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자 홀몸으로
힘든 농사일을하며 판사아들을 키워낸 노모는
밥을한끼 굶어도 배가 부른것 같고
잠을 청하다가도 아들생각에 가슴뿌듯함과
오유월 폭염의 힘든 농사일에도 흥겨운 콧노래가 나는 등
세상을 다 얻은듯 해 남부러울 게 없었다.
이런 노모는 한해동안 지은 농사걷이를 이고지고
세상에서 제일 귀한 아들을 만나기위해 서울한복판의
아들 집을향해 가벼운 발걸음을 제촉해 도착했으나
이날따라 아들만큼이나 귀하고 귀한 며느리가
집을 비우고 눈에넣어도 아프지않을 손자만이
집을 지키고 있었다.
아들이 판사이기도 하지만 부자집 딸을 며느리로 둔
덕택에 촌노의 눈에 신기하기만한 살림살이에
눈을 뗄 수 없어 집안 이리저리 구경하다가
뜻밖의 물건을 보게 되었다.
그 물건은 바로 가계부다.
부자집 딸이라 가계부를 쓰리라 생각도 못했는데
며느리가 쓰고있는 가계부를 보고 감격을 해
그 안을 들여다보니 각종 세금이며 부식비, 의류비 등
촘촘히 써내려간 며느리의 살림살이에 또 한 번 감격했다.
그런데 조목조목 나열한 지출내용 가운데
어디에 썼는지 모를
'촌년10만원'이란 항목에 눈이 머물렀다.
무엇을 샀길래 이렇게 쓰여있나 궁금증이 생겼으나
일년열두달, 한달도 빼놓지않고 같은날짜에 지출한 돈이
물건을 산 것이 아니라 바로 자신에게 용돈을
보내준 날짜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촌노는 머릿속이 하얗게 변하고 아무런 생각도 나지않아
한동안 멍하니 서 있다 아들 가족에게 줄려고
무거운 줄도 모르고 이고지고 간 한해걷이를
주섬주섬 다시싸서
마치 죄인이된 기분으로 도망치듯
아들의 집을나와 시골길에 올랐다.
가슴이 터질듯한 기분과 누군가를 붙잡고
이야기를 하고 싶어도 할 수 없는,
분통을 속으로 삭히기위해 안간힘을 쓰고있는데
금지옥엽 판사아들의 전화가 걸려왔다.
“어머니 왜 안주무시고 그냥 가셨어요”라는
아들의 말에는 빨리 귀향길에 오른 어머니에대한 아쉬움이
한가득 배어있었다.
노모는 가슴에 품었던 폭탄을 터트리듯
“아니 왜! 촌년이 어디서 자~”하며 소리를 지르자
아들은 "어머니 무슨 말씀을...., "하며 말을 잇지 못했다.
노모는 “무슨 말? 나보고 묻지말고 너의방 책꽂이에 있는
공책한테 물어봐라 잘 알게다”며 수화기를
내팽기치듯 끊어 버렸다.
아들은 가계부를 펼쳐보고 어머니의 역정이 무슨
이유에서인지 알 수 있었다.
그렇다고 아내와 싸우자니
판사집에서 큰 소리 난다며 소문이 날꺼고
때리자니 폭력이라 판사의 양심에 안되고
그렇다고 이혼을 할 수도 없는 노릇이라
사태수습을위한 대책마련으로 몇날며칠을
무척이나 힘든 인내심이 요구됐다.
그러던 어느날 바쁘단 핑계로
아내의 친정 나들이를 뒤로 미루던 남편이
처갓집을 다녀오자는 말에 아내는 신바람이 나
선물 보따리며 온갖 채비를 다한가운데
친정 나들이길 내내 입가에 즐거운 비명이 끊이질 않았고
그럴 때마다 남편의 마음은 더욱 복잡하기만 했다.
처갓집에 도착해 아내와 아이들이 준비한 선물 보따리를
모두 집안으로 들여보내고 마당에 서있자
장모가 “아니 우리 판사 사위 왜 안들어 오는가”
사위가 한다는 말이 “촌년 아들이 왔습니다”
“촌년 아들이 감히 이런 부자집에 들어 갈 수
있습니까”라 말하고 차를돌려 가버리고 말았다.
그날 밤, 시어머니 촌년의 집에는 사돈 두 내외와 며느리가
납작 엎드려, 죽을 죄를 지었으니 한번만 용서해 달라며 빌었다.
이러한 일이있고 난 다음달부터
'촌년 10만원'은 온데간데 없고
'시어머니 용돈 50만원'이란 항목이 며느리의
가계부에 자리했다.
아!!!
갑자기 어무이 아부지 생각이 나네요
울 마누라 시어머니 용돈을 잘드리는지?
- © 1998 ~ 2025 Wolchuck all right reserved. ▲TOP
이런 생각들을 판결에 반영하여 명판결이 나와야 하는데 .......
많은 생각을 하게 하는군요...
따스한 봄날에 돌아가신 어머님 생각 간절하고요...
좋은글귀에 오늘 하루를 반성하며 지내렵니다...
꼭 판사님이 아니더라도..........
가슴가득 감동가지고 갑니다.
늘 안출 하세요
나 같으면 바로한판 떴습니다`
좋은글 잘 읽고 갑니다~~~
행복한 주말 되십시요
현명한 판사가 이해하고 계속 같이 살았다는 예기네요.
좋으글 잘보고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