한 번에 200~600개씩, 연간 최대 3000여개 알을 낳는다./국립환경과학원 제공
◆5번째 생태계 교란종 되나
이런 사실은 작년 한 해 동안 환경부 산하 국립환경과학원이 전국의 왕우렁이 서식 실태를 조사한 결과 나타났다. 환경과학원은 23일 "왕우렁이가 국내에서 가장 추운 지역인 철원에서도 살아남는 등 전국 각지에서 월동(越冬)에 속속 성공하고 있다"고 했다.
2000년대 초까지만 해도 남해안 일부 지방에 국한됐던 왕우렁이의 월동선이 수년 새 강원도 북부지방까지 치고 올라와 왕우렁이의 서식지가 전국으로 확대됐다는 것이다. 환경과학원측은 "정확한 이유는 아직 규명되지 않았다"고 했다.
왕우렁이는 세계자연보전연맹(IUCN)이 선정한 '세계 최악의 100대 외래종' 목록에 포함될 만큼 왕성한 번식력으로 '악명'이 높다. 환경과학원 김종민 박사는 "연간 최대 3000여개의 알을 낳을 정도로 번식력이 좋은 데다 각종 연한 풀과 수초(水草), 채소 같은 거의 모든 식물을 먹어 치울 만큼 식성이 왕성하기 때문"이라고 했다. 황소개구리나 붉은귀거북 등 기존 생태계 교란종과 비슷한 성격을 갖고 있는 셈이다.
이 때문에 외래종 관리 주무부처인 환경부는 왕우렁이를 '법정 생태계 교란종'으로 지정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정부 관계자는 "현재까지의 상황에 비춰 교란종 지정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이렇게 되면 왕우렁이는 2001년 12월 붉은귀거북에 이어 7년 만에 국내 다섯 번째 생태계 교란종으로 지정된다.
◆"작년 한 해만 5억마리 생태계 유입"
왕우렁이는 당초 식용(食用) 목적으로 수입됐다. 대만과 필리핀, 일본 등 우리보다 앞서 왕우렁이를 도입한 나라도 마찬가지였다. 하지만 맛이 떨어진다는 이유로 대부분 시장화에는 실패한 편이다.
농업과학기술원 박형만 농업해충과장은 "우리나라는 그래도 사정이 나은 편"이라며 "현재 시중에 팔리는 '우렁된장'의 경우 대부분 왕우렁이가 쓰이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국내에 유입된 왕우렁이들은 1990년대 초반부터 '친환경 왕우렁이 농법'에 활용돼왔다. 이 농법은 어린 벼를 심은 뒤 논에 왕우렁이를 흩어 놓아 이리저리 옮겨 다니며 잡초를 뜯어먹도록 하는 방식을 쓴다. 이렇게 하면, 수질과 토양오염을 일으키는 제초제 없이도 농사를 지을 수 있기 때문이다. 2003년 3900㏊이던 왕우렁이 농법 재배 면적은 2005년 8000㏊, 작년엔 5만1000㏊로 늘었다.
박형만 농업해충과장은 "보통 논 1㎡당 왕우렁이 한 마리가 투입되기 때문에 작년 한 해만 전국의 논에 5억 마리 가량이 풀렸다"고 말했다.
일부 농가의 경우, 모내기 철에 활용이 끝난 왕우렁이들을 그대로 방치해 수로 등을 통해 왕우렁이가 자연생태계로 빠져나가거나, 홍수에 휩쓸려 한꺼번에 대량 유출되는 사태도 빚어지고 있다.
====================================================================
강,수로,또는 저수지에서 흔히 볼수있는붉은색의 알은 모두 외래종인 수입우렁이 알입니다.우리나라 토종인 논우렁이는 알을 낳지 않고 새끼를 낳습니다. 번식 방법이 다르죠..
아직까진 생태교란종으로 분류 되진 않았지만 환경부에서 조사및 위험 부분에 대해 조사 하고있는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보는 족족 없에야된다는 말을 하기엔 아직 이르지만 저는보는 족족 없에 버립니다.
<외래종인 왕우렁이와 산란>
<토종우렁이인 논우렁이>
생김새도 자세히 보시면 차이가 납니다.
먹이습성에서도 차이가 납니다.
우리나라 논우렁이는 물속에 유기물만 걸러 먹지만 외래종인 왕우렁이는 펄및 수중 식물을 닥치는데로
먹어 치웁니다. 심지어 곤충이나 물고기 사체까지도 먹어 치웁니다.
그리고 윗글에서도 언급이 되었습니다만 시중에서 판매되는 골뱅이 음식은 대부분 수입산인 왕우렁이로
판매되고 있습니다.
시골집에가면 거기도 왕우렁이가 많이 있습니다만..한마리도 잡아 먹지 않습니다 이유는 맛이 없어서 입니다.
근데 모르시는 도시분들이 놀러와 그것들을보고 우렁이라며 한포대씩 잡아가는걸 본적이 있는데..
왠지 씁쓸하더군요...
필리핀,일본등 에서는 벌써 외래유해종으로 분류하였다고 합니다.
참고 하시길 바랍니다.



그래서 구분이 힘들어...토종과 똑같이 생각을 했었는데요.
토종과 외래종은 확연하게 구분이 되네요.
외래종이 집단번식하는 곳을 알고 있습니다.
일부러 시간을 내어서라도 제거를 위해 다녀와야 겠네요.
울산 덕신교에서 서쪽방향으로 올라가면...100년 이상된 소나무가 있는곳이 있습니다.
그 주위에 보면 왕우렁이 알이 무더기로 있네요.
그리고 거기는 왕우렁이 사체로 인해...땅은 심하게 부패하여 냄새가 고약하고
그로인해 수질 또한 그 정화기능을 넘어선 것이라...정화가 안되고 수질오염이 되어 있는것 같습니다.
그 근처로 가시는분 계시다면 그냥 지나치시지 마시고...알들과 왕우렁이 제거를 해주셨으면 합니다.
왕우렁이 알을 물속에 넣으면 물고기들이 막 달라들던데요.
떡밥 갤때...왕우렁이 알도 함께 넣어서 섞는것도 좋은방법일듯 합니다.
전국 유기농 농사짖는다고 엄청나게 풀었는대....
잘봤습니다 유심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제 조행기에 실사진 2장 있습니다. ^^
왕우렁이 정력에 특효~!
근데 내용은 좋은데 님의 닉네임은 영~~ 불르기가 그렇습니다...
닉네임좀 어찌 개명 하시든지 하시지요..
닉네임은 온라인에서 보이는 님의 얼굴입니다..
님을 부르고 싶어도 부르려면 연상이 영 안좋네요...
나중에 물가에서 혹시 그럴일이야 없겟지만 만난다면 님을 뭐라고 부르지요?
변태님이라고 불러 드리오리까?
좋은 글 올려 즈리신 분께 안좋은 말씀 드려서 죄송합니다..
하지만 필요한거 같아서요...
재 별명뜻은...
먼저 놀부와 흥부 아시지요...거기서 흥부가 형수님을 부르는 말입니다.
예를 들자면....
홍길동이가 형수님을 찿아가 형수님 하고 부르니
형수님이 문안에서 누구냐고 물으니
길동이가 형수님 길동인데요...라고 한말과같은말입니다.
형수님 길동인데요 = 아닌 형수님 흥분데요 (같은뚯)
형수님 흥분되요라고 쓰면 큰일날 일이지만 되요가 아닌 데요 입니다.
별명이 좀..그러하여 다시한번 죄송 합니다. 하지만 오해는 말아 주시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