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 자유게시판

향어 자연 번식이 가능합니까???

IP : a80533b7f061743 날짜 : 조회 : 13278 본문+댓글추천 : 0

제가 종종 옥내림 하러 가는 저수지가 있습니다.. 계곡지인데,,,요즘에 원래 옥수수 입질 잘 해주는 저수지였죠. 처음 옥내림을 시작했을 때 재미를 많이 봤던 저수지입니다. 그래서 종종 가보곤 했습니다.. 올해는 물을 전부 빼서 낚시도 못했네요.. 그런데 옥수수로 낚시를 하다보면 종종 네치나 다섯치 정도 되는 향어가 잡힙니다. 누군가 치어를 방류하는 것 같지는 않은데 큰거는 대략 25센티 정도 되는 것도 잡은 적이 있습니다. 한국 지형의 저수지에서 향어가 자연적으로 번식이 가능한지 궁금하네요... 히~~~아시는 분 알려주시와용~~~

1등! IP : 9732f98787707ba
네 됩니다 들여올 당시에는 학자들얘기가 동절기 -5도 밑에서는 자연번식이 안된다 했으나 지금 제가아는 해남의 모수로 고흥의 모저수지에 대량으로 번식해 있네요
추천 0

2등! IP : a80533b7f061743
주말숙자님~~오호 가능한 거군요,,,그런데 제가 있는 지역의 저수지는 겨울에 꽁꽁 얼어붙는데,,,암튼 자연 번식을 되는 거였네요,,,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추천 0

IP : 3bcf980b8497596
자연번식이 그리 잘된다면~~
가두리 그 많던 청평댐,춘천댐.화천댐~등등 향어 다 어디 갔나요??
추천 0

IP : 9732f98787707ba
위쪽이 아니고 아래쪽 얘깁니다
해남 고흥
고흥하고도 남쪽 섬인데요
저같음 그리 멀리가서 방생 안하네요..ㅋ
추천 0

IP : d197d1a2b86621b
경산 모 저수지 에 가면 잉어랑 향어 교잡종 아가야 들이 잡힙니다
흔히 보던 일 입니다
추천 0

IP : c91c7bff03c5515
쉽게 생각하시면 답나옵니다.
블루길, 베스 우리나라 환경에서 동절기 못난다고들 했는데 잘 적응하고 번식도 잘하는거 보면 향어도 적응 할 수 있다는 결론 나오지 않을가요?
그리고 윗지방과 남도권 온도차 생각보다 많이 납니다.
그리고 우리나라 기후 점점 변해갑니다.
감귤, 배, 사과등 과일 작물재배도도 변해가잖아요.
결론은 충분한 가능성 있습니다.
추천 0

IP : c80c4c7b7e97223
새우망에 향어치어가 들어온적도 있었습니다.. .
추천 0

IP : 0f5286ee3b7579b
공주 유구천에서 몇해전에 25리터 삐꾸로 4치짜리 반 채운적이 있습니다.

어분 섞은 글루텐에 붕애들이 향어 4치들 사이에 손님고기로 나오던게 생각납니다.

불가능 하다던게 환경에 적응하나 보네요.

베스도 여울에 적응 못할거라던 말이 떠오르네요.

금강수계 여울에 베스가 진을 치고 있죠.
추천 0

IP : 22a58bfdd4a4c21
전북입니다.
김제에 향어 양식하다 철수한 곳이 있는데 향어 새끼 손바닥 사이즈부터 50 아래로 둘이서 200여마리 잡은 적 있습니다.
또 완주군에 향어 새끼만 줄줄이 나오는 수로도 있습니다.
자연번식 아니면 말이 안되죠.
추천 0

IP : 16b4f4c5200d3ee
예 자연번식됩니다.
그러나 님의 말씀대로 물을 뺏었다면 그리고 혹 공사를 하지않았나요?
그렇다면 물을 빼고 공사가 완료된 후 치어를 풀었을 가능성도 있습니다.
전에 제가 다니던 산속 소류지에 무넘이 공사를 한 후부터 향어가 나오는 것을 경험한 적이 있거든요.
추운데 출조시 방한 단단히 하시고 498하세요.
추천 0

IP : 81aeaaeeb547335
1990년도 초반에 유료 낚시터하던 저수지에서 7-8년 전에 향어 10쎈티 조금넘는 20마리 정도 잡아서 방류 한적이 있습니다.
자연환경이 번식에 맞다면 확실하게 자연번식이 됩니다. 경북경산의 상대온천부근 입니다. 지금도 잉어 향어가 있습니다.
추천 0

IP : fb748f113d69581
제가 해남에 같은 장소의 수로에 정기적으로갑니다
항상 고만 고만 붕어 입질을 보는데

올해는 유난히 전에 없던 향어가 계속 올라오고 붕어입질이 없네요

그것도 7~8치의 치어 향어나 월척급 향어도요
자연부화로 인한 개체수 증가로 보입니다
추천 0

IP : 3f507dde0e031f2
애시당초 도입시기부터 학겨에서는 배스나 블루길같은 육식성어류에 의한 직접 피해가 아닌 왕성한 번식력에 추후 소양호 충주호등 가두리양식을 많이하던 호수엔 우점종이 되어 토종 생태게에 큰 피해를 줄것을 우려했었는데 향어가 인위적으로 개량되어진 매우 탕식성 양식어류라는것을 잘 올라서였습니다.향어는 그 이유로 댐에서도 보기 힘든어종이 되었던겁니다.다른곳에서도 일시적인 현상일뿐 몇년내 드물게나 낚이는 어종이 될겁니다.
추천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