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월척> 선배조사님들~ 초보꾼입니다.
질문 하나만 드려도 될까요?
붕어는 30.3 cm부터 <월척> 이라고 정해놨자나요~
그럼 잉어는 몇 cm부터 <월척>인가요?
붕어기준(준척.턱거리.월척.허리급.)등등 있듯이..
잉어도 요런 기준이 있나요? 짬낚에 4짜 5짜 잉어 종종 걸려 나오는데 요런건 잉애(붕애)인가요?
그리고 가물치는 몇cm 기준 월척인가요?
붕어 잡다보면 잉어 가물치 심심찮게 나오곤 하는데 지금껏 월척이 몇cm인지도 모르고 잡고 있었네요ㅎ
고수님들~ 한수 가르침 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 © 1998 ~ 2025 Wolchuck all right reserved. ▲TOP
1.(붕어)...30.3cm 부터는...
2.(월척)이라고 합니다.
3.크다...
4.(잉어.메기.가물치.향어)기타.등등...
5.민물.바다
6.가리지않고...
7.30.3cm넘거나...
8.그 (물고기)가 크면...(월척)이라고 합니다.
9.모든...(물고기)에...
10.(월척)이라고 사용합니다.
1.(가물치)를...40cm를 낚았으면...
2.(가물치)...
3.(월척)을 낚았다고 합니다.
4.(가물치 월척이다)라고 합니다.
말그대로 한척이 넘는다 해서 월척입니다.
단순한 길이를 얘기하는거죠...
붕어만 월척이라고 부르지는 않는 걸로 압니다.
붕어에 한해서만 월척이란 말을
사용하는걸로 아는데
제가 잘못알고 있었군요^^
경향이 있습니다^^;
이 정도가 턱걸이고 80 100은 되어야
큰놈이구나 자랑할만한 수준이 됩니다.
성장속도나 그 희소성에도 분명 차이가 많기 때문입니다.
붕어를 주대상으로 하는 우리네 꾼들이 느끼는 가치의 차이도 분명 존재합니다.
발강이
어른이 되었다고 볼 수 있죠.
잉어도 5짜급까지는 제법 어린티가 납니다.
8짜쯤되면 대물이라고 해도 손색이 없습니다. ^^
붕어를 가리키는 경우가 대부분이겠죠..
잉어는..월척이 넘어야 비로소 잉어라는 이름표를 다는데..^^
잉어나 누치는 멍짜라고 쳐주는 길이가..미터에 근접해야겠죠..ㅡㆍㅡ
쓸만한다 라고 하던데요
가물치도 2자는 되어야~~~^&^*
쌀붕어.감잎붕어ㅡ붕어
발갱이.발강이, 쭈레기ㅡ잉어
모롱이,저뀌,대갈장군,적비ㅡ누치
모쟁이,살모치ㅡ숭어
팽팽이ㅡ열목어
노가리ㅡ명태
간자미ㅡ가오리
풀치ㅡ칼치
잔사리ㅡ멸치
고도리 ㅡ고등어
뺀찌ㅡ돌돔
상사리ㅡ참돔
남정바리 ㅡ감성돔
아롱이ㅡ벤자리
껄떼기,깔따구ㅡ농어
마래미ㅡ방어
..
성어가 되기전 이름을 붙여서,
그고기의 상태나, 가치를 매기기 위한
용도로 불렀겠죠..
ㅋ..봉황도 있네요..
봉추..봉아..
공부하고 갑니다.
배우고갑니다
한자가 넘는다는 말로 월척입니다.
근데 낚시 하시는 분들이 사용 하시는 월척은 붕어를 기준으로 월척이라고 표현하고 큰놈 잡았다고 하지 않나요.
잉어 30.3cm 를 낚고 월척 잡았다고 하면 큰놈 잡았다고 인정 해주는 사람이 없지요.
잉어는 쭈레기와 그냥 잉어로 부르는거같네요
숨는것 이외에 아무런 방어수단이없는붕어가 10년정도를 버틴거니 월척이란말로 대우해주는거라 생각합니다
떡붕어30.3넘는다고 월척이라 하지않지요
토종붕어만 월척이라고 합니다
떡붕어.잉어.등등등등.....은 아무리 큰놈이라도 월척이라고 안합니다.
두자 반( 75 cm ) 은 되어야 잉어라고 했씁니다.
그 외것은 발갱이 라고 하셨던 기억이 남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