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 자유게시판

흐르는 유속에 유리한 찌형태 있쓸런지요.

IP : 8f94e3974cb315f 날짜 : 조회 : 929 본문+댓글추천 : 3

안녕 하세요. 이젠 밤낚시에도 난로보단 선풍기가 필요한 낚시에 계절이 온것 갓습니다. 다름이 아니오라 제가 이시기 부터 다니는 강이 있습니다. 유속이 조금 있습니다. 봉돌을 무겁게 해도 부유물이 떠내려 오면 찌가 잠겻다가 이동를 합니다. 조금은 피곤한 낚시가 되곤 하는데요. 흐르는 물이 돌아서 그런지 유독 그자리에 큰손맛 과 마리수 조과가  잇는 자리라서 자주 들르곤 합니다. 유속에 유리 하다는 중통 채비도 해보앗지만 별반 차이가 안낫 습니다. 찌에 길이나 찌에 모양이 조금이라도 유리한 것이 있쓸런지요. 더워지는 날씨에 안전하고 건강들 챙기시면서 즐거운 낚시 하실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2등! IP : 2a23e80b717c356
아 중통 해보셨군여
예전 춘파낚시서 노모양처럼 납작한찌도 본거같은데
찌맞춤은 조금 무거워야 될듯 하네요
저는 강계유속있으면 중통자주했네요
유속에 유리하고
자동빵도 잘되고..
추천 0

3등! IP : 6d0e74a58c245e2
다루마형.

동그란 형태의 찌가

유속에 눕거나 흐름이 덜하지요.

얇은 막대형찌는

코어가 분산되어 쉽게 눕지요.

유속도 유속 나름이니

여러가지 채비를 경험해보세요.
추천 0

IP : 1502140742c3739
저도 하드락님 말씀에 한표^^
긴 막대형 찌는 몸통 길이가 긴 만큼 물의 저항을 많이 받고,
다루마형 찌는 몸통 길이가 짧아 에 저항을 덜 받는 다는 말을 들은 것 같아요.
추천 0

IP : 44f889e1216e81d
중통채비가 효과가 없을 정도면
제 생각에는 유속에 유리하다는 다루마, 오뚜기 등
어떤 찌형태도 의미가 없을 듯 합니다.

중통채비를 다루마형 찌에 봉돌 무게를 더 무겁게 해보시고

그것도 안되면 흐르는 방향으로 찌없이
끝보기식 밖에는 없을 듯 합니다.
추천 1

IP : f89774ac4995166
찌 빼시고

2봉 바늘 좀 큰거로...

사용하시던 봉돌은 그대로 두시고.

초릿대를 물에서 20cm정도 띄우세요.

초릿대가 좌우로 흔들리는 것은 무시하시고,

물속으로 쳐박히면 그거 보고

낚시대 휘는 방향보고 챔질하세요.
추천 1

IP : 0a54acf04549ce1
중통(어떻게 구사하신지는 모르겠습니담.)이 안되면, 끝보기 낚시하셔야 한다는.
추천 1

IP : dcd6947009c1094
찌의 형태(다루마형)도 영향을 많이 받지만 원줄의 굵기도 중요합니다
1.2~1.5호 정도의 연신율이 좋은 나일론줄이나 가라앉아서 부유물에 강한 카본줄을 사용해보세요
장단점이 있어요

안되면 '백봉채비'를 검색해서 사용해 보시고요

물이 아주 많이 흐른다며 끝보기가 답이지요
추천 0