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 자유게시판

3점등 전자찌사용?

IP : d68748f85a2caee 날짜 : 조회 : 3649 본문+댓글추천 : 5

이번에 대물다대편성을 입질 파악에 애로점이 있어

 3점등 전자찌로 한번 사용해 볼까 알아보든 중

가격이 최소 1만4천ㅡ2만5천정도 보이더라요

낚시대가 긴것 짧은 것 해서 총 30대  정도 있다고 한다면 모두 전자찌로 구매하기는 부담이 될것 같기도 하고 

혹시 여러분들은 어찌 사용을 하시고 계시는 지 궁금하네요.

그렇다고 찌부력이 모두동일하다면 한 15개정도 구매고 찌마춤해서 돌려사용해도 되겟지만 그렇지도 안을 것 같고.ㅎ


1등! IP : a0107edd3386732
다대편성시 2~3점등찌는 확실히 본신 파악에 유리합니다
근데 가격이 후덜덜이죠~^^;

같은 원줄에 목줄을 쓴다는 가정하에....
원줄에 스냅 또는 스냅 도래를 바로 체결하시고....
봉돌이하 목줄은 떼었다 결착했다 할 수 있게 하시면 찌 구매 갯수를 줄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12대를 편성하고 12개의 전자찌를 셋팅하시면....
각 전자찌의 영점을 잡으시고 찌고무를 이용하여 찌에 봉돌과 목줄을 끼워서 PET 투명 찌통에 보관 하시면 됩니다~
그럼 낚시 하실때 다른 채비가 되어 있어도 스냅을 풀어 교체하시면 편리하죠~

저같은 경우 이같은 방법으로 내림과 바닥을 병행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전자찌가 아닌 일반찌로도 다대편성시 입질파악이 용이하게 하는 방법은....
영점을 플러스(풍덩)로 맞추고 케미를 수면 아래 5센티정도 가라 앉히는 방법이 있습니다
이러면 찌가 상승할때 수면밖으로 나오기 때문에 확실히 파악할 수 있습니다
단점은 수초가 밀생한 토종터 위주로 구사해야하고 붕어 활성도가 높은 시즌, 큰새우나 참붕어, 메주콩 등 대물한방을 노리는 낚시에 유리합니다
추천 4

3등! IP : a6b3f15305e0f25
찌마다 부력 측정 후에 봉돌과 찌를 찌통에 함께 보관하고 사용합니다.
장찌, 단찌, 전자찌 골고루 필요에 따라서 교체하며 씁니다.
추천 0

IP : 71785edb29e5b27
질문하신 내용과 같이 사용 중입니다. 전혀 문제없고 그렇게 사용하시는 분들이 대다수입니다.
저는 12개 나노2점등찌가 부력이 거의 동일하여 20~30개 낚시대 전부 비슷한 무게의 봉돌을 달아놓아
상황에 따라 어느 낚시대에 어느찌를 꽂아도 낚시하는대에 문제가 없습니다.
물론 낚시줄, 찌스토퍼, 유동찌홀더, 핀도래 전부 동일제품, 동일호수, 동일무게로 셋팅해 놓았고요.

그래도 당연히 낚시대 마다 찌맞춤이 조금 달라지는데 가벼우면 핀도래에 오링을 달고 조금 무겁다 싶으면 그냥 합니다.
저는 조금 무겁게 하는 스타일이라 부력차이가 그리 크게 나지는 않아 오링을 끼우거나 봉돌 부력을 낮추거나 하는 일을 거의 없습니다.
추천 0

IP : 725d5f07b3cd9d2
제가 지금 일반찌 38센치 12개 55센치 12개 모두 동일부력으로 찌맞춤 하여 사용중입니다.
여기서 찌맞춤이란 낚시대가 아닌 찌 자체 부력을 쇠링을 이용해 전부 동일한 부력으로 맞춰서 사용합니다.

저도 님처럼 2점등을 사용하려고 검색하다 저렴한 3점등 전자찌를 발견해서
긴찌 51.3센치 14개 짧은찌 40.3센치 12개를 구입후 위 일반찌와 호환 되도록 전부 부력 조정해서
일반찌 24개 전자찌 26개 전체 동일 부력이 되었습니다.

그리고 14일 3점등 사용 하다보니 3점등이 나름 불편한게 있어서 찌탑을 2점등으로 튜닝중에 있습니다.

찌는 999피싱 찌이며 가격대는 개당 호수에 따라 약5~8천원 정도 합니다.
추천 1

IP : c3457279a467b81
안녕하세요~
저는 대를 평균 6대정도 폅니다~
그러나 10대를 펼걸 대비해서 미라클 led 3점등 스마트전자찌 주리향을 쓰고있습니다.
포인트에 따라 대편성이 달라지는 만큼 20대 넘는 낚시대 갯수만큼 전자찌를 보유하기도 힘들기에 제가 쓰는 방법은
찌별로 번호를 매겨 마킹해놓고 1~10번 채비함에 번호 매겨서 원봉돌.스위벨.얼레 등 봉돌을 맞춰놓고
필요할때 꺼내 쓰고있습니다~
추천 0

IP : d77ad16b06dacb8
저 같은경우 저렴한 중국산 찌 몸통에 2점등 아* 전자찌를 결합해서 사용하는중입니다. 14대 편성해서 15개 구매해서 시작했습니다. 그중 가장 가벼운찌를 찾아 동일부력으로 맞춰사용하는데 2.01g입니다.
처음에 잘못 사용해서 전지 거꾸로 끼는 바람에 불량난거 세개 외엔 불량도 없지만 괴기에게 두개 뺐기고 추가로 5개 구매해서 사용한지 1년즘 되는데 만족하고 있습니다. 찌몸통 1500 + 전자찌탑 9000
이케 들었습니다.
추천 0

IP : c2960c676f750c1
저는 10단 받침틀 젤 왼쪽에는 뜰채전용으로 쓰고 거의 9대만 편성합니다. 저 역시 봉돌을 통일시켜 놓고 돌려쓰면 경제적이겠다싶어 작년부터 3점등찌 9개 구매해서 잘 써먹었습니다. 높은 시인성과 안정된 직립성이 참 마음에 들어 흡족했습니다만.. 솔직히 30대 가까이 되는 낚시대 전부 동일 무게 봉돌로 통일시킨다는게 여간 귀찮은 일이 아니더라구요. 게다가 저는 유동 스위벨 채비를 쓰기때문에 더더욱 번거로워서 기존 아끼던 찌를 안쓸수도 없고해서 반정도 통일 시키다 관뒀습니다. 어떤때는 오전 일찍 현장 도착해서 날저물때까지 낚시는 안하고 채비만 쭈물덕거린적도 있었네요.ㅎ

결론을 말씀드리자면,
1. 낚시대 전부 동일부력으로 깔맞춤하는거 불가능에 가까움. (물론 하라면 하겠지만 귀차니즘!!)

2. 입질 받았을때 찌올림이 생각 밖으로 안이쁨.
(케미불빛 하나가 쭉 쏟아 오르는 모습이 이쁘지 이건 뭐 빨간색으로 변색된 불빛 막대기가 쏟아오르니 참 드라마틱하지도 이쁘지도 않습니다.)

3. 정 시인성에 무게를 두신다면 3점등보다는 2점등짜리를 추천드립니다.
(저도 올해부터는 2점등으로 바꿔나갈 계획입니다. 솔직히 스마트케미도 좋지만 다소 번거롭고 고장도 잘나고 값비싼 311배터리 비용도 무시못하겠더라구요.)

전자찌 10개 20개 바꾸려면 비용도 만만치 않은데 괜한 뇌피셜과 호기심에 3점등으로 질렀다가 후회하지 마시고 1점등이나 2점등으로 가시길 추천드립니다.
추천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